목차
1. 세균성 뇌막염
2. 뇌농양
3. 바이러스성 뇌막염
2. 뇌농양
3. 바이러스성 뇌막염
본문내용
니실린, 외과적 요법
매독감염이 있은 후 10~20년 후에 나타나는 후기 신경매독 : 척수로(tabes dorsalis),마
비성치매(dementia paralytica) → 뇌실질 조직이나 척수를 침범하는 것
4. 세균성 독성으로 인한 장애
1) 파상풍(tetanus)
원인 : 간균(clistridium tetani)의 아포(spore)가 상처에 침입했을 때 외독소를 생성하게
됨.
병리 : 척수와 뇌간 신경원의 활동을 저지, 균이 침입한 부위의 골격근에 작용함.
증상 : 침범한 하지에서 근경련 및 경축, 턱 근육에 생겨난 아관긴급증(trismus)이 목,
몸체, 하지로 퍼져나감.
2) 디프테리아(diphtheria)
원인 : corynebacterium diphteria
목과 기도를 침범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 (20%가 신경계에 침범하여 외독소를 생성함)
중추신경계 침범 : 구개, 삼차신경, 안면신경, 미주신경, 설하신경
운동, 감각신경까지 포함하는 다발성 신경염으로 진전되기도 함.
1~2주간 지속
대상자가 호흡기계, 심장계의 위기를 넘기면 서서히 회복됨
3) 보툴리즘(botylism)
원인 :clostridium botulinum의 외독소
신경근육접합부에 작용하여 acetylcholine분비에 영향을 미침.
증상 : 오염된 음식을 먹은 후 12~48시간 이내 오심, 구토, 설사, 안검하수증, 외안근 마
비( 안구근육에 침범되었을 시),
섭취된 독소의 양에 따라 다르고 많은 대상자들이 호흡기계 부전으로 사망하게 됨.
매독감염이 있은 후 10~20년 후에 나타나는 후기 신경매독 : 척수로(tabes dorsalis),마
비성치매(dementia paralytica) → 뇌실질 조직이나 척수를 침범하는 것
4. 세균성 독성으로 인한 장애
1) 파상풍(tetanus)
원인 : 간균(clistridium tetani)의 아포(spore)가 상처에 침입했을 때 외독소를 생성하게
됨.
병리 : 척수와 뇌간 신경원의 활동을 저지, 균이 침입한 부위의 골격근에 작용함.
증상 : 침범한 하지에서 근경련 및 경축, 턱 근육에 생겨난 아관긴급증(trismus)이 목,
몸체, 하지로 퍼져나감.
2) 디프테리아(diphtheria)
원인 : corynebacterium diphteria
목과 기도를 침범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 (20%가 신경계에 침범하여 외독소를 생성함)
중추신경계 침범 : 구개, 삼차신경, 안면신경, 미주신경, 설하신경
운동, 감각신경까지 포함하는 다발성 신경염으로 진전되기도 함.
1~2주간 지속
대상자가 호흡기계, 심장계의 위기를 넘기면 서서히 회복됨
3) 보툴리즘(botylism)
원인 :clostridium botulinum의 외독소
신경근육접합부에 작용하여 acetylcholine분비에 영향을 미침.
증상 : 오염된 음식을 먹은 후 12~48시간 이내 오심, 구토, 설사, 안검하수증, 외안근 마
비( 안구근육에 침범되었을 시),
섭취된 독소의 양에 따라 다르고 많은 대상자들이 호흡기계 부전으로 사망하게 됨.
추천자료
기관지폐렴 환아의 간호사례연구
질환에 따른 교육적 조치
소아과 CASE AGE(Acute GastroEnteritis)
아동 간호학 vase study 폐렴, 탈장
신생아실 간호사례연구(설사)
Pneumonia간호과정 적용 Case Study
산도 감염
안구질환과 교육적 조치
[식품위생학]감염병, 기생충 및 위생동물에 관한 이해
성인간호학 - 응급실, 수술실 실습 레포트 - 폐렴
폐렴케이스 [의약학]
2016년 2학기 식품위생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식품위생학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식품위생학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