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작품 분석 - 흥부가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소리 작품 분석 - 흥부가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1절 연구목적

제2장 판소리 작품 개관
1)춘향가
2)심청가
3)흥보가
4)적벽가
5)수궁가

제3장 <흥보가>의 매력
1)작품의 경개와 전승바디
2)미적 표현효과와 정서적 특질
3)작품에 투영된 의식과 주제

제4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명하다 굶주림에 지친 흥보의 여남은 자식들이 부모에게 입맛대로 이것저것 해달라고 조르는 대목이나, 흥보가 놀보집에 찾아가 먹을 것을 애걸하다가 도리어 몽둥이로 두들겨 맞는 대목, 흥보 박타는 대목 등 작품 전반을 통해 두루 확인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작중 상황을 형상화하는 구체적인 전략이다. 그리고 이 문제는 비단 「흥보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판소리 일반에서 제기되는 사안이기도 하다. 판소리 연창에서 가장 중요한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연창이 이루어지는 대목에서 미적 표현효과와 정서적 체험을 극대화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판소리 연창자는 우선 사설을 매우 다채롭게 짜나간다. 대부분의 경우 열거와 반복의 수사기법을 동원하여 풍부한 묘사와 서술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대상의 이미지를 강화 확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여기에다 사설 내용과 작중 상황에 걸맞는 창조를 결합함으로써 , 그 대상을 구체적이고도 생동적으로 그려나가는 것이 특징이다.
「흥보가」를 위시한 판소리는 바로 이와 같은 구체적이고도 생동적인 이미지와 형상을 통해 미적 표현효과와 정서적 체험을 극대화한다. 그리하여 예의 ‘흥보치레’대목에서와 같이 세속적 욕망과 현실적 삶의 고난이 빚어내는 갈등을 구상적으로 그려나가기도 하고, ‘놀보심보’ 대목에서와 같이 관습화된 규범이나 미의식으로부터 벗어난 일탈적 정서 체험을 가능하게 하기도 한다.
그런데, 「흥보가」는 이와 같은 상황적 의미와 정서들을 특히 ‘웃음을 동반한 상태에서 체험하게 한다는데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일상적 삶의 현실에서 야기되는 심각한 문제들을 제기하면서도, 그것을 진지하게 표현하기는 커녕, 청중들로 하여금 어리둥절한 기분이 들게 하는 가운데 텁텁한 웃음으로 용해시켜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나아가 이 경우의 웃음은 대부분 대상의 희화하로부터 비롯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희화화된 웃음-해학성‘이야말로 「흥보가」의 미적 정서적 특질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은 ‘희화화된 웃음-해학성’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 있는것일까? 널리 알려진 흥보의 ‘수숫대집’대목은 이 문제를 살필 수 있는 적절한 예 가운데 하나다.
흥보는 집도 없이 집을 지으려고......집 제목을 내려하고 수수밭 틈으로 들어가서, 수수대 한 뭇을 베어다가 안방, 대청, 행랑, 몸채 두루짚어 말집을 꽉 짓고 돌아보니 수수대 반뭇이 그저 남았구나. 방안이 넓던지 말던지, 양주(兩主)들어누워 기지개 켜면 발은 마당으로 가고, 대고리는 뒷곁으로 맹자아래 대문하고, 엉덩이는 울타리 밖으로 나가니, 동리 사람이 출입하다가 이 엉덩이 불러들이소 하는 소리, 흥보 듣고 깜짝놀라 대성통곡 우는 소리......집안이 먹을 것이 있던 없던지, 소반이 네발로 하늘게 축수하고, 솥이 목을 매여달렸고, 조리가 턱걸이를 하고, 밥을 지어 먹으려면 책력을 보아 갑자일이면 한때씩 먹고, 새양쥐가 쌀알을 얻으려고 밤낮 보름을 다니다가, 다리에 가래토시 서서 파종(破腫)하고 앓는 소리, 동리사람이 잠을 못자니, 어찌 아니 설울손가. 「경판 흥보전」 김동욱 외 편저, 『한국고전소설선』, 새굴사, 1965, 151~153면. 현재 연창되는 창본의 경우에서는 그 형상이 실감나게 그려지는 예가 드물기에 편의상 이를 인용했다.
이 대목에서 제기되는 근원적인 문제는 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가난’이다, 그런데 그 ‘가난’에 대한 실제의식은 웃음을 터뜨리지 않을 수 없는 형상들이 줄줄이 엮어지면서 어느 결엔지 증발해 버린다. 조목조목 따져보면 눈물이 앞을 가릴 만큼 비참한 생활상이지만, 그것을 극단적인 과장과 기상천외한 비유로써 희화화하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4.17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4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