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차 ---
Ⅰ. 들어가며
1. 주제 선택 이유와 의의
2. 조사 범위 및 방법
Ⅱ. 과자 이름 분류 와 인식 현황 분석
1.과자이름의 어종별 분류
2.과자이름 단어 형성별 분류
Ⅲ. 설문 조사
Ⅳ. 설문 결과 분석
Ⅴ. 제과류 이름의 의미와 네이밍 이론
1. 이름의 의미와 작명방식 조사
2. 좋은 이름과 좋지 않은 이름은? - 네이밍 이론
Ⅵ. 제과류 이름의 시대별 변천
Ⅶ. 결론
Ⅷ. 느낀점
<각자 맡은 부분>
<참고문헌>
<부록>
1. 과자이름 목록 : (가나다라 순)
2. 과자 이름 분류
3. 일지
Ⅰ. 들어가며
1. 주제 선택 이유와 의의
2. 조사 범위 및 방법
Ⅱ. 과자 이름 분류 와 인식 현황 분석
1.과자이름의 어종별 분류
2.과자이름 단어 형성별 분류
Ⅲ. 설문 조사
Ⅳ. 설문 결과 분석
Ⅴ. 제과류 이름의 의미와 네이밍 이론
1. 이름의 의미와 작명방식 조사
2. 좋은 이름과 좋지 않은 이름은? - 네이밍 이론
Ⅵ. 제과류 이름의 시대별 변천
Ⅶ. 결론
Ⅷ. 느낀점
<각자 맡은 부분>
<참고문헌>
<부록>
1. 과자이름 목록 : (가나다라 순)
2. 과자 이름 분류
3. 일지
본문내용
구마
7
바.초코 맛
초코다이제
13
초코송이
18
빅파이
8
촉촉한 초코칩
58
빈츠
14
사.곡물류
전통한과
7
오곡쿠키
22
조청유과
32
쌀로본
20
미사랑
17
아.해산물 맛
꽃게랑
40
오징어
4
자갈치
22
새우깡
23
오징어땅콩
14
자 빙과류
설레임
60
커피동자
3
쿠앤크
24
빙하시대
6
찰떡아이스
14
Ⅳ. 설문 결과 분석
설문 조사 (가)는 외래어이거나 외래어가 섞인 이름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맞추는 문항인데, 예상보다는 정답률이 높은 편이다. 그런데 뽀또와 죠리퐁은 외래어임에도 불구하고 선택률이 낮아 사람들이 이 이름들을 대부분 한글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설문 조사(나)는 이름의 뜻을 이해하는 정도를 알아보았는데, ‘오미야’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뒤로 죠리퐁, 오잉, 더브러 등이 있었다. 이 중 ‘오미야’는 한자어의 합성이며 죠리퐁은 영어 합성어이며, 오잉과 더브러(더불어)는 고유어이다.
설문조사 (다)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과류를 고를때 이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설문 조사를 (라)의 결과, 선호하는 제과류 이름을 선택한 이유로 첫 번째 ‘맛이 좋을 것 같아서’가 가장 많은 이유로 꼽혔는데 먹는 것이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맛이 선택에 가장 큰 기준이 됨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다음으로 ‘과자의 성분과 재료를 잘 들어내어서 감성을 자극한다’(조청유과,고구미,꽃게랑 등) 라는 이유가 많았다. 이는 소비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것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정겹거나 친숙한 이름이여서 선택했다는 의견이 많았다.(새우깡,설레임,고구미 등) 이는 달콤하거나 담백한 과자와 정겹거나 친숙함이 어울리기 때문에 먹고 싶은 심리를 더 자극하기 때문이다.네번째로는 세 번째와 비슷한데 ‘예쁜 이름이기 때문에’가 차지했다.(미사랑,초코송이 등) 다음으로 ‘발음이 쉽고 어감이 좋은 이름이기 때문에’가 차지했는데(예감, 설레임 등) 이는 과자와는 직접적 관련이 없는 이름이지만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선호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선택에 영향을 주는 것 같았다.
기타의견으로 ‘고급스럽고 세련되어서(샤브레)’, ‘기발해서’,‘ 몸에 좋을 것 같고(오곡쿠키) 정겨운 느낌이 들어서’, ‘부드러운 것 같다(촉촉한 초코칩)’ 등의 의견이 나왔다.
