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발제자료
1) 왕따 현상의 실태
2) 왕따 현상의 원인
3) 왕따 현상의 대책과 방안
4) 외국의 학교폭력 - 일본의 학교폭력을 중심으로
5) 발제 자료를 토대로 한 토론 문제
3. 결론
* 참고문헌
2. 발제자료
1) 왕따 현상의 실태
2) 왕따 현상의 원인
3) 왕따 현상의 대책과 방안
4) 외국의 학교폭력 - 일본의 학교폭력을 중심으로
5) 발제 자료를 토대로 한 토론 문제
3.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 기성세대 모두의 책임이기도 하다.
이러한 왕따 현상은 단순히 개인의 특성에만 초점을 맞추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는 것을 우리 조의 토론을 진행하면서 그리고 다른 조의 의견을 접하면서 확실히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학교는 문제발생 이전에 예방활동이 가능하다는 점, 따돌림이 주로 학급 내에서 일어난다는 점, 그리고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 모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어느 현장보다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따돌림 예방 뿐 아니라 해결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 또한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돌림은 부모의 성격특성이나 양육태도와 깊은 관계가 있으며 부모의 적극적 관심과 지지는 긍정적인 상담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우리 조가 조사한 많은 기사 분석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따돌림은 피해자, 가해자 모두가 문제가 되는 대인관계 패턴을 반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개인적 차원에서의 지도나 상담을 필요로 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 피해자에게는 반복적으로 피해대상이 되거나 가해자의 행동에 대한 강화요인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는 상담방법이 적용되고, 가해자에게는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이나 자기과시의 표현으로 따돌림과 같은 가해행동을 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에 조원들 모두 입을 모았다. 자료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접하게 된 따돌림 당하는 청소년 중에서 많은 수가 어린 시절부터 따돌림경험을 반복하고 있었고, 가해 청소년들은 폭력을 통한 문제해결이라는 그릇된 삶의 방식을 익히게 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식의 피해 혹은 가해가 반복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발견 즉시 적절한 개입이 있어야만 할 것이다.
무엇보다 많은 청소년 문제에 대한 관심이 그랬듯이 문제가 제기되는 시점에는 크게 관심을 기울이다가 문제근절에 대한 의지 없이 뒷걸음질치는 일이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것이 우리 조의 마지막 결론이다. 따돌림은 학교, 가정, 상담전문기관, 여러 운동단체가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해결책을 찾으려는 의지가 있을 때에만 근절될 수 있다. 따돌림을 통해 우리가 좀더 관심을 가져야 할 문제는 바로 우리 신세대의 인간관계와 인간관계를 둘러싼 정서구조가 아닐까 한다. 특히 인간보다 컴퓨터에 더 친숙하고 컴퓨터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N세대(net generation)가 과연 실제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 갈 것인지 우리 조는 우려하게 된다. 앞으로는 컴퓨터를 통해 사람을 만나고 제한된 방식의 대화를 나누며,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사이버 인간과의 교류도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들 사이버 공간에 존재하는 인간과 교류를 하다가 갈등이나 긴장이 생겨나면 간단히 클릭해서 더 이상 그 인간을 존재하게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전이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을 하게 된다. 따라서 오늘날의 따돌림문제는 단순히 문제해결 차원이 아닌 인간관계에 대한 폭넓은 교육의 문제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것이 따돌림을 단순히 아이들 사이의 갈등 정도로만 보아 넘겨서는 안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는 우리의 한 학기 동안의 학교 폭력(집단 따돌림)에 관한 토론의 종합적 의견인, 청소년 왕따 문제 근절과 바람직한 인간교육을 위해서는 개인과 학교, 사회가 각자의 본분에 맞는 연계적 활동을 전개해야한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대부분 청소년 문제가 사회적으로 관심을 끌만한 사건이 터진 후 사후약방문 식으로 대대적인 주목을 받다가 금새 관심에서 사라진 경우가 많았었다. 그러나 청소년 문제는 일회적인 관심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꾸준한 관심과 연구, 그리고 실천적 노력이 요구되는 ‘백년지계(百年之計)’에 해당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따돌림 문제도 단회적인 관심에서 벗어나 청소년 분야의 전문가들이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적극적인 문제의 해결 및 예방에 주력해야 할 주제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 http://www.cyberwangdda.or.kr
- 소년한국일보 2002년10월24일자
- 한국일보 2001년11월22일자
- 중앙일보 2001년 12월 8일자
- 김두현(2002). 일본의 학교폭력 실태와 그 예방대책. 청소년지도학연구 제2권 제2호. 한국청소년 지도학회.
