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의 목적
2.실험 방법 및 과정
3.실험 Data 처리
4.토의
5.참고문헌
2.실험 방법 및 과정
3.실험 Data 처리
4.토의
5.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아세톤 냄새를 자꾸 맡게 되어서 약간의 띵함을 느끼게 되었다. 다음조가 실험을 할 땐 마스크등을 사용 하는것도 좋은 방편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5.참고문헌
① 흡착 공학과 과학 - 임 굉 편저-1~10
② http://www.labgate.com/ (사진에 사용된 기구 찾아낸 사이트)
③ 물리 화학, 여철현, 김양미, 신두순, page 819~826
④ 물리 화학 및 실습, 성주경, page 290~291
⑤ 물리 화학 실험, 권오천, page 114~116
제출일 : 2006. 03. 30 (목) 나는 이 보고서를 정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이름: 남 상 웅 (서명)
구 분
초 기 농 도
취한산의 부피(㎖)
적정량 (㎖)
1
0.5N
5㎖
3.3㎖
2
0.4N
10㎖
4.2㎖
3
0.3N
20㎖
5.8㎖
4
0.2N
30㎖
5.8㎖
5
0.1N
40㎖
2.8㎖
6
0.05N
50㎖
3.6㎖
<계산과정>
1번(초기농도 0.5N, 취한산의 부피 5㎖,적정량 3.3㎖)의 과정만 보임
① 흡착 후의 산의 농도 ( αN )
NV (산) = N\'V\' (염기)
αN×취한 산의 양 = 적정에 필요한염기(NaOH)의 농도× NaOH의적정량
αN × 5㎖ = 1N × 3.3㎖
⇒ α = 0.66N
② 흡착 전 산의 양 ( βg )
흡착 전 산의 농도 = βg / 산의 몰수 × 산의 부피
즉, β에 관해 쓰면
흡착 전 산의 농도 × 산의 몰수 × 산의 부피 = βg
0.5N × 60.05g/mol × 0.005L = 0.15g
⇒ β = 0.15g
③ 흡착 후 산의 양 ( γg )
흡착 후 산의 농도 = γg / 산의 몰수 × 산의 부피
즉, γ에 관해 쓰면
흡착 후 산의 농도 × 산의 몰수 × 산의 부피 = γg
0.66N × 60.05g/mol × 0.005L = 0.198g=0.20g
⇒ γ = 0.20g
④ 흡착 된 산의 양 ( δg )
흡착 전 산의 양 - 흡착 후 산의 양 = δg
예) 0.15g - 0.20g = -0.05g
⇒ δ = -0.05g
구 분
초기농도
흡착후농도(α)
흡착전산의양(β)
흡착후산의양(γ)
흡착된산의양(δ)
1
0.5N
0.66N
0.15g
0.20g
-0.05g
2
0.4N
0.42N
0.24g
0.25g
-0.01g
3
0.3N
0.29N
0.36g
0.35g
0.01g
4
0.2N
0.19N
0.36g
0.34g
0.02g
5
0.1N
0.07N
0.24g
0.17g
0.07g
6
0.05N
0.07N
0.15g
0.21g
-0.06g
⑤ C : 흡착 후 산의 농도
W: 활성탄의 무게
X: 흡착된 산의 양(δg) / 산의 몰수 ( 60.05 g/mol )
구 분
C
W
X
실험값 (X/W)
C/(X/W)
1
0.66N
2g
-0.0008326
-0.0004163
-1588.06
2
0.42N
2g
-0.0001665
-0.0000832
-5048
3
0.29N
2g
0.0001665
0.00008326
348.3
4
0.19N
2g
0.00033
0.0001666
1140
5
0.07N
2g
0.0001166
0.0000583
1201
6
0.07N
2g
-0.0009999
-0.0004999
-140.02
⑥Langmuir 등온 흡착식( 음의 값을 갖는 값이 존재하므로 최소자승법을 써서 등온 흡착식을 나타내기 어렵다.그래서 식만 소개하고 계산은 하지않도록 하겠다.)
