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놀이란
2. 민속놀이의 역사적 변천
3. 민속놀이의 분류와 종류
(1) 양반층
① 투호
② 격구
③ 장기
④ 바둑
⑤ 시패
⑥ 승경도 놀이
(2) 서민층
① 답교놀이
② 줄다리기
③ 강강술래
④ 석전
⑤ 고누
⑥ 비석치기
⑦ 씨름
⑧ 투전
4. 현재의 놀이들
① 화투
② 노래방
5. 소감
2. 민속놀이의 역사적 변천
3. 민속놀이의 분류와 종류
(1) 양반층
① 투호
② 격구
③ 장기
④ 바둑
⑤ 시패
⑥ 승경도 놀이
(2) 서민층
① 답교놀이
② 줄다리기
③ 강강술래
④ 석전
⑤ 고누
⑥ 비석치기
⑦ 씨름
⑧ 투전
4. 현재의 놀이들
① 화투
② 노래방
5. 소감
본문내용
을 보내왔을 때 그를 구정에서 성대하게 맞았다,
이것은 고려가 건국초기에 앞선 시기부터 존재하여 온 구정을 계속 운영하면서 격구를 진행해 왔다는 것을 말하여 준다,
고려에서는 한때 격구를 금지하거나 왕이 격구를 보는 것까지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것은 격구가 말타기와 공치기를 겸하는 격렬한 놀이로서 운동량이 많은 놀이라는 이유 때문이었다, 또 봉건통치자로서 하급 군사들과 어울려 격렬한 놀이를 하는 것은 격에 맞지 않는 일이며 봉건도덕에 어긋나는 일로 여겼기 때문이다.
격구놀이 방법은 고려말의 사실을 적은 조선 <태조 실록>에 자세히 전한다, 이에 의하면 조선이 성립되었던 초기의 격구와 고려시대의 격구가 같았다고 볼 수 있다.
격구는 활쏘기 및 창쓰기와 함께 무술 삼재의 하나로 인정되었고 고려와 조선시대 군사들에게 필수적인 놀이가 되어 있었으며, 그것은 무술 시험의 주요 종목으로 조선시대의 법전들에 법규화 되었다,
격구는 놀이를 통해 체력을 단련하고 말타기를 익히며 동작을 민활하게 할 수 있는 유익한 놀이였다,
격구는 조선시대에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 조선시대에 가면서 격구는 하급 군사들의 체력단련이 아닌 일부 귀족들이 사치에 치우쳐 멋을 부리는 폐단이 있게 되었다, 때문에 조선초의 일부 관료들은 격구놀이에서 고려시대 양반 귀족들이 발로시켰던 폐단을 없애자고 들고 나왔었다.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 <민속놀이와 명절 上> 대산출판사, 2000, 147p~148p, 150p~152p, 156p
③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마주앉아 여러 가지 말을 판 위의 규정된 자리에다 놓고 엇바꾸어 하나씩 쓰면서 상대편의 말을 잡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이다.
장기는 그 수가 무궁무진하여 재미있으면서 사고력도 틔워 주는 흥미있는 놀이이다, 장기는 역사 기록에 의하면 ‘상희’, ‘상기’라고도 하였다.
장기의 연원에 대한 기록은 확실한 것이 없으나 고려 때에는 틀림없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옛 기록에는 흔히 바둑을 한자로 ‘’ 자로 썼으며, 장기는 ‘棋’ 자를 써서 바둑과 구분하였다, 이것은 모두 말을 가지고 노는 놀이인데 그 말의 재료가 바둑은 돌이고 장기는 나무이기 때문에 그렇게 구분한 것이다,
13세기 후반기 곽희분, 조정통이란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들이 ‘기’를 잘 놀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 때 이들이 논 기는 ‘碁’자로 씌어 있는 것으로 보아 바둑이었다, 그러나 11세기초 고려 방어군의 전선 사령관이었던 강조가 거란군이 침입해 왔을 때 통주성의 사령부에서 논 기는 ‘棋’자로 씌어 있다. 그리고 예성강의 노래‘에 나오는 기도 ’棋‘자로 씌어 있다. 따라서 이들이 논 기는 글자로 보아 장기였던 것이다.