- 뉴스추적 : 영혼의 파괴자, 왕따’ 중에서 2004년 3월 26일
- http://hps79.mytripod.co.kr/ro/14.htm
- 김두현(1997). 청소년법과 행정. 삼영사.
- 김두현(2002). 일본의 학교폭력 실태와 그 예방대책. 청소년지도학연구 제2권 제2호. 한국청소년지도학회.
- 김종기(1996). 폭력은 싫어요- 학교폭력예방과 지도- .청소년폭력예방재단.
- 오경자 외 2명(2001). 청소년 폭력실태조사 .청소년보호위원회.
- 이민희 외 3명(1998). 청소년폭력예방대책 모델 개발 - 청소년 지역사회 네트워크 개발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개발원.
- 윤철경 외2명(1999). 학교붕괴 실태 및 대책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 청소년보호위원회(1998). 외국의 청소년프로그램 제2권. 청소년보호위원회.
- 松本良夫(1996). 學校は子どもたちにどう 關わつてきだか - 國の 近代學校- 二五年の 軌跡. 靑少年問題硏究會,「靑少年硏究」.
- 文部省初等中等敎育局(1995).「いじめ對策 マニコラル」.
- 日本文部省(1995). いじめの 問題の 解決の ために 當面取る べき方策についで. 「いじめ對策緊急會議報告」.
- Hiroko. Got(1999). School Violence and the Children in Japan. The 1st international forum on initiatives for Safe School. Korea Citizen\'s foundation on initiative for Safe School
*목 차
1. 서론
2. 발제자료
1) 왕따 현상의 실태
2) 왕따 현상의 원인
3) 왕따 현상의 대책과 방안
4) 외국의 학교폭력 - 일본의 학교폭력을 중심으로
5) 발제 자료를 토대로 한 토론 문제
3. 결론
* 참고문헌
이러한 왕따 현상은 단순히 개인의 특성에만 초점을 맞추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는 것을 우리 조의 토론을 진행하면서 그리고 다른 조의 의견을 접하면서 확실히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학교는 문제발생 이전에 예방활동이 가능하다는 점, 따돌림이 주로 학급 내에서 일어난다는 점, 그리고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 모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어느 현장보다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따돌림 예방 뿐 아니라 해결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 또한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돌림은 부모의 성격특성이나 양육태도와 깊은 관계가 있으며 부모의 적극적 관심과 지지는 긍정적인 상담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우리 조가 조사한 많은 기사 분석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따돌림은 피해자, 가해자 모두가 문제가 되는 대인관계 패턴을 반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개인적 차원에서의 지도나 상담을 필요로 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 피해자에게는 반복적으로 피해대상이 되거나 가해자의 행동에 대한 강화요인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는 상담방법이 적용되고, 가해자에게는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이나 자기과시의 표현으로 따돌림과 같은 가해행동을 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에 조원들 모두 입을 모았다. 자료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접하게 된 따돌림 당하는 청소년 중에서 많은 수가 어린 시절부터 따돌림경험을 반복하고 있었고, 가해 청소년들은 폭력을 통한 문제해결이라는 그릇된 삶의 방식을 익히게 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식의 피해 혹은 가해가 반복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발견 즉시 적절한 개입이 있어야만 할 것이다.
무엇보다 많은 청소년 문제에 대한 관심이 그랬듯이 문제가 제기되는 시점에는 크게 관심을 기울이다가 문제근절에 대한 의지 없이 뒷걸음질치는 일이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것이 우리 조의 마지막 결론이다. 따돌림은 학교, 가정, 상담전문기관, 여러 운동단체가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해결책을 찾으려는 의지가 있을 때에만 근절될 수 있다. 따돌림을 통해 우리가 좀더 관심을 가져야 할 문제는 바로 우리 신세대의 인간관계와 인간관계를 둘러싼 정서구조가 아닐까 한다. 특히 인간보다 컴퓨터에 더 친숙하고 컴퓨터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N세대(net generation)가 과연 실제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 갈 것인지 우리 조는 우려하게 된다. 앞으로는 컴퓨터를 통해 사람을 만나고 제한된 방식의 대화를 나누며,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사이버 인간과의 교류도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들 사이버 공간에 존재하는 인간과 교류를 하다가 갈등이나 긴장이 생겨나면 간단히 클릭해서 더 이상 그 인간을 존재하게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전이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을 하게 된다. 따라서 오늘날의 따돌림문제는 단순히 문제해결 차원이 아닌 인간관계에 대한 폭넓은 교육의 문제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것이 따돌림을 단순히 아이들 사이의 갈등 정도로만 보아 넘겨서는 안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는 우리의 한 학기 동안의 학교 폭력(집단 따돌림)에 관한 토론의 종합적 의견인, 청소년 왕따 문제 근절과 바람직한 인간교육을 위해서는 개인과 학교, 사회가 각자의 본분에 맞는 연계적 활동을 전개해야한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대부분 청소년 문제가 사회적으로 관심을 끌만한 사건이 터진 후 사후약방문 식으로 대대적인 주목을 받다가 금새 관심에서 사라진 경우가 많았었다. 그러나 청소년 문제는 일회적인 관심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꾸준한 관심과 연구, 그리고 실천적 노력이 요구되는 ‘백년지계(百年之計)’에 해당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따돌림 문제도 단회적인 관심에서 벗어나 청소년 분야의 전문가들이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적극적인 문제의 해결 및 예방에 주력해야 할 주제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 http://www.cyberwangdda.or.kr
- 소년한국일보 2002년10월24일자
- 한국일보 2001년11월22일자
- 중앙일보 2001년 12월 8일자
- 김두현(2002). 일본의 학교폭력 실태와 그 예방대책. 청소년지도학연구 제2권 제2호. 한국청소년 지도학회.
