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원제국의 성립
(1) 쿠빌라이와 원의 건국
(2) 남송 정벌
3. 쿠빌라이의 마지막 다섯 차례 정벌
(1) 고려와의 관계
(2) 일본정벌
(3) 동남아 정벌
(4) 극한에 이른 몽골의 무력
4. 원대의 동서 문물 교류
5.맺음말
2. 원제국의 성립
(1) 쿠빌라이와 원의 건국
(2) 남송 정벌
3. 쿠빌라이의 마지막 다섯 차례 정벌
(1) 고려와의 관계
(2) 일본정벌
(3) 동남아 정벌
(4) 극한에 이른 몽골의 무력
4. 원대의 동서 문물 교류
5.맺음말
본문내용
병기도 수입되었다. 쿠빌라이 칸은 일 칸국의 포술사 알라 알딘과 이스마일을 초빙하여 대포를 만들게 하였는데, 몽골군은 이 대포를 사용하여 당시 남송군을 격멸하였다.
이 같은 서방 문물의 전래와 함RP 병행하였던 것은 종교의 전래였다. 당시 중국에는 아라비아, 페르시아 상인들이 많이 내왕하여 활동하였으므로 이슬람교가 크게 융성하였다. 기독교는 당대에 네스토리우스파가 들어왔으나 일시 쇠퇴하였다가 원대에 다시 교세를 확장하여 많은 교인을 두었는데, 주로 남러시아에서 몽골에 걸쳐 세력을 떨쳤다.
또한 이 시기에는 동방문화가 서방으로 많이 전파되었다. 중국의 도자기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되었다. 지금도 이란에서는 원대의 도자기가 많이 발견되고 있는데 이들 도자기는 모두 이때 수출된 것이다. 중국의 나침반이 아라비아인의 손을 거쳐 유럽에 전해졌는데, 나침반의 전래는 후일 유럽의 항해술 발달에 크게 공헌하였다. 화약도 이 때 이슬람 세계에 전해졌으며, 중국의 인쇄술도 일 칸국에 전해져 일 칸국의 교초 발행의 기반이 되었다.
이와 같이 원대에는 동서간의 육상, 해상 무역로와 많은 지선을 통해 당시 문명세계였던 서유럽, 인도, 동아시아 국가에까지 직접, 간접으로 연결되고, 또 몽골제국에 의해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군사적 안정과 질서가 확립되어 소위 타타르의 평화시대를 이루었으므로 동서간의 경제 교역과 문물 교류는 실로 극치에 달하였다. 그리고 역사상 처음으로 유럽과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사가 형성되고 동서 문화를 융합한 세계 문화가 수립되었다.
5. 맺음말
쿠빌라이의 업적은 당대(唐代) 이래 분열되어 있던 중국을 통일했다는 것이다. 이 업적은 그가 야만족·유목민 출신의 정복자라는 점 때문에 더욱 가치 있는 것이다. 중국의 공식 사서(史書)에서조차도 쿠빌라이는 존대를 받고 있다. 그는 1260년부터 연호를 쓰기 시작했고 남송이 붕괴하기 7년 전인 1271년부터 국호를 대원(大元)으로 제정·선포했다. 그는 몽골 북부에 오고타이가 세운 단명한 수도 카라코룸에서는 거처한 적이 없었고 그 당시 대도(大都)라고 알려진 지금의 베이징[北京]에 자신의 수도를 세웠다.
중국 전 지역이 몽골족의 손안에 들어오게 되자 중국 남부와 동부에서의 몽골 원정은 실제로 끝나게 되었다. 그러나 쿠빌라이는 중국의 위신을 회복하려는 목적으로, 아무런 소득도 없는 전쟁을 여러 번 벌였다. 또한 여러 차례에 걸쳐 주변 왕국들에게 턱없이 많은 조공을 요구했다. 미얀마, 인도차이나의 안남·참파, 자바, 일본 등이 조공을 바치도록 요구받은 나라들이었다. 몽골군은 또 원정에서 참패를 당한 적도 있었다. 1274, 1281년 2차례에 걸쳐 일본정벌 선단이 파견되었으나 모두 격파되었다. 선단이 대파된 것은 태풍의 탓도 있었고 일본의 결사항전 탓도 있었다.
쿠빌라이는 이 같은 식민전쟁의 나쁜 결과나 그 전쟁을 치르기 위해 염출된 비용 따위는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 이 식민전쟁은 그의 후계자 대에 가서 종식되었다. 마르코 폴로는 쿠빌라이가 일본에 금은 보화가 많다는 보고 때문에 일본을 합병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가 벌인 식민전쟁은 주로 정치적인 목적, 즉 중국을 다시 한 번 세계의 중심으로 만들겠다는 계획 아래 진행된 것이었다. 그러나 원이 붕괴되자 몽골족은 스텝 지역으로 다시 퇴각했고 그때 이래로 변방민족 이상의 역할은 하지 못했다.