〔 c/( X/W) 〕 = 1/K + c / Nm
1 / Nm = ( N ∑xy - ∑x∑y ) / ( N ∑x2 - (∑x)2)
1/K = (∑x2-∑y-∑xy∑x) / (N∑x2 - (∑x)2)
(X/W) = NmKC / (1+KC) = KC/(1+kC)
5.참고문헌
① 흡착 공학과 과학 - 임 굉 편저-1~10
② http://www.labgate.com/ (사진에 사용된 기구 찾아낸 사이트)
③ 물리 화학, 여철현, 김양미, 신두순, page 819~826
④ 물리 화학 및 실습, 성주경, page 290~291
⑤ 물리 화학 실험, 권오천, page 114~116
제출일 : 2006. 03. 30 (목) 나는 이 보고서를 정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이름: 남 상 웅 (서명)
구 분
초 기 농 도
취한산의 부피(㎖)
적정량 (㎖)
1
0.5N
5㎖
3.3㎖
2
0.4N
10㎖
4.2㎖
3
0.3N
20㎖
5.8㎖
4
0.2N
30㎖
5.8㎖
5
0.1N
40㎖
2.8㎖
6
0.05N
50㎖
3.6㎖
<계산과정>
1번(초기농도 0.5N, 취한산의 부피 5㎖,적정량 3.3㎖)의 과정만 보임
① 흡착 후의 산의 농도 ( αN )
NV (산) = N\'V\' (염기)
αN×취한 산의 양 = 적정에 필요한염기(NaOH)의 농도× NaOH의적정량
αN × 5㎖ = 1N × 3.3㎖
⇒ α = 0.66N
② 흡착 전 산의 양 ( βg )
흡착 전 산의 농도 = βg / 산의 몰수 × 산의 부피
즉, β에 관해 쓰면
흡착 전 산의 농도 × 산의 몰수 × 산의 부피 = βg
0.5N × 60.05g/mol × 0.005L = 0.15g
⇒ β = 0.15g
③ 흡착 후 산의 양 ( γg )
흡착 후 산의 농도 = γg / 산의 몰수 × 산의 부피
즉, γ에 관해 쓰면
흡착 후 산의 농도 × 산의 몰수 × 산의 부피 = γg
0.66N × 60.05g/mol × 0.005L = 0.198g=0.20g
⇒ γ = 0.20g
④ 흡착 된 산의 양 ( δg )
흡착 전 산의 양 - 흡착 후 산의 양 = δg
예) 0.15g - 0.20g = -0.05g
⇒ δ = -0.05g
구 분
초기농도
흡착후농도(α)
흡착전산의양(β)
흡착후산의양(γ)
흡착된산의양(δ)
1
0.5N
0.66N
0.15g
0.20g
-0.05g
2
0.4N
0.42N
0.24g
0.25g
-0.01g
3
0.3N
0.29N
0.36g
0.35g
0.01g
4
0.2N
0.19N
0.36g
0.34g
0.02g
5
0.1N
0.07N
0.24g
0.17g
0.07g
6
0.05N
0.07N
0.15g
0.21g
-0.06g
⑤ C : 흡착 후 산의 농도
W: 활성탄의 무게
X: 흡착된 산의 양(δg) / 산의 몰수 ( 60.05 g/mol )
구 분
C
W
X
실험값 (X/W)
C/(X/W)
1
0.66N
2g
-0.0008326
-0.0004163
-1588.06
2
0.42N
2g
-0.0001665
-0.0000832
-5048
3
0.29N
2g
0.0001665
0.00008326
348.3
4
0.19N
2g
0.00033
0.0001666
1140
5
0.07N
2g
0.0001166
0.0000583
1201
6
0.07N
2g
-0.0009999
-0.0004999
-140.02
⑥Langmuir 등온 흡착식( 음의 값을 갖는 값이 존재하므로 최소자승법을 써서 등온 흡착식을 나타내기 어렵다.그래서 식만 소개하고 계산은 하지않도록 하겠다.)
〔 c/( X/W) 〕 = 1/K + c / Nm
1 / Nm = ( N ∑xy - ∑x∑y ) / ( N ∑x2 - (∑x)2)
1/K = (∑x2-∑y-∑xy∑x) / (N∑x2 - (∑x)2)
(X/W) = NmKC / (1+KC) = KC/(1+kC)
추천자료
박층 크로마토 그래피 (Thin Layer Chromatography)실험
(환경오염) 토양오염의 실태와 토양오염 관련 정책의 문제점 및 해결책
[대기오염개론] 대기오염의 영향
전공실험 고정층과 유동층
식품기사 필답형 정리
크로마토그래피의 모든 종류와 원리에 대해서 조사하고 실험한 레포트
토양오염조사
기체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화학적 처리
문화재 보전 퀴즈모음입니다.
순환 전압 전류법 (Cyclic Voltammetry, CV)
실험보고서 -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실험[결과 ]
유기화학 크로마토그래피 - 얇은 층 크로마토그래피 (TLC).PPT자료
【식품화학실험】 09 - TLC :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유지의 지방산 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