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주의 음악 - 기악작품및 중요 작곡가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낭만주의 음악 - 기악작품및 중요 작곡가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낭만주의 기악곡
1) 건반음악
2) 교향악
3) 실내악
2. 낭만주의 작곡가
1) 전기낭만파
2) 후기낭만파

Ⅲ. 결론

* 참고문헌

* 악기론 - 튜바

본문내용

네》(40) 외에 합창곡·독창곡 등이 있다.
♬감상 : Mendelssohn - Wedding March
Chopin, Fryderyk 쇼팽 (1810.3.1~1849.10.17)
폴란드의 작곡가·피아니스트. 바르샤바 출생.
아버지는 바르샤바 육군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친 프랑스인 니콜라스 쇼팽,
어머니는 폴란드의 명문 귀족 출신인 유스티나 크지노프스카.
어려서부터 집에서 피아노를 배우고, 17년 정식으로 A.지브니에게 피아노를 사사하였는데, 18 년 공개연주회에서 기로베츠의 협주곡을 연주할 정도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22년부터는 바르샤바음악원 창설자인 J.엘스너에게 화성법과 대위법을 배우고, 중학 재학 중에 러시아 황제 앞에서 피아노를 연주, 칭송을 들었다.
또 시골에서 여름 방학을 보내며 폴란드의 민속음악에 접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26년 음악원에 입학하여 피아노 소나타와 변주곡 등을 작곡하고, 또 이 무렵 J.N.후멜과 사귀게 됨으로써 창작하는 데 있어서 그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30년 11월 쇼팽은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여행 중이었는데, 이 때 폴란드에서는 혁명이 일어났다. 그 후 그는 후멜, 탈베르크, K.체르니 같은 피아니스트와 교류를 가졌고, 31년 9월 빈을 떠나 슈투트가르트에 도착하여, 러시아군에 의해 폴란드혁명이 진압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혁명에 큰 기대를 걸었던 쇼팽의 실망은 컸다.
사실 여부는 알 수 없으나, 이 혁명 실패의 소식을 듣고 작곡한 것이 오늘날 《혁명 에튀드(작품 10의 12)》로 불리는 작품이라고 한다.
32년 그는 파리에서의 최초의 연주회를 개최하여 호평을 받고, 그 뒤 폴란드 귀족의 소개로 파리 사교계에 발을 들여놓았으며, 또 이 무렵부터 작품도 활발하게 출판되기 시작하였다.
쇼팽의 건강상태는 악화일로를 거듭하였지만, 경제적인 문제도 있고 하여 48 년 영국으로 건너가 연주회와 개인적 모임 등에서 피아노를 계속 연주하였다.
파리로 돌아온 후 그의 건강상태는 더욱 악화되어, 개인교수 이외의 활동을 할 수 없게 되었고, 이듬해 가을 그곳에서 사망하였다.
쇼팽의 작품에는 가곡과 첼로소나타, 피아노삼중주곡 등도 있으나, 중요한 것은 약 200곡에 이르는 피아노곡이다. 그리고 협주곡 2곡, 소나타 3곡 이외에 전주곡·연습곡·발라드·야상곡·즉흥곡·왈츠·폴로네즈·마주르카 등의 낭만파적인 소품이 압도적으로 많은 점이 특징이다.
피아노 연주에서는 쇼팽은 페달의 사용에 의해 음색의 종류를 늘렸으며, 또 약박(弱拍)을 악보에 기보(記譜)된 형보다도 약간 인접한 강박(强拍)에 접근시키는 연주법(tempo rubato:奏法)을 사용하여, 후세의 피아노 연주법에 큰 영향을 끼쳤다.
♬감상 : Chopin - Nocturne in E flat for Piano Op.9 No.2
Schumann, Robert 슈만 (1810.6.8~1856.7.29)
독일의 작곡가. 작센의 츠비카우 출생.
아버지는 저술도 하는 서적상이었고 어머니는 신앙심과 음악적 감성이 깊은 사람으로 슈만은 아버지의 문학적 취미와 어머니의 섬세한 감수성을 이어 받았다.
11세 때부터 작곡을 시작하였으나 16세 때 아버지가 죽자 그는 어머니의 뜻에 따라 음악가가 되려는 희망을 버리고 28년 법률을 공부하기 위해 라이프치히대학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라이프치히에서 당시의 명교사 F.비크를 알게 되어 그에게 피아노를 배우고, 또한 슈베르트의 영향이 많이 풍기는 가곡과 피아노곡 등의 작곡도 시작하였다.
29년 하이델베르크대학의 티보 교수에게 이끌려 잠시 그곳으로 옮겼으나 이듬해 다시 라이프치히로 돌아온 그는 다시 비크에게 피아노를, 극장 지휘자인 도른에게 음악이론을 배우고, 독학으로 작곡 연구도 하였다.
또 31년경부터는 참신한 필치로 음악평론도 쓰기 시작하여 쇼팽 등의 새로운 음악가를 소개하였다.
32년 오른손 넷째 손가락을 다치자 피아니스트가 될 꿈을 단념하고, 이때부터 작곡과 평론만을 지향하여 《나비》(작품 2, 1832) 《파가니니의 카프리치오에 의한 연습곡》(작품 3, 32) 등의 피아노곡을 작곡하였으며, 34년에는 《사육제:Carnaval》(작품 9, 35)와 《교향연습곡》 (작품 13, 34) 등을 내놓았다.
36년 어머니를 잃고, 스승 비크의 딸 클라라에 대한 친밀감은 더욱 강렬해져 연애에까지 발전했다. 그러나 이 사랑은 클라라 아버지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쳐 슈만은 이를 법정에 제소하여 40년에 결국 결혼에 성공하였다.
그때까지 거의 피아노곡만 써 왔던 그는 이 해에 갑자기 가곡을 작곡하기 시작하여 그의 생애를 통하여 작곡한 가곡의 반수를 이 1년 동안에 내놓았다.
하이네의 시에 의한 《가곡집》(작품 24)과 《미르테의 꽃》(작품 25), 아이헨도르프의 시에 의한 《가곡집:Liederkreis》(작품 39), 이 밖에 《여자의 사랑과 생애:Frauenliebe und leben》(작 품 42) 《시인의 사랑:Dichter Liebe》(작품 48) 등이 그것이다. 43년 L.F.멘델스존 의 초청을 받아 신설 음악원의 교사가 되었으나 이듬해 4개월에 걸친 아내의 러시아 연주여행 에 동행하여 정신과 육체적 건강의 악화로 전지 요양을 권유받았다.
그의 정신장애의 징후는 이미 33년경 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44년경부터는 창작력이 왕성한 시기와 우울증에 빠진 시기가 서로 교차 되어 나타났으며, 54년 2월 심한 망상에 사로잡혀 라인강에 투신했으나 다행히 구조되어 그 후 부터 본 교외의 엔데니히정신병원에 수용되고, 56년 여름 2년간의 투병 끝에 46세로 세상을 떠났다.
슈만의 작품은 고전파 작곡가처럼 모든 분야에 걸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질적으로 가장 뛰어나고 작품수가 많은 것은 피아노독주곡과 가곡이다. 이 가운데 3곡의 피아노소나타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시적 서정성이 담긴 낭만주의 향기가 풍기는 표제적(標題的)인 음악이다. 특히 가곡은 슈베르트가 개척한 리트형식을 계승하고 거기에다 시와 음악을 밀착시켜 보다 예술성이 높은 작품을 만들어냈다.
주요작품 중 오페라에는 《Genovena》(48), 교향곡으로는 《제1, 봄의 교향곡:Fr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5.1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