※ 참고문헌
레이 황, 《중국, 그 거대한 행보》, 경당, 2002
백양, 《맨얼굴의 중국사4》, 창해, 2005
이춘식, 《중국사서설》, 교보문고, 2005
정성환, 《인물로 보는 중국역사4》, 신원문화사, 1994
장문평, 〈여.원(麗.元)의 일본원정〉, 《軍史17》, 1988
이 같은 서방 문물의 전래와 함RP 병행하였던 것은 종교의 전래였다. 당시 중국에는 아라비아, 페르시아 상인들이 많이 내왕하여 활동하였으므로 이슬람교가 크게 융성하였다. 기독교는 당대에 네스토리우스파가 들어왔으나 일시 쇠퇴하였다가 원대에 다시 교세를 확장하여 많은 교인을 두었는데, 주로 남러시아에서 몽골에 걸쳐 세력을 떨쳤다.
또한 이 시기에는 동방문화가 서방으로 많이 전파되었다. 중국의 도자기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되었다. 지금도 이란에서는 원대의 도자기가 많이 발견되고 있는데 이들 도자기는 모두 이때 수출된 것이다. 중국의 나침반이 아라비아인의 손을 거쳐 유럽에 전해졌는데, 나침반의 전래는 후일 유럽의 항해술 발달에 크게 공헌하였다. 화약도 이 때 이슬람 세계에 전해졌으며, 중국의 인쇄술도 일 칸국에 전해져 일 칸국의 교초 발행의 기반이 되었다.
이와 같이 원대에는 동서간의 육상, 해상 무역로와 많은 지선을 통해 당시 문명세계였던 서유럽, 인도, 동아시아 국가에까지 직접, 간접으로 연결되고, 또 몽골제국에 의해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군사적 안정과 질서가 확립되어 소위 타타르의 평화시대를 이루었으므로 동서간의 경제 교역과 문물 교류는 실로 극치에 달하였다. 그리고 역사상 처음으로 유럽과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사가 형성되고 동서 문화를 융합한 세계 문화가 수립되었다.
5. 맺음말
쿠빌라이의 업적은 당대(唐代) 이래 분열되어 있던 중국을 통일했다는 것이다. 이 업적은 그가 야만족·유목민 출신의 정복자라는 점 때문에 더욱 가치 있는 것이다. 중국의 공식 사서(史書)에서조차도 쿠빌라이는 존대를 받고 있다. 그는 1260년부터 연호를 쓰기 시작했고 남송이 붕괴하기 7년 전인 1271년부터 국호를 대원(大元)으로 제정·선포했다. 그는 몽골 북부에 오고타이가 세운 단명한 수도 카라코룸에서는 거처한 적이 없었고 그 당시 대도(大都)라고 알려진 지금의 베이징[北京]에 자신의 수도를 세웠다.
중국 전 지역이 몽골족의 손안에 들어오게 되자 중국 남부와 동부에서의 몽골 원정은 실제로 끝나게 되었다. 그러나 쿠빌라이는 중국의 위신을 회복하려는 목적으로, 아무런 소득도 없는 전쟁을 여러 번 벌였다. 또한 여러 차례에 걸쳐 주변 왕국들에게 턱없이 많은 조공을 요구했다. 미얀마, 인도차이나의 안남·참파, 자바, 일본 등이 조공을 바치도록 요구받은 나라들이었다. 몽골군은 또 원정에서 참패를 당한 적도 있었다. 1274, 1281년 2차례에 걸쳐 일본정벌 선단이 파견되었으나 모두 격파되었다. 선단이 대파된 것은 태풍의 탓도 있었고 일본의 결사항전 탓도 있었다.
쿠빌라이는 이 같은 식민전쟁의 나쁜 결과나 그 전쟁을 치르기 위해 염출된 비용 따위는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 이 식민전쟁은 그의 후계자 대에 가서 종식되었다. 마르코 폴로는 쿠빌라이가 일본에 금은 보화가 많다는 보고 때문에 일본을 합병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가 벌인 식민전쟁은 주로 정치적인 목적, 즉 중국을 다시 한 번 세계의 중심으로 만들겠다는 계획 아래 진행된 것이었다. 그러나 원이 붕괴되자 몽골족은 스텝 지역으로 다시 퇴각했고 그때 이래로 변방민족 이상의 역할은 하지 못했다.
※ 참고문헌
레이 황, 《중국, 그 거대한 행보》, 경당, 2002
백양, 《맨얼굴의 중국사4》, 창해, 2005
이춘식, 《중국사서설》, 교보문고, 2005
정성환, 《인물로 보는 중국역사4》, 신원문화사, 1994
장문평, 〈여.원(麗.元)의 일본원정〉, 《軍史17》, 1988
추천자료
신노사관계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문제점과 앞으로 발전방향
한중일3국의경제적관계변화와특징
국제관계와 한국(한미FTA)
한국의 노사관계와 노동조합에 관해 논하시오.
전자무역 관계 법규
[악의 축][북한]악의 축과 북한의 반응, 악의 축과 한반도정세, 악의 축과 이라크, 악의 축과...
한중관계의 역사적 흐름과 방향
[김정일시대, 김정일시대 군대기능, 김정일시대 북중경제관계, 김정일시대 동원경제체제, 권...
2002년(2000년대)의 미국정세와 국제질서, 2002년(2000년대)의 북미관계, 2002년(2000년대)의...
[한-중관계의 미래] 중국의 성장, 우리는 어떻게 전략적으로 대비해야하는가-
[세상읽기와논술D형] 이명박 정부 이후 현재까지 남북관계와 관련한 주요 현안들을 조사하여 ...
무역관계법 개인과제
[세계의역사 - 트럼프 당선] 트럼프 당선 이후의 한미 관계를 설정함에 있어, 한국이 선택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