장기는 말이나 장기판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그 속에 무궁무진한 수가 들어 있고 두는 사람의 성격을 잘 나타내는 점에서 아주 흥미있고 건전하며 명랑한 대중적 놀이의 하나이다.
장기는 어린이로부터 늙은이에 이르기까지 즐겨 놀 수 있고 지혜를 겨루는 좋은 놀이일 뿐 아니라 사람들의 사고력을 계발시켜 주며 생활을 즐겁게 해 주는 놀이이기도 하다.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 <민속놀이와 명절 上> 대산출판사, 2000, 175p~176p, 181p~182p
④ 바둑
바둑은 두 사람이 각기 흰 바둑돌과 검은 바둑돌을 나누어 가지고 그것을 바둑판의 줄금 교차점에 한 개씩 놓아가며 차지한 밭의 넓이로써 승부를 겨루는 놀이이다,
바둑은 이미 삼국시대의 기록에도 많이 보이는 놀이이다, 당시 바둑을 ‘위기’, ‘혁기’라고도 하였다.
기록에 고구려 사람들은 다른 놀이와 함께 바둑을 좋아하였다고 하였으며 백제에서도 바둑을 즐겨하였다고 씌어 있다. 그리고 고구려 사람들은 여러 가지 놀이 가운데서 특히 바둑을 제일 좋아하였다고도 씌어있다.
삼국시대에 바둑과 관련한 일화도 전해온다.
475년에 고구려의 중 도림이 거짓 죄를 짓고 백제로 망명하였다. 당시의 백제왕 근개루(개로왕)가 바둑을 몹시 좋아하였다. 도림이 바둑을 잘 두어 왕과 가까이 지내게 되었다. 도림이 바둑을 두면서 왕을 꾀어 국고를 탕진하게 만들어 고구려의 공격에 견딜 수 없게 하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개로왕은 고구려군에 의하여 죽고 나라는 부득이 수도를 웅진(공주)으로 옮기지 않을 수 없었다.
이와 같이 고구려, 백제, 신라 등 세 나라들에서 주로 봉건통치자들이 바둑을 즐겨 놀았던 것이다.
고려시대에도 바둑에 대한 역사 기록은 적잖다.
기록에 의하면 13세기 중엽에 곽희분, 조정통 들이 원(몽골)나라에 바둑 원정까지 갔다. 고 하였는데 이것은 고려시대의 바둑 수준이 매우 높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고려에서는 바둑을 잘 두는 사람을 ‘국수(國手)’라고 하였다.
바둑은 고려에 이어 조선시대에도 많이 즐겼다.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 <민속놀이와 명절 上> 대산출판사, 2000, 182p~184p
⑤ 시패
시패는 패쪽을 가지고 노는 놀이로서 시 한 글자씩 써 넣은 패쪽을 하나씩 집고 내놓고 하면서 먼저 시구 한 줄을 맞추어 내기를 겨루는 놀이이다.
시패는 조선시대 식자나 있는 사람들 속에서 시를 쉽게 외우려는 데서부터 시작된 놀이였다.
시패놀이 가운데서 대표적인 것은 똑같은 패쪽 600개를 만들어 그 매개 패쪽마다 한 글자씩 써 넣은 것을 엎어 놓고 그 가운데서 자기에게 필요한 글자를 골라 맞추는 것이었다, 그런데 근세에 와서는 패쪽을 많이 만들지 않고 필요한 숫자만큼 만들어 가지고 놀았다.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 <민속놀이와 명절 上> 대산출판사, 2000, 211p
⑥ 승경도놀이
승경도 놀이는 조선시대 양반층의 자제들이나 부녀자들 사이에서 성행했던 실내놀이로, 지방에 따라 승정도, 종정도, 정경도 등으로 불리며 놀이 방법도 말판이 조금씩 다른 형태로 전해지고 있다.