Ⅴ. 제과류 이름의 의미와 네이밍 이론
(1) 이름의 의미와 작명방식 조사
보통 우리말로 된 제과류의 이름들은 한번에 의미파악이 되지만, 요즘은 깊은 뜻을 가진 창조적인 합성어들이 등장하면서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아졌다.
우선 의미 파악이 쉽지 않은 이름 위주로 조사하였으며, 외래어인 경우는 조사대상에서 제외하였으나, 외래어인지 고유어인지 혼동이 되는 경우는 조사했다.
각 의미 조사에 더해 개인적인 분석과 평을 함께 작성했다.
조사한 제품명들은 대략 다음과 같이 분류되는데 먼저, 해석 없이는 뜻을 알 수 없는 제품명(오미야, 미사랑)과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그 뜻을 모르는 제품명(새우깡, 칸초, 조리퐁), 잘 알고 있는 뜻 뒤에 숨겨진 이중적인 뜻이 있는 것(요맘때, 설레임, 절대 신) 등이 있다.
① 새우깡 (감자깡, 고구마깡...): 특별한 뜻은 없으나, 음성으로부터의 연상효과가 있다.
: 새우깡은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불리워지고 있는 이름이다. 사실 새우깡이라는 브랜드명은 개발 당시 농심 신춘호 회장이, 어린 딸이 ‘아리랑’을 ‘아리깡 아리깡…’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힌트를 얻어 새우와 깡을 결합하여 `새우깡’ 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우리 민족 고유의 음식 이름 중 \"깡밥, 깡보리밥\" 등이 순박한 이미지로 가슴에 와 닿았고 \"뻥튀기\"도 같은 의미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자연스레 \"아리깡, 깡∼, 뻥∼\" 등의 이미지가 결합되면서 \"새우+깡\"이라는 단어가 태어났다.
새우깡이 히트한 이후로도 농심의 스낵제품에 ‘깡’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감자깡’, ‘고구마깡’, ‘양파깡’ 등의 제품을 출시했고 타사에서도 이를 원용하고 있어 ‘~깡’하면 대다수의 국민들이 스낵을 연상할 정도에 이르렀다.
② 두부 감빠: 고유어이나 잘 알려져 있지 않음. 일본어로 착각되는 경우가 있음.
: 감빠는 [감빨다]의 변칙어간이며, ‘감빨다’는 \"맛있게 먹다\" \"입맛을 붙이다\" “감칠맛 있게 빨다.” “야무지게 먹다”라는 뜻의 순수 우리말이다.
순 우리말이라고는 해도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일본어와 같은 느낌을 주므로, 친근감보다는 거부감을 줄 수 있다고 본다.
③ 칸쵸 : 외래어의 합성어이나, 고유어의 의태어와 같은 친근한 느낌을 준다.
: ‘칸’과 ‘쵸코’의 합성. \'칸(khan)\'은 영어로 제왕이라는 뜻이며 \'쵸\' 는 쵸코렛의 앞글자. 즉 쵸코의 제왕이라는 무거운 뜻이 있으나, 실제로는 마치 토끼가 뛰는 의태어 ‘깡총’을 연상시켜 친근한 효과가 있으며 어감이 귀엽워 어린 소비자 층을 겨냥한 듯 하다.
④ 꼬깔콘 : 고유어와 외래어의 합성어.
: 제품의 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원어는 \'고깔\'(세모지게 만든 모자) 인데, 발음을 개성있고 강하게 하기 위해 \"꼬깔\"이란 이름이 붙혀졌고, 옥수수를 주원료로 사용하였기에 \'콘\'을 붙였다.
⑤ 호두마루 : 고유어 합성어이나, 익숙하지 않은 고유어.
: “마루\"는 순 우리말로 \"높음\"을 이르는 말이다. 즉, 호두맛의 꼭대기라는 뜻.
⑥ 뽀또 - 외래어(프랑스어, poteau)이나 고유어와 같은 친근함이 있음.
: 왠지 친근한 유아어와 같은 느낌, 특히 ‘뽀뽀’와 ‘또’를 연상시키므로 한글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그러한 효과를 의도한 듯 하다. 불어로 ‘단짝’이라는 뜻.
