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의 정의와 사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의 정의와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덤마케팅
(1)개념
(2)사례

2.공동마케팅
(1)개념
(2)사례

3.향기마케팅
(1)개념
(2)사례

4.촌티마케팅
(1)개념
(2)사례

5.스타마케팅
(1)개념
(2)사례

6.감성마케팅
(1)개념
(2)사례

7.칼라마케팅
(1)개념
(2)사례

8.커뮤니티마케팅
(1)개념
(2)사례

9.영화마케팅
(1)개념
(2)사례

10.귀족마케팅
(1)개념
(2)사례

본문내용

소를 협찬함으로써 간접 광고 효과도 거두고 있다.
-기아차, LPG업계와 공동마케팅
기아자동차가 LPG 업계와 공동마케팅을 추진하고 있어 관심이다. 기아차는 오는 4월 초 선보일 UN (프로젝트명)의 출시시기에 맞춰 LPG충전소에 신차를 전시하고, 원하는 고객에게 시승기회도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UN은 LPG 차량인 카렌스 후속모델이다. 기아차는 지난달 LP가스공업협회를 방문해 이같은 방식의 공동마케팅을 제안했고, 협회측도 최근 총회를 거쳐 공조활동에 돌입했다. 기아차와 LP가스공업협회는 UN의 공식 런칭에 앞서 오는 23일 LPG업계만을 대상으로 신차발표회도 가질 예정이다. 기아차는 전국 대도시 50여개 LPG충전소에 차량 전시 및 시승마케팅을 펼칠 계획으로, 현재 충전소를 대상으로 희망신청을 받고 있다. 기아차 관계자는 LPG업계와 공동마케팅을 펼칠 경우 기아차는 신차를 적극적으로 홍보할 수 있고, 업계는 신차가 많이 팔릴수록 충전소의 잠재고객을 확보하게 돼 상생의 효과가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와 관련, UN은 지난 2000년 출시된 GM대우의 레조 이후 6년 만에 출시되는 LPG RV형 신차로,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또 UN은 일반 승용차에만 사용됐던 LPLi 엔진이 탑재되면서 시동성과 출력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알려졌다. UN은 과거 카렌스가 준중형급 세피아의 엔진을 변형했던 것과는 달리 중형 로체 엔진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질적인 측면에서도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고유가 장기화로 휘발유의 주유소 평균가격이 리터당 1464.78원(2월4째주 기준)인데 비해 LPG 충전소의 자동차용부탄은 789.61원에 불과, LPG 차량의 판매증가가 예상된다. 실제로 국내시장에서 2002년 224만4097대를 팔았던 LPG 승용차는 2003년 15만5393대, 2004년 12만1482대로 하락세를 보이다 지난해 13만7762대로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3.향기마케팅
(1) 개념
인간의 감각기관 중 향기와 관련된 후각기관, 코, 뇌의 작용, 심리상태 등을 연구하여 소비자들의 구매 행태를 자극하는 판매촉진 마케팅의 한 분야이다. 향기가 사람의 피로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는 아로마테라피(향기치료)가 알려지면서부터 시작되었는데, 그 용도가 넓어지고 향기 상품도 대중화되었다.
이 마케팅은 1990년대 영국의 마케팅 분야에서 향기를 이용한 마케팅이 이론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여 실제 제품화한 것은 일본이다. 1949년 일본의 한 비누회사가 제품 특성을 나타내는 향료를 잉크에 섞어 인쇄하거나 극소형 향료 캡슐을 종이에 바르는 방법으로 신문에 냄새광고를 게재한 것이 세계 최초이다. 이 마케팅 기법에는 제품에서 직접 향기가 나게 하는 직접 향기마케팅과, 향기를 이용하여 향기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간접 향기마케팅이 있다. 