이 놀이는 말밭에 관직명을 차례로 적어 놓고 윤목을 던져 나온 숫자에 따라 말을 놓아 하위직에서부터 차례로 승진하여 고위 관직에 먼저 이르는 사람이 이기는 것으로, 양반의 자제들은 이 놀이를 함으로써 그들이 나아가야 할 벼슬길을 이해하게 되고 선비의 자세를 익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순신 장군이 쓰신 \'난중일기\'를 보면 비가오거나 날씨가
이것은 고려가 건국초기에 앞선 시기부터 존재하여 온 구정을 계속 운영하면서 격구를 진행해 왔다는 것을 말하여 준다,
고려에서는 한때 격구를 금지하거나 왕이 격구를 보는 것까지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것은 격구가 말타기와 공치기를 겸하는 격렬한 놀이로서 운동량이 많은 놀이라는 이유 때문이었다, 또 봉건통치자로서 하급 군사들과 어울려 격렬한 놀이를 하는 것은 격에 맞지 않는 일이며 봉건도덕에 어긋나는 일로 여겼기 때문이다.
격구놀이 방법은 고려말의 사실을 적은 조선 <태조 실록>에 자세히 전한다, 이에 의하면 조선이 성립되었던 초기의 격구와 고려시대의 격구가 같았다고 볼 수 있다.
격구는 활쏘기 및 창쓰기와 함께 무술 삼재의 하나로 인정되었고 고려와 조선시대 군사들에게 필수적인 놀이가 되어 있었으며, 그것은 무술 시험의 주요 종목으로 조선시대의 법전들에 법규화 되었다,
격구는 놀이를 통해 체력을 단련하고 말타기를 익히며 동작을 민활하게 할 수 있는 유익한 놀이였다,
격구는 조선시대에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 조선시대에 가면서 격구는 하급 군사들의 체력단련이 아닌 일부 귀족들이 사치에 치우쳐 멋을 부리는 폐단이 있게 되었다, 때문에 조선초의 일부 관료들은 격구놀이에서 고려시대 양반 귀족들이 발로시켰던 폐단을 없애자고 들고 나왔었다.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 <민속놀이와 명절 上> 대산출판사, 2000, 147p~148p, 150p~152p, 156p
③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마주앉아 여러 가지 말을 판 위의 규정된 자리에다 놓고 엇바꾸어 하나씩 쓰면서 상대편의 말을 잡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이다.
장기는 그 수가 무궁무진하여 재미있으면서 사고력도 틔워 주는 흥미있는 놀이이다, 장기는 역사 기록에 의하면 ‘상희’, ‘상기’라고도 하였다.
장기의 연원에 대한 기록은 확실한 것이 없으나 고려 때에는 틀림없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옛 기록에는 흔히 바둑을 한자로 ‘’ 자로 썼으며, 장기는 ‘棋’ 자를 써서 바둑과 구분하였다, 이것은 모두 말을 가지고 노는 놀이인데 그 말의 재료가 바둑은 돌이고 장기는 나무이기 때문에 그렇게 구분한 것이다,
13세기 후반기 곽희분, 조정통이란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들이 ‘기’를 잘 놀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 때 이들이 논 기는 ‘碁’자로 씌어 있는 것으로 보아 바둑이었다, 그러나 11세기초 고려 방어군의 전선 사령관이었던 강조가 거란군이 침입해 왔을 때 통주성의 사령부에서 논 기는 ‘棋’자로 씌어 있다. 그리고 예성강의 노래‘에 나오는 기도 ’棋‘자로 씌어 있다. 따라서 이들이 논 기는 글자로 보아 장기였던 것이다.
장기는 말이나 장기판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그 속에 무궁무진한 수가 들어 있고 두는 사람의 성격을 잘 나타내는 점에서 아주 흥미있고 건전하며 명랑한 대중적 놀이의 하나이다.
장기는 어린이로부터 늙은이에 이르기까지 즐겨 놀 수 있고 지혜를 겨루는 좋은 놀이일 뿐 아니라 사람들의 사고력을 계발시켜 주며 생활을 즐겁게 해 주는 놀이이기도 하다.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 <민속놀이와 명절 上> 대산출판사, 2000, 175p~176p, 181p~182p
④ 바둑
바둑은 두 사람이 각기 흰 바둑돌과 검은 바둑돌을 나누어 가지고 그것을 바둑판의 줄금 교차점에 한 개씩 놓아가며 차지한 밭의 넓이로써 승부를 겨루는 놀이이다,
바둑은 이미 삼국시대의 기록에도 많이 보이는 놀이이다, 당시 바둑을 ‘위기’, ‘혁기’라고도 하였다.
