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자소개
2. 내용
1장. 예비적 고찰
2장. 핍박자 바울
3장 다메섹 사건
4장 바울의 복음: 계시
5 장에서는 바울의 복음, 기독론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6장 바울의 복음: B. 기독론
7장 바울의 복음: C. 구원론
느낀점
2. 내용
1장. 예비적 고찰
2장. 핍박자 바울
3장 다메섹 사건
4장 바울의 복음: 계시
5 장에서는 바울의 복음, 기독론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6장 바울의 복음: B. 기독론
7장 바울의 복음: C. 구원론
느낀점
본문내용
들이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있으며, 핍박자 바울은 어떠했으며, 왜 핍박자였는지에 대하여 저자는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저자는 세밀하고도 논리적으로 많은 견해들과 논지들을 정리해가면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고 있어서 논문을 아주 명쾌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저자는 다메섹 사건에 대한 바울의 해석을 고찰하기에 앞서 그 배경으로서 회심과 소명 전 바울의 생애와 사상을 2장에서 살펴보려 하는 것 같다. 바울은 길기기아의 수도인 ‘다소’에서 출생하였다. 저자는 비교적 풍부한 자료를 가지고 바울의 배경에 대하여 설명하여 준다. 여기에 또한 다소성에 대한 풍부한 자료들을 만나 볼 수 있다. 여기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많은 논지 전개에 있어서, 저자는 지역적, 환경적, 성경적으로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들을 뒷받침해 그의 주장을 근거하는데, 이 점이 이 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아주 마음에 든다. 다시 이야기로 돌아와서 바울은 디아스포라 유대교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많으며 그는 출생하기는 다소에서 출생하였으나 실제로는 예루살렘에서 성장하였을 가능성이 더 많다. 바울이 예루살렘에어 성장했는가에 대한 견해도 분분하지만 저자는 바울이 예루살렘에서 오랫동안 성장하였을 가능성을 더 지지한다. 바울의 탁월한 헬라어 구사력, 히브리어 성경보다 70인경을 선호한 점, 그리고 당시 통용되던 헬라적 요소들이 그의 서신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점 등이 바울이 초기에 예루살렘에서 성장하였다는 견해를 뒷받침해준다. 바울이 자신을 ‘율법으로서의 바리새인이라’(빌 3:5;cf.행 26:5)고 소개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