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식생활 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베트남의 식생활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베트남 식생활 문화의 배경
(1)베트남의 지형
(2)베트남의 기후
(3)베트남의 민족성
(4)베트남의 종교

2.음식문화의 특징
(1)음식문화의 일반적인 특징
(2)지역별 음식
(3)베트남의 식습관
(4)티트 초 (개고기 문화)

3.대표적 음식

4.대표적 음료

5.식사의 구성 및 식사예절
(1)식사의 구성
(2)식사예절

※참고문헌 및 인터넷 SITE

본문내용


신자는 적으나 베트남 자생 종교 다오까오다이(Dao Cao Dai)가 있다. 까오다이교는 1926년 사이공 북서쪽 떠이닌(Tay Ninh)지방에서 응오민찌에우(Ngo Minh Chieu)에 의해 창시되었다. 까오다이교는 기존에 있던 유교, 불교, 천주교 사상을 종합하여 만든 일종의 혼합 종교이다. 교인들은 인간의 선한 마음과 평등을 상징하는 턴못맛(Than 1 mat: 눈이 하나인 신)을 섬기며 흰옷을 입고 채식을 한다. 까오다이교는 반 프랑스 운동을 펼쳐 당시 억압받던 사이공 남부 지방에 급속히 퍼져 나갔다. 떠이닌지방은 구찌터널과 가까우므로 두 곳을 1일 투어로 돌아 볼 수 있다.
2. 음식문화의 특징
중국인도프랑스 등의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음식문화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아시아와 유럽의 음식이 조화를 이루며 전통적인 베트남음식이 발달하였다. 중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냄비를 이용해 볶거나 튀기는 요리가 많지만 중국음식보다 기름을 적게 쓴다. 태국음식보다는 신맛단맛매운맛을 내는 조미료를 적게 쓰며, 커리음식이 별로 없다. 음식재료로 쌀국수닭고기채소를, 향신료로 생강고수레몬그라스박하를, 조미료로 라임 즙생선간장을 많이 사용하는 점에서는 태국음식과 비슷하다.
(1)음식문화의 일반적인 특징
① 주식과 부식의 구별이 뚜렷하며, 밥을 국육류생선채소로 만든 소박한 반찬과 함께 먹는다.
② 채소와 어패류를 많이 이용하고, 긴 중국 젓가락을 사용한다.
③ 기름을 적게 사용하여 맛이 담백하고 산뜻하다.
④ 음식에 코코넛밀크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⑤ 태국음식보다 자극적인 향신료를 적게 사용하여 덜 맵다.
⑥ 생선을 발효시켜 만든 느억맘(nuoc mam)이 중요한 조미료이다.
⑦ 특유의 향을 지닌 향미채소를 여러 음식과 함께 생것으로 먹는다.
(2) 지역별 음식
베트남은 50여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별 음식을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베트남 음식은 대체로 남부중부북부의 세 지역으로 나누어지는데, 북부는 짜면서 맵게, 남부는 약간 달게, 중부는 맵게 맛을 낸다.
① 남부지역
메콩강 하류에 퍼져 있는 남부지역은 일년 내내 온도의 변화가 거의 없이 30。C 이상을 웃도는 더운 지역으로 베트남 제일의 곡창지대이다. 연중 매우 덥고 바다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생선, 해안 늪지대에서는 많은 양의 새우, 메콩강에서는 풍부한 민물고기가 잡힌다. 프랑스미국태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음식이 맛은 대체적으로 단데, 양념의 주가 되는 \'다레\'는 누쿠맘(생선을 발효시켜 만든 어장)에 라임이나 매운 고추가루를 섞어 만든 것이다. 중국식 국수를 만들 때에 국수에 섞는 천연 소다수인 \'간수이\'가 들어간 노란 면이나 튀김 면을 볼 수 있는 것도 남부지역이다.
② 중부지역
