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섬서성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섬서성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개황>

<섬서성의 음식>

<섬서성의 관광지>

<섬서성의 유명인>

<섬서성인들에 대한 인식>

<서안의 역사>

<장안의 역사>

<오늘날의 서안西安>

<서안사변-西安事變>

본문내용

었으며, 27세 때 정식으로 귀비(貴妃)로 책립되었다. 다년간의 치세로 정치에 싫증이 난 황제의 마음을 사로잡아 궁중에서는 황후와 다름없는 대우를 받았고, 세 자매까지 한국(韓國)괵국진국부인(秦國夫人)에 봉해졌다. 또한, 친척 오빠인 국충(國忠) 이하 많은 친척이 고관으로 발탁되었고, 여러 친척이 황족과 통혼(通婚)하였다. 그녀가 남방(南方) 특산의 여지라는 과일을 좋아하자, 그 뜻에 영합(迎合)하려는 지방관이 급마(急馬)로 신선한 과일을 진상(進上)한 일화는 유명하다. 755년 양국충과의 반목(反目)이 원인이 되어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키자(안사의 난), 황제귀비 등과 더불어 사천으로 도주하던 중 장안(長安)의 서쪽 지방인 마외역(馬嵬驛)에 이르렀을 때, 양씨 일문에 대한 불만이 폭발한 군사가 양국충(楊國忠)을 죽이고 그녀에게도 죽음을 강요하였다. 현종도 이를 막을 방법이 없자, 그녀는 길가의 불당에서 목을 매어 죽었다. 정사(正史)도 그녀를 자질풍염(資質豊儺)이라 적었으며, 절세(絶世)의 풍만한 미인인데다가 가무(歌舞)에도 뛰어났고, 군주(君主)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총명을 겸비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이백(李白)은 그를 활짝 핀 모란에 비유했고, 백거이(白居易)는 귀비와 현종과의 비극을 영원한 애정의 곡(曲)으로 하여 《장한가(長恨歌)》로 노래한 바와 같이, 그녀는 중국 역사상 가장 낭만적인 주인공이 되었다. 진홍(陳鴻)의 《장한가전(長恨歌傳)》과 악사(樂史)의 《양태진외전(楊太眞外傳)》 이후 윤색(潤色)은 더욱 보태져서, 후세의 희곡에도 좋은 소재를 제공하고 있다.
<섬서성인들에 대한 인식>
- 섬서사람은 산서사람처럼 철도, 숫자, 무게 관념이 발달하여 금융업방면에 뛰어난 자질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금융업에서 섬서 사람은 산서사람에 비하여 약간 뒤떨어진다. 전국에서 큰 금융업은 모두 산서사람이 장악하고 있는 반면에, 섬서사람은 무역과 작은 규모의 상업을 담당하고 있다.
<서안의 역사>
- 서안은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세운 호경(鎬京)에서 비롯되며, 그 뒤 한(漢)나라에서 당(唐)나라에 이르기까지 약 1,000여 년 동안 단속적이었으나 국도(國都)로 번영한 역사적 도시로 그동안 장안(長安)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왔다. 1943년에 시(市)가 설치되었다. 그와 동시에 진의 시황제, 한의 무제, 최거병, 당의 태종, 현측왕, 현종, 양귀비 등 역사상의 영웅과 히로인을 많이 배출했다. 시가지와 근교에는 그들의 활약을 과시라도 하듯 많은 명소가 있다.
또 서안은 실크로드의 기점으로도 유명하다. 한나라의 외교사절로 파견되었던 장오, 천축까지 불교 경전을 구하러 여행을 떠났던 현장 등, 여행자들은 이곳을 출발하여 이 땅으로 되돌아왔다. 실크로드라는 이름에 걸맞게 실크와 차, 자기 등은 중아앙시아를 통해 유럽으로 건너갔고, 중국에도 서방의 산물과 문화가 전해졌다.
