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나라 대외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나라 대외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원과 남송과의 관계
(1) 원, 남송관계의 악화
(2) 남송을 애산(厓山)에서 멸망시키다.
2) 남해무역의 확대와 호상(豪商)과 포수경(蒲壽庚)
3) 원과 고려의 관계
4) 원과 일본과의 관계(일본원정의 실패)
5) 동서 교통로의 발달

3. 결론

본문내용

는 포수경이 산하의 해상 세력을 거느리고 원조 편에 서서 작전의 성공에 크게 기여함으로써 중용된 것은 원조 치하의 남해무역을 오히려 전대 이상으로 육성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아랍인이 포(蒲)씨 성을 갖게 된 것은 그들 사이에 많은 Abu~란 이름을 음사하여 한성(漢姓)으로 했기 때문이다. 당송 이후 남해무역이 번성하게 됨에 따라 중국 항구에 내항하고 거류하는 그들의 숫자도 늘었다. 중국 측에서는 그들을 위해서 각 항구에 ‘번방(蕃坊)’이라 일컫는 전용 거류지를 만들어 자유로운 체재를 인정했다. 포수경을 대표로 하는 그의 일가는 12세기 말부터 광주에서 이름을 날렸고, 이어서 천주로 이주하여 그의 세대에 들어갔다. 그는 이미 13세기 중반에는 복건해역의 해적을 평정하여 바다 항구무역의 사무를 관장하는 제거시박사에 임명되었다.
이 포수경이 남송에 등을 돌리고 원을 도운 결과 송원의 종말전은 막을 내렸고, 그 공을 인정받아 그는 강서행성, 복건행성의 집정에 발탁되었다. 따라서 남해무역에 관한 원조의 초기 대책이 포수경을 중심으로 전개된 것은 쉽게 추측할 수 있다. 특히 서역인에게 재무를 관장케 한다는 몽골조 이후의 전통은 원조에도 계성되어, 세조조 전반기에 해당하는 이 전후의 시기는 실제로 이슬람 재상 아흐마드가 재무장관을 겸하여 전권을 휘두르고 있었다. 그 아래에 있는 사라센 재무관리나 관할 하의 오르톡 상인, 그 밖에 맣은 사람들이 강남의 부유한 새로운 판도로 향해 가는 자가 적지 않았다. 남해무역의 막대한 이윤을 획득하고, 거기서 일하는 포수경 이하 자신들과 같은 부류들을 만나 연락을 취하기도 쉽고 의기도 쉽게 투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3) 원과 고려의 관계
몽골과 고려국과의 관계는 일찍이 태조 13년(1218)에 시작된다. 이보다 앞서 만주에서는 칭기스칸에 의한 금국침략의 개시에 호응해서 융안(길림성)에서 자립한 키타이 수령 야율류가가 금국의 요동 선무사 포선만노가 이끄는 토벌군을 패배시키고 함평(요녕성)으로 남하했다. 그는 요국을 칭하며 세력을 요동, 요서에 부식하고 있었는데, 때마침 부하의 배반으로 곤경에 빠져 태조에게 구원을 요청하였다. 몽골로서는 당연히 종속국을 원조해야 했고, 칭기스칸은 여기에 응해서 장군 하친을 파견했다. 이것은 몽골의 본격적인 요서경략의 단서가 되었다. 장군 하친은 야률류가와 협력해서 우선 간도지방으로 이동하여 자립한 포선만조의 동하국을 복종시키고, 그 여세를 몰아 위요국을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5.0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5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