중부지역은 그대표적인 요리로 자주 \'후에\'요리가 등장한다. 후에는 한때(1802년~1945년) 베트남의 수도였기 때문에 아직도 그 당시의 격식을 갖춘 궁중요리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 지역의 요리 중 특징적인 것은 제육과 콩을 찐 요리인 가너우 도우와 봉황 모습으로 차려내는포옹황 카이비이, 새우튀김인카쿠온 치엔돈 등이 있다.
③ 북부지역
봄, 가을은 아주 짧고 겨울은 한국의 늦가을과 아주 비슷한 북부지역은 쌀이 풍부하고 겨울 동안에 온대성 채소가 풍부하게 생산된다. 음식의 전체적인 특징은 수도 하노이를 중심으로 발달했으며 남부보다는 음식이 덜 달고 덜 시면서 간이 약해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가느다란 면과 함께 채소로 싸서 먹는 \'깨\'에다 돼지고기, 새우, 표고 등을 섞어 튀긴 \'넴쿠아베\'와 게와 뱀장어를 넣고 볶은 잡채인 \'멘쿠우 루웅 사오\' 등이 있다.
(3) 베트남의 식습관
문화에 따른 식습관의 차이는 베트남에서도 나타난다. 예를 들어 동물의 젖이 과거 서구의 목초문화에서 크게 애용되었던데 반해 베트남인들에게는 동물의 배설물로 여겨져 어떠한 형대로도 식용된 적이 없다는 것이다.
베트남 요리는 성찬이며 축제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음식물을 준비하는 의식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육류나 기타 음식들은 식사 중에 자르는 것이 아니라 이미 요리과정에서 잘려지므로 식탁에서 포트는 필요 없다. 대신 이들은 식탁에서 질그릇과 숟가락, 그리고 나무, 상아나 은으로 된 젓가락을 사용한다.
베트남인들의 식습관은 공동생활의 특징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그들은 여러 사람이 같이 먹을 수 있도록 음식을 커다란 그릇에 담아 식탁 위에 놓고 공동으로 먹는다. 이들은 밥그릇을 항상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식사를 한다. 이는 밥그릇을 식탁에 놓고 숟가락으로 떠서 먹는 우리의 밥 먹는 습관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베트남인들은 찬물은 거의 마시지 않는데 이는 뜨거운 차를 마시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이며, 특별한 다도는 있지 않다. 시베리아 지역이나 북극지대에 사는 에스키모 또는 말레이시아 등에서 볼 수 있듯 빨대를 꽂아서 술을 마시는 풍습을 이곳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소수민족이 의식을 행할 때가 그때이다. 술을 마실 때 베트남인들은 상대방에게 술잔을 돌리는 법이 없다. 하지만 맥주나 순한 술을 즐기는 베트남인들은 상대방의 잔을 비우지 않게 계속 채워 주는 것을 잊지 않는다.
(4) 티트 초 (개고기 문화)
베트남의 수도인 하노이엔 사계절 흙탕물이 흐르는 쏭홍(붉은강)이 있다. 이곳 강변 데엔푸(De Yen Phu) 도로에는 개고기 식당들이 즐비하다.
우리나라 사람들 못지 않게 아니 그 이상 개고기를 좋아하는 베트남 사람들이다. 그들은 개고기를 티트 초(Thit Cho)라고 부른다. 요즘은 계절 구별 없이 잘들 먹지만 옛날엔 날씨가 서늘하거나 비가 내리는 날에만 개고기를 먹었다고 한다. 개고기는 칼로리가 높아서 더운 날 먹으면 열이 생겨 좋지 않다고 믿기 때문이다. 무역이나 장사를 하는 베트남 사람들은 월 초에는 개고기를 먹지 않는다. 일이 잘 안 풀리고 사업에 재수가 없다는 미신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베트남에서의 티드초는 한 살 남짓한 개를 잡아 요리한 것이 제일 맛있다고 한다.
한 살 남짓한 개라 함은 교배를 시작한 개를 말하는데, 개의 털 빛깔로 구별해, 이황, 삼쾅(khwang:털 색깔이 두 가지라는 뜻), 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4.30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7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