서안은 아테네, 로마, 카이로와 함께 세계 4대 고도(古都)로 꼽히는 도시로 중국의 대표적인 관광 도시 중 하나이다. 기원전 11세기부터 서기 10세기까지 13개의 왕조나 정권이 서안에 도읍을 정하거나 정권을 세웠다. 서안 1100여년의 역사 속에서 서주(西周),진(秦),서한(西漢),당(唐)이 가장 흥성했던 시기라고 볼 수 있다.
과거 동양과 서양의 문화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실크로드의 기점이었던 서안에서는 수많은 역사인문경관을 볼 수 있다. 서안의 오랜 역사를 함께 해온 고성벽과 돌로된 서고(書庫)라 불리는 비림(碑林), 대안탑(大雁塔), 소안탑(小雁塔) 등의 건축물은 물론이려니와 사람들의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세계 8대 기적\' 중 하나인 진시황 병마용갱 그리고 중화민족의 발상지 중 하나로 반파(半坡)유적, 모계사회부터 부계씨족까지의 변천을 볼 수 있는 앙소(仰韶)문화와 용산(龍山)문화의 유적지 등 중화고대문명의 진귀한 유적들이 보존되어 있으니 \"오천년의 중국역사를 서안에서 볼 수 있다\"라는 말이 과언이 아니다. 수많은 외국인들이 중국을 여행할때 서안을 필수 코스로 잡는것도 당연하다.
<장안의 역사>
- 장안은 당(唐)나라때의 서안을 부르던 이름으로 우리에게도 친근한 명칭이다. 당 태종 때까지만 해도 장안의 재정이 궁핍했는데, 당 고종 때부터 조금씩 사정이 나아지다가 현종에 이르러 전성기를 이루며 로마와 함께 세계의 중심지로 등장했다. 당시 장안은 동서 10Km, 남북 8Km에 이르는 영토를 가진데다가, 인구는 150만 명이었다. 이 중 외국 사신들의 수는 약 4천명을 헤아렸다고 한다.
<오늘날의 서안西安>
- 오늘날 서안의 인구는 약 650만~700만명이며, 중국의 신흥 내륙 공업 지역 가운데 하나로 20여 개의 대학과 연구소들을 갖춘 교육 도시이기도 하다. 지금은 중국의 군수 공장, 우주연구센터 등 핵심적인 산업체가 있다. 또한 국내외에 많은 관광객이 찾는 관광도시, 그리고 서북부의 거점으로써 지속적인 발전을 이룩하고 있다
<서안사변-西安事變>
- 장학량(張學良)은 중국 북서지방의 서안에 주둔하고 있던 동북군(東北軍 : 만주군)의 지휘관이었다. 그는 장개석(蔣介石)이 중국 북부를 침략한 일본군에 대항해 항일전을 전력으로 수행하지 않고 반공(反共) 내전을 지속할 방침을 세우자, 이에 반대하여 장개석을 연금했다. 장개석이 석방되고 제2차 국공합작(國共合作)이 이루어지면서 이 사건은 끝났다. 1936년 12월 12일 장개석은 새로운 반공작전을 독려하기 위해 장학량의 사령부를 방문했을 때 장학량의 군대에 의해 체포되었다. 일본군의 점령하에 있는 자신들의 고향 만주땅을 수복하려는 일념에서 장학량의 부대는 장개석을 감금하고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내전정지, 항일을 위한 거국적인 통일전선 수립, 국민정부의 개각을 요구했다. 공산당은 장학량 부대의 요구조건에 전적으로 동조했으며, 주은래[周恩來]가 대표로 협상과정에 참여했다. 1936년 12월 25일 장개석은 이 제안에 대해 구두(口頭)로 승락한 후 석방되었다. 장개석은 공산당과 제2차 국공합작을 하기는 했지만, 장학량을 체포하여 항일전 기간 내내 연금상태에 두었다. 장학량은 1949년 타이완으로 끌려간 뒤에도 오랫동안 가택연금 상태에 있었다.

키워드

중국,   지역,   섬서성,   문화,   역사,   관광지,   음식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5.11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9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