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2.1.북방신화와 남방신화의 차이
2.2.건국 신화들간의 공통점
2.3.주몽 신화와 탈해신화 비교
2.4.단군신화, 박혁거세 신화, 주몽신화 비교
2.본론
2.1.북방신화와 남방신화의 차이
2.2.건국 신화들간의 공통점
2.3.주몽 신화와 탈해신화 비교
2.4.단군신화, 박혁거세 신화, 주몽신화 비교
본문내용
다. 혁거세와 알영의 결혼은 바로 태양과 태음의 결합으로 해와 달의 결합을 말한다. 신화 속의 박혁거세와 알영은 어느 한 쪽의 우열관계를 뚜렷이 알 수 없다. 이점으로 혁거세 집단이 경주 지역에 일단 이주한 뒤 알영 집단과 혼인 동맹을 통하여 세력을 확장하여 왕위에 나아간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혼인에 있어서 위와 같이 남.녀 동등한 관계는 단군신화나 주몽신화에 나오는 환웅과 웅녀의 관계 및 해모수 와 하백녀의 관계와는 완전히 다르다. 단군신화와 주몽신화에 나타나는 혼인담이 남성 우월 쪽의 우월한 배경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면, 신라 박혁거세 신화에 나타나는 혼인담은 양자의 우열관계가 크게 부각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한 마디로 전자에는 혼사의 일방성이 후자에는 혼사의 대등성이 드러나는 것이 차이다.
혼인에 있어서 위와 같이 남.녀 동등한 관계는 단군신화나 주몽신화에 나오는 환웅과 웅녀의 관계 및 해모수 와 하백녀의 관계와는 완전히 다르다. 단군신화와 주몽신화에 나타나는 혼인담이 남성 우월 쪽의 우월한 배경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면, 신라 박혁거세 신화에 나타나는 혼인담은 양자의 우열관계가 크게 부각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한 마디로 전자에는 혼사의 일방성이 후자에는 혼사의 대등성이 드러나는 것이 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