⑦ 고프레 - 외래어 (프랑스어, gaufre)
: 영어 같지는 않고.. 배가 ‘고프다’에서 파생된 듯한 뉘앙스를 주지만 프랑스어.
⑧ 통크 - 고유어와 외래어의 합성어이나 외래어인 듯한 느낌을 줌.
: \'통’ 안에 ‘크’림에서 ‘통’과 ‘크’만을 떼어 만든 합성어.
⑨ 죠리퐁 - 외래어 합성어이나 고유어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음.
: jolly(즐거운,유쾌함)+pong(부풀리게 하다)의 합성어.
‘죠리’라는 부분 때문에, 한글인 듯한 느낌을 주지만 영어 합성어이다.
사실 ‘죠리’가 아니라 ‘
7
바.초코 맛
초코다이제
13
초코송이
18
빅파이
8
촉촉한 초코칩
58
빈츠
14
사.곡물류
전통한과
7
오곡쿠키
22
조청유과
32
쌀로본
20
미사랑
17
아.해산물 맛
꽃게랑
40
오징어
4
자갈치
22
새우깡
23
오징어땅콩
14
자 빙과류
설레임
60
커피동자
3
쿠앤크
24
빙하시대
6
찰떡아이스
14
Ⅳ. 설문 결과 분석
설문 조사 (가)는 외래어이거나 외래어가 섞인 이름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맞추는 문항인데, 예상보다는 정답률이 높은 편이다. 그런데 뽀또와 죠리퐁은 외래어임에도 불구하고 선택률이 낮아 사람들이 이 이름들을 대부분 한글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설문 조사(나)는 이름의 뜻을 이해하는 정도를 알아보았는데, ‘오미야’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뒤로 죠리퐁, 오잉, 더브러 등이 있었다. 이 중 ‘오미야’는 한자어의 합성이며 죠리퐁은 영어 합성어이며, 오잉과 더브러(더불어)는 고유어이다.
설문조사 (다)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과류를 고를때 이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설문 조사를 (라)의 결과, 선호하는 제과류 이름을 선택한 이유로 첫 번째 ‘맛이 좋을 것 같아서’가 가장 많은 이유로 꼽혔는데 먹는 것이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맛이 선택에 가장 큰 기준이 됨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다음으로 ‘과자의 성분과 재료를 잘 들어내어서 감성을 자극한다’(조청유과,고구미,꽃게랑 등) 라는 이유가 많았다. 이는 소비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것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정겹거나 친숙한 이름이여서 선택했다는 의견이 많았다.(새우깡,설레임,고구미 등) 이는 달콤하거나 담백한 과자와 정겹거나 친숙함이 어울리기 때문에 먹고 싶은 심리를 더 자극하기 때문이다.네번째로는 세 번째와 비슷한데 ‘예쁜 이름이기 때문에’가 차지했다.(미사랑,초코송이 등) 다음으로 ‘발음이 쉽고 어감이 좋은 이름이기 때문에’가 차지했는데(예감, 설레임 등) 이는 과자와는 직접적 관련이 없는 이름이지만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선호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선택에 영향을 주는 것 같았다.
기타의견으로 ‘고급스럽고 세련되어서(샤브레)’, ‘기발해서’,‘ 몸에 좋을 것 같고(오곡쿠키) 정겨운 느낌이 들어서’, ‘부드러운 것 같다(촉촉한 초코칩)’ 등의 의견이 나왔다.
Ⅴ. 제과류 이름의 의미와 네이밍 이론
(1) 이름의 의미와 작명방식 조사
보통 우리말로 된 제과류의 이름들은 한번에 의미파악이 되지만, 요즘은 깊은 뜻을 가진 창조적인 합성어들이 등장하면서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아졌다.
우선 의미 파악이 쉽지 않은 이름 위주로 조사하였으며, 외래어인 경우는 조사대상에서 제외하였으나, 외래어인지 고유어인지 혼동이 되는 경우는 조사했다.
각 의미 조사에 더해 개인적인 분석과 평을 함께 작성했다.
