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헬벨 캐논 변주곡을 통해 바라본 클래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헬벨 캐논 변주곡을 통해 바라본 클래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기

♠우리의 대주제, 클래식이란 무엇일까요
<바로크 음악>
<고전음악-Classic Music >

♠캐논 변주곡에 대하여 살펴봅시다
1.카논(Kanon) 이란 무엇인가?
2.파헬벨의 카논
3.수많은 변주곡들

♠캐논 기법

♠클래식과 관련된 국악 이야기

♠캐논 변주곡과 연관된 음악가들

*참고자료

본문내용

리고 피아노 협주곡 \'황제,\' 오페라 \'피델리오\' 등이 있다.
♠캐논 변주곡에 대하여 살펴봅시다
1. 카논(Kanon) 이란 무엇인가?
카논(Kanon)과 캐논(Canon) - 카논은 독일어, 캐논은 영어.-_-; 우리나라 사람들은 영어 발음이 캐논을 주로 사용한다.
많은 사람들이 ‘카논’을 영화 <엽기적인 그녀>에서 전지현이 연주한 피아노 곡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 카논은 일정의 작곡 형식을 뜻하는 용어이다.
카논은 법칙, 규칙이라는 의미를 지닌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같은 주제가 다른 성부에서 그대로 변화되어 반복되는 기법인 ‘모방대위법’ 형식을 말한다. 바로크 시대는 대위법적 짜임새가 기악음악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시기로, 이러한 경향을 대표하는 것이 바로 ‘모방대위법’이다. 어린 시절 ‘다 같이 돌자 동네 한바퀴’를 돌림노래로 이어 부른 것과 비슷한 형식이다.
즉, 카논은 한 선율이 먼저 주어진 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타성부에서 모방되는 형식을 말하며, 선행하는 선율을 ‘leader’(주제), 모방하는 선율을 ‘follower\'(응답)라고 한다. 이러한 카논 형식은 곡 전체에 걸쳐 사용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카논의 유형에는 확대 카논, 축소 카논, 역행 카논, 투영 카논, 수수께끼 카논 등이 있는데 카논은 엄격한 모방에 의거한 한 형식이긴 하지만 엄격한이란 일정한 규칙(카논)을 엄격히 지킨다는 뜻일 뿐, 반드시 후속성부가 선행성부의 형태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2. 파헬벨의 카논
앞서 말했듯 카논은 바로크 시대에 가장 유행한 형식이다. 그 중 파헬벨의 카논이 가장 유명하기 때문에 오늘날 사람들에게 ‘카논 = 파헬벨’이라는 등식이 생긴 것이다. 영화 클래식에서 영화에 삽입된 곡이 바로 파헬벨의 <카논 D장조>로, 현악 4중주로 연주 되었다.
파헬벨(Pachelbel, Johann 1653-1706)은 후기 바로크시대 작곡가인 ‘바흐\' 이전 중기 바로크시대의 독일음악가로서, 오르간 음악의 대가이며 작곡가이며 오르간 연주자이다.
그가 1791년 출판한 <음악의 즐거움(Musicalishe Ergetsung)> 트리오 소나타집은 사라방드, 지그, 가보트, 쿠랑트 등 그때 당시 유행했던 춤곡 형태로 이루어진 6개의 모음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 우리가 익히 들어온 카논의 원곡인 가 포함되어 있다. 악기 편성은 바이올린 3부와 콘티누오(통주저음)로 되어 있다. 연주 형식은 4/4박자로, 먼저 콘티누오가 오스티나토 주제를 느리게 연주하기 시작한다. 이 주제는 베이스로 일괄하여 계속되며 28회나 되풀이 된다. 제 3마디에서 제 1바이올린아 폭 넓은 멜로디를 켜면서 들어오면 두 마디는 늦게 제 2바이올린이 이엇을 다부지게 따라 가고 다시 두 마디 늦게 제 3바이올린이 뒤따라서 드디어 캐논이 시작된다. 4분음표의 선율은 차례로 세밀하게 구분되어 화려함을 늘려가고 흡사 밀려봤다 밀려가는 물결처럼 훌륭한 효과를 낸다. 그리고 강약이 지시된 것이 빠져 있지만 현악합주로 될때에는 전곡이 크레센도를 이루도록 흔히 연주되고 있다. 이 곡은 그가 1678년에서 1690년에 걸쳐 에아푸르트에서 활동하던 시대에 작곡한 것으로, 대위법이 고도의 기교로 쓰여 있지만 전체의 인상은 매우 폭이 넓고 친숙하기 쉬우며 독일 바로크 시대 직업 음악가의 참모습을 보여준 걸작이라고 할 수 있다.
‘지그’ (Gigue) 란 바로크 시대 모음곡에 사용한 8분의 12박자내지 8분의 6박자 등의 고대 이탈리아에서 나온 남유럽의 빠르고 쾌할한 춤곡이다. 그것이 영국에 들어가 영국의 지그 춤곡과 합쳐 널리 쓰이게 되었으며,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예술화되었다...
원곡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카논은 경쾌한 춤곡인 \'지그(Gigue)\'와 한쌍을 이루어져 있으며 오늘날 다양한 악기들를 위하여 또는 관현악과 현악 합주곡으로 편곡되어 자주 연주되고 있지만 카논과 한쌍인 \'지그\'를 대부분 제외하여 카논만 따로 연주하다든지 개인적으로 파헬벨의 원곡이 다른 편곡판에 왜곡되어 파묻혀 잊어지게되고 본곡이 지닌 순수함과 진실성을 상실하는것 같아 안타깝다..
3. 수많은 변주곡들
음악의 내용이나 메시지보다 선율미에 집중되는 바로크 시대의 음악의 특성을 지닌 카논은, 역시 선율의 반복이 특징인 오늘날의 뉴에이지 음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카논은 하나의 선율이 서로 흉내내고 뒤쫓아가면서 이루어 내는 화음이 마치 건축 양식 같은 짜임새로 신선함, 그러면서도 대단히 로맨틱한 분위기를 풍기기 때문에 클래식 뿐만 아니라 대중음악, 영화, CF 등에서도 널리 사랑받으며 인용되고 있다. 카논은 지금까지 피아노, 바이올린, 기타, 하프, 플롯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악기로 연주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황병기 씨가 가야금으로 카논 변주곡을 연주하여 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영화 엽기적인 그녀에서 전지현이 연주한 곡은 조지 윈스턴의 <카논 변주곡 (Variations of Canon)>을 작곡가 김형석이 편곡한 것이다.
* 대표적인 카논 변주곡들.(레포트에 포함시켜야 될지 고민.. 어쩔까요?;;)
1. Aphrodite\'s Child의 ‘Rain and Tears’
2. 조지 윈스턴의 ‘Variations of Canon’
3. 서울 새울 가야금 삼중주단의 ‘가야금 삼중주를 위한 파헬벨의 캐논’
4. 피아노와 기타로 연주한 ‘Variations of Canon’
♠캐논 기법
캐논은 법칙, 규칙이라는 의미를 지닌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음악에 가장 엄격한 모방수법에 의한 대위법적음악형식을 말한다.
바흐가 활동한 바로크 시대는 대위법적 짜임새가 기악음악에 있어서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시기로, 이러한 경향을 대표하는 것으로써 \"모방 대위법\"을 들 수 있다.
모방 대위법은 같은 주제가 다른 성부에서 그대로 변화되어 반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캐논은 한 선율이 먼저 주어진 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 또는 그 이상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4.1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0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