- 뉴스추적 : 영혼의 파괴자, 왕따’ 중에서 2004년 3월 26일
- http://hps79.mytripod.co.kr/ro/14.htm
- 김두현(1997). 청소년법과 행정. 삼영사.
- 김두현(2002). 일본의 학교폭력 실태와 그 예방대책. 청소년지도학연구 제2권 제2호. 한국청소년지도학회.
- 김종기(1996). 폭력은 싫어요- 학교폭력예방과 지도- .청소년폭력예방재단.
- 오경자 외 2명(2001). 청소년 폭력실태조사 .청소년보호위원회.
- 이민희 외 3명(1998). 청소년폭력예방대책 모델 개발 - 청소년 지역사회 네트워크 개발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개발원.
- 윤철경 외2명(1999). 학교붕괴 실태 및 대책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 청소년보호위원회(1998). 외국의 청소년프로그램 제2권. 청소년보호위원회.
- 松本良夫(1996). 學校は子どもたちにどう 關わつてきだか - 國の 近代學校- 二五年の 軌跡. 靑少年問題硏究會,「靑少年硏究」.
- 文部省初等中等敎育局(1995).「いじめ對策 マニコラル」.
- 日本文部省(1995). いじめの 問題の 解決の ために 當面取る べき方策についで. 「いじめ對策緊急會議報告」.
- Hiroko. Got(1999). School Violence and the Children in Japan. The 1st international forum on initiatives for Safe School. Korea Citizen\'s foundation on initiative for Safe School
*목 차
1. 서론
2. 발제자료
1) 왕따 현상의 실태
2) 왕따 현상의 원인
3) 왕따 현상의 대책과 방안
4) 외국의 학교폭력 - 일본의 학교폭력을 중심으로
5) 발제 자료를 토대로 한 토론 문제
3. 결론
* 참고문헌
추천자료
선수개인차원의 폭력내용과 극복방안, 영국 훌리건 사례를 통한 관중폭력에 대한 대책에 관한...
[가정폭력][폭력가장][아내구타][가족문제][가족복지][폭력]가정폭력의 정의, 가정폭력의 원...
[청년실업][청년실업정책][실업정책][실업문제][실업대책][실업]청년실업의 원인과 청년실업...
[중도탈락][중퇴][자퇴][실업계]실업계고등학교 기피현상에 따른 실업계고등학교 중도탈락의 ...
[안전사고]학교학생사망사고의 문제제기, 학교학생사망사고의 해결상 문제, 학교학생사망사고...
교실붕괴(학교붕괴, 학급붕괴)의 의미와 문제제기, 교실붕괴(학교붕괴, 학급붕괴) 관점과 실...
[사립학교][사립학교법][일본의 사립학교]사립학교의 역사, 사립학교의 이념, 사립학교와 교...
[학교홈페이지][학교홈페이지 이용 사례][인터넷]학교홈페이지의 정의, 학교홈페이지의 필요...
[학교보건]학교보건의 개념, 학교보건의 업무전산화, 학교보건과 양호교사, 학교보건과 신체...
[학교][역할갈등][학교거부증][환경운동 사례][학교의 내실화방안]학교의 의미, 학교의 변천...
[학교공동체][도덕교육][사이버폭력]학교공동체의 특성, 학교공동체의 전제조건, 학교공동체...
[학교교육][미국의 학교교육 사례][학교교육의 제고 방안]학교교육의 목적, 학교교육의 수준,...
가족 복지 문제 해결방안 대책(한부모,편부모, 맞벌이, 재혼, 폭력) 가정폭력(원인, 실태, 현...
학교 폭력의 유형 분석 사례 (신체, 언어, 공갈, 강요, 따돌림, 성폭력, 사이버폭력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