기록에 고구려 사람들은 다른 놀이와 함께 바둑을 좋아하였다고 하였으며 백제에서도 바둑을 즐겨하였다고 씌어 있다. 그리고 고구려 사람들은 여러 가지 놀이 가운데서 특히 바둑을 제일 좋아하였다고도 씌어있다.
삼국시대에 바둑과 관련한 일화도 전해온다.
475년에 고구려의 중 도림이 거짓 죄를 짓고 백제로 망명하였다. 당시의 백제왕 근개루(개로왕)가 바둑을 몹시 좋아하였다. 도림이 바둑을 잘 두어 왕과 가까이 지내게 되었다. 도림이 바둑을 두면서 왕을 꾀어 국고를 탕진하게 만들어 고구려의 공격에 견딜 수 없게 하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개로왕은 고구려군에 의하여 죽고 나라는 부득이 수도를 웅진(공주)으로 옮기지 않을 수 없었다.
이와 같이 고구려, 백제, 신라 등 세 나라들에서 주로 봉건통치자들이 바둑을 즐겨 놀았던 것이다.
고려시대에도 바둑에 대한 역사 기록은 적잖다.
기록에 의하면 13세기 중엽에 곽희분, 조정통 들이 원(몽골)나라에 바둑 원정까지 갔다. 고 하였는데 이것은 고려시대의 바둑 수준이 매우 높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고려에서는 바둑을 잘 두는 사람을 ‘국수(國手)’라고 하였다.
바둑은 고려에 이어 조선시대에도 많이 즐겼다.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 <민속놀이와 명절 上> 대산출판사, 2000, 182p~184p
⑤ 시패
시패는 패쪽을 가지고 노는 놀이로서 시 한 글자씩 써 넣은 패쪽을 하나씩 집고 내놓고 하면서 먼저 시구 한 줄을 맞추어 내기를 겨루는 놀이이다.
시패는 조선시대 식자나 있는 사람들 속에서 시를 쉽게 외우려는 데서부터 시작된 놀이였다.
시패놀이 가운데서 대표적인 것은 똑같은 패쪽 600개를 만들어 그 매개 패쪽마다 한 글자씩 써 넣은 것을 엎어 놓고 그 가운데서 자기에게 필요한 글자를 골라 맞추는 것이었다, 그런데 근세에 와서는 패쪽을 많이 만들지 않고 필요한 숫자만큼 만들어 가지고 놀았다.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 <민속놀이와 명절 上> 대산출판사, 2000, 211p
⑥ 승경도놀이
승경도 놀이는 조선시대 양반층의 자제들이나 부녀자들 사이에서 성행했던 실내놀이로, 지방에 따라 승정도, 종정도, 정경도 등으로 불리며 놀이 방법도 말판이 조금씩 다른 형태로 전해지고 있다.
이 놀이는 말밭에 관직명을 차례로 적어 놓고 윤목을 던져 나온 숫자에 따라 말을 놓아 하위직에서부터 차례로 승진하여 고위 관직에 먼저 이르는 사람이 이기는 것으로, 양반의 자제들은 이 놀이를 함으로써 그들이 나아가야 할 벼슬길을 이해하게 되고 선비의 자세를 익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순신 장군이 쓰신 \'난중일기\'를 보면 비가오거나 날씨가
추천자료
장승-전통문화의 이해
한국 연극의 산책 - 전통극(탈춤, 인형극, 판소리와 창극, 마당극)
탈춤과 마당놀이의 관련양상과 전통극의 현대적 수용
전통문양연구- 떡살
한국 전통극의 세계
한국 전통의 장례문화에 대해서
[한국민가]한국 전통민가 실례를 통해 본 목수들의 지식체계
한국연극과 전통극
한중일 전통놀이
국어국문학(희곡론) - 전통극과 가면극의 정의, 개념, 종류 문헌고찰
전통건축의 친환경성과 현대에의 적용_보고서
전통건축의 친환경성과 현대에의 적용_발표자료
[한국전통춤] 승무의 유래에 대한 조사
[민속][민속마을][민속촌][민속의례][민속담론][민속학][민속변용][민속신앙][민속현상][마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