직접 향기마케팅은 제품에서 향기가 직접 나오는 샴푸의류 등을 통해서 제품 자체의 품질유지고가정책향기요법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예를 들면, 향기가 나는 와이셔츠, 중고자동차에 가죽향을 뿌려 새 차를 사는 듯한 만족감을 주어 매출 증대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다. 간접 향기마케팅은 주로 공간을 이용한 향기마케팅이다. 일반업소 및 가정에 향기를 품어주어 향기가 가진 여러 기능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숲속향이 나는 노래방은 마치 산속 느낌을 주어 고객들에게 신선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고객확보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가구점에 소나무향을, 빵집에 커피향을 품어주어 구매 의욕을 자극한다.
(2) 사례
움직일 때마다 향기가 나는 옷이 한 섬유업체의 대표에 의해 개발. - 섬유업체 J&C익스프레스대표인 이원복씨(35)가 바로 그 주 인공으로 그는 기발한 아이디어 상품으로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음. - 이사장이 만들어 \'향그린\'이란 상표로 등록한 \'향기나는 옷\'은 초미세 향수캡슐이 섬유에 부착되어 있어 옷을 입고 움직일 때 마다 캡슐들이 터지면서 향기가 퍼져나오는 옷으로 개발하는데 2년이 걸렸다고 함. - 현재 특허청에 특허출원 작업이 진행중. - 한국외국어대학 영어과를 86년에 졸업한 그는 87년부터 월마트 한국지사에 근무하다 섬유업체로 옮겨 세일즈맨으로 활동. - 향기산업이 유망한 분야가 되리라고 진단한 그는 향기나는 옷을 만들면 히트칠거라는 생각에서 연구에 착수했다는 것.
o \'향그린\'의 특징
- 세계 최고수준인 일본의 초미세 캡슐 기술을 도입, 노하우는 미세한 캡슐을 섬유에 부착시키는 기술임. - 지금까지 향기나는 옷이 수입되어 팔리긴 했으나 향기를 내는 방식이 향이 담긴 주머니를 옷의 한귀퉁이에 부착시켜 향기를 뿜어내는 식이었음. - \'향그린\'은 원단 자체에 향캡슐을 부착시키는 혁신적인 방식으로 세탁을 20회까지 해도 향을 유지. - 향을 적용할 수 있는 섬유도 실크, 코튼, 폴리에스터, 니트, 선 염직물 등 모든 소재가 망라.
- 무엇보다도 \'향그린\'이 주목받는 이유는 지금까지 나온 향기제품과는 달리 화학향이 전혀 가미되지 않은 100% 순수 자연향을 원료로 제조한다는 것. - 천연향은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향기의 낭만적인 분위기를 낼 뿐 아니라 의상을 통해 \'아로마테라피\'라고 불리는 향기치료요 법도 가능해졌음.
- 예를들어 장미향은 기분을 밝고 유쾌하게 만들며 숙취제거 피부 미용에 효과가 뛰어난 기능을 갖고 있으며, 솔잎향은 스트레스 해소 긴장완화 진해거담 효과가 있고, 라벤더향은 숙면을 도 와주고 가벼운 화상에 좋다는 등 각각의 향기가 갖고 있는 특 별한 기능을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음.
o 기대효과 및 전망
- 업계는 \'향그린\'이 등장함으로써 의류및 패션산업에 새로운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되며 패션과 의상제작의 개념자체에 커다란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전망. - 즉 향기를 빼고는 옷을생각할 수 없는 시대가 올거라는 얘기.
4. 촌티마케팅
(1) 개념
현대사회는 하루하루가 다르게 많은 첨단기술과 제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사람들은 그 물결에 발맞추어 가려고 바쁜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 역류하여 과거의 물품이나 향수를 자극하는 것들을 이용한 마케팅이 등장했다. 일명 ‘촌티 마케팅’이다.
촌티 마케팅은 시간에

키워드

마케팅,   개념,   사례,   정의,   촌티,   커뮤니티,   감성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5.02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