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7조 합성어 학습지도안
【 발전학습 지문 】
【 발전학습 지문 】
본문내용
①\'금성03(金星)\'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계명. ②장래에 큰 발전을 이룩할 만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 때, 지리산자락 외진 마을에 한 농사꾼 내외가 살았어. 산비탈에 밭을 일구어 구메농사나 지어먹으며, 그저 산 입에 거미줄이나 안 치는 걸 고맙게 여기고 살았지. 그렇게 살다가 늘그막에 아기를 하나 낳았는데, 낳고 보니 아기 탯줄이 안 잘라져. 가위로 잘라도 안 되고 낫으로 잘라도 안 되고, 작두로 잘라도 안돼. 별짓을 다해도 안 되더니 산에 가서 억새풀을 베어다 그걸로 탯줄을 치니까 그제야 잘라지더래.
<지문2> 국어 2-2: 2. 이야기의 구조- (1) 아기 장수 우투리
1) 지리산-자락(합성어): 지리산의 넓은 부분
2) 농사-꾼(파생어): 농사짓는 일꾼이라는 뜻으로, \'농부01(農夫)\'를 달리 이르는 말.
3) 내-외(합성어):①남자와 여자. ②남의 남녀 사이에 서로 얼굴을 마주 대하지 않고 피함. ③=부부(夫婦)
4) 산-비탈(합성어): 산기슭의 비탈진 곳.
5) 구메-농사(합성어):농사 형편이 고르지 못하여 곳에 따라 풍작과 흉작이 같지 않은 농사. ≒혈농(穴農). ②작은 규모로 짓는 농사.
6) 지어-먹다(합성어): 마음을 도슬러 가지다(?), 농사지으며 살다.
7) 거미-줄(합성어): 거미가 뽑아낸 줄. 또는 그 줄로 된 그물.
8) 탯-줄(합성어): 태아와 태반을 연결하는 교질의 흰 육관(肉管). 이를 통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며, 신진대사를 한다.
9) 별-짓(합성어): 보통과 다른 행동거지.
10) 억새-풀(합성어): \'억새\'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 할머니
채송화 꽃밭에서
손금 다 닳아진 손으로
꽃씨 받으시다가
이승길 구경 나온
낮달 동무삼아
하늘길 갔다.
반닫이 속
쪽물 고운 모시 적삼도
할머니 따라
하늘길 갔다.
<지문3> 국어 2-1: 6. 작품 속의 말하는이- 칠석날(곽재구)
1) 채송-화(합성어):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
2) 꽃-밭(합성어): 꽃을 심어 가꾼 밭.
3) 손-금(합성어): 손바닥의 살갗에 줄무늬를 이룬 금.
4) 꽃-씨(합성어): 화초의 씨앗.
5) 이승-길(합성어): 지금 살고 있는 세상.
6) 낮-달(합성어): 낮에 보이는 달.
7) 동무-삼다(합성어): 친구로 관계를 맺는다.
8) 하늘-길(합성어):
9) 반-닫이(합성어): 앞의 위쪽 절반이 문짝으로 되어 아래로 젖혀 여닫게 된, 궤 모양의 가구.
10) 쪽-물(합성어): 여
이 때, 지리산자락 외진 마을에 한 농사꾼 내외가 살았어. 산비탈에 밭을 일구어 구메농사나 지어먹으며, 그저 산 입에 거미줄이나 안 치는 걸 고맙게 여기고 살았지. 그렇게 살다가 늘그막에 아기를 하나 낳았는데, 낳고 보니 아기 탯줄이 안 잘라져. 가위로 잘라도 안 되고 낫으로 잘라도 안 되고, 작두로 잘라도 안돼. 별짓을 다해도 안 되더니 산에 가서 억새풀을 베어다 그걸로 탯줄을 치니까 그제야 잘라지더래.
<지문2> 국어 2-2: 2. 이야기의 구조- (1) 아기 장수 우투리
1) 지리산-자락(합성어): 지리산의 넓은 부분
2) 농사-꾼(파생어): 농사짓는 일꾼이라는 뜻으로, \'농부01(農夫)\'를 달리 이르는 말.
3) 내-외(합성어):①남자와 여자. ②남의 남녀 사이에 서로 얼굴을 마주 대하지 않고 피함. ③=부부(夫婦)
4) 산-비탈(합성어): 산기슭의 비탈진 곳.
5) 구메-농사(합성어):농사 형편이 고르지 못하여 곳에 따라 풍작과 흉작이 같지 않은 농사. ≒혈농(穴農). ②작은 규모로 짓는 농사.
6) 지어-먹다(합성어): 마음을 도슬러 가지다(?), 농사지으며 살다.
7) 거미-줄(합성어): 거미가 뽑아낸 줄. 또는 그 줄로 된 그물.
8) 탯-줄(합성어): 태아와 태반을 연결하는 교질의 흰 육관(肉管). 이를 통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며, 신진대사를 한다.
9) 별-짓(합성어): 보통과 다른 행동거지.
10) 억새-풀(합성어): \'억새\'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 할머니
채송화 꽃밭에서
손금 다 닳아진 손으로
꽃씨 받으시다가
이승길 구경 나온
낮달 동무삼아
하늘길 갔다.
반닫이 속
쪽물 고운 모시 적삼도
할머니 따라
하늘길 갔다.
<지문3> 국어 2-1: 6. 작품 속의 말하는이- 칠석날(곽재구)
1) 채송-화(합성어):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
2) 꽃-밭(합성어): 꽃을 심어 가꾼 밭.
3) 손-금(합성어): 손바닥의 살갗에 줄무늬를 이룬 금.
4) 꽃-씨(합성어): 화초의 씨앗.
5) 이승-길(합성어): 지금 살고 있는 세상.
6) 낮-달(합성어): 낮에 보이는 달.
7) 동무-삼다(합성어): 친구로 관계를 맺는다.
8) 하늘-길(합성어):
9) 반-닫이(합성어): 앞의 위쪽 절반이 문짝으로 되어 아래로 젖혀 여닫게 된, 궤 모양의 가구.
10) 쪽-물(합성어): 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