조사한 제품명들은 대략 다음과 같이 분류되는데 먼저, 해석 없이는 뜻을 알 수 없는 제품명(오미야, 미사랑)과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그 뜻을 모르는 제품명(새우깡, 칸초, 조리퐁), 잘 알고 있는 뜻 뒤에 숨겨진 이중적인 뜻이 있는 것(요맘때, 설레임, 절대 신) 등이 있다.
① 새우깡 (감자깡, 고구마깡...): 특별한 뜻은 없으나, 음성으로부터의 연상효과가 있다.
: 새우깡은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불리워지고 있는 이름이다. 사실 새우깡이라는 브랜드명은 개발 당시 농심 신춘호 회장이, 어린 딸이 ‘아리랑’을 ‘아리깡 아리깡…’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힌트를 얻어 새우와 깡을 결합하여 `새우깡’ 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우리 민족 고유의 음식 이름 중 \"깡밥, 깡보리밥\" 등이 순박한 이미지로 가슴에 와 닿았고 \"뻥튀기\"도 같은 의미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자연스레 \"아리깡, 깡∼, 뻥∼\" 등의 이미지가 결합되면서 \"새우+깡\"이라는 단어가 태어났다.
새우깡이 히트한 이후로도 농심의 스낵제품에 ‘깡’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감자깡’, ‘고구마깡’, ‘양파깡’ 등의 제품을 출시했고 타사에서도 이를 원용하고 있어 ‘~깡’하면 대다수의 국민들이 스낵을 연상할 정도에 이르렀다.
② 두부 감빠: 고유어이나 잘 알려져 있지 않음. 일본어로 착각되는 경우가 있음.
: 감빠는 [감빨다]의 변칙어간이며, ‘감빨다’는 \"맛있게 먹다\" \"입맛을 붙이다\" “감칠맛 있게 빨다.” “야무지게 먹다”라는 뜻의 순수 우리말이다.
순 우리말이라고는 해도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일본어와 같은 느낌을 주므로, 친근감보다는 거부감을 줄 수 있다고 본다.
③ 칸쵸 : 외래어의 합성어이나, 고유어의 의태어와 같은 친근한 느낌을 준다.
: ‘칸’과 ‘쵸코’의 합성. \'칸(khan)\'은 영어로 제왕이라는 뜻이며 \'쵸\' 는 쵸코렛의 앞글자. 즉 쵸코의 제왕이라는 무거운 뜻이 있으나, 실제로는 마치 토끼가 뛰는 의태어 ‘깡총’을 연상시켜 친근한 효과가 있으며 어감이 귀엽워 어린 소비자 층을 겨냥한 듯 하다.
④ 꼬깔콘 : 고유어와 외래어의 합성어.
: 제품의 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원어는 \'고깔\'(세모지게 만든 모자) 인데, 발음을 개성있고 강하게 하기 위해 \"꼬깔\"이란 이름이 붙혀졌고, 옥수수를 주원료로 사용하였기에 \'콘\'을 붙였다.
⑤ 호두마루 : 고유어 합성어이나, 익숙하지 않은 고유어.
: “마루\"는 순 우리말로 \"높음\"을 이르는 말이다. 즉, 호두맛의 꼭대기라는 뜻.
⑥ 뽀또 - 외래어(프랑스어, poteau)이나 고유어와 같은 친근함이 있음.
: 왠지 친근한 유아어와 같은 느낌, 특히 ‘뽀뽀’와 ‘또’를 연상시키므로 한글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그러한 효과를 의도한 듯 하다. 불어로 ‘단짝’이라는 뜻.
⑦ 고프레 - 외래어 (프랑스어, gaufre)
: 영어 같지는 않고.. 배가 ‘고프다’에서 파생된 듯한 뉘앙스를 주지만 프랑스어.
⑧ 통크 - 고유어와 외래어의 합성어이나 외래어인 듯한 느낌을 줌.
: \'통’ 안에 ‘크’림에서 ‘통’과 ‘크’만을 떼어 만든 합성어.
⑨ 죠리퐁 - 외래어 합성어이나 고유어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음.
: jolly(즐거운,유쾌함)+pong(부풀리게 하다)의 합성어.
‘죠리’라는 부분 때문에, 한글인 듯한 느낌을 주지만 영어 합성어이다.
사실 ‘죠리’가 아니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