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의 성립과 발전 및 사회와 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 삼국의 사회와 문화 >

본문내용

9층탑
⑤ 승관; 승려를 관리하는 국통, 주통, 군통 등
⑥ 신라 후기에 민간사회에서는 현실구복적인 밀교인 미륵신앙이 유행함
5) 문학과 음악
(1) 한시 창작; <황조가>
(2) 신가 유행; <구지가>, <회소곡>
(3) 향가; 종교적, 주술적 성격, <삼대목>, <혜성가>
(4) 악곡과 악기; 신라의 백결선생(방아노래), 가야출신의 우륵(가야금)
6) 건축과 미술
(1) 궁전; 고구려 안학궁
(2) 사찰; 경주의 황룡사지와 황룡사 9층탑, 익산의 미륵사지(동양최대의 거찰), 분황사 와 모전탑, 왕흥사, 경주의 첨성대
(3) 무덤
① 고구려; 돌무지무덤(장군총) → 돌방무덤(쌍영총), 벽화 있었음(사신그림, 신선그림, 무용그림, 씨름그림, 사냥그림, 생활풍속 등), 고구려인의 패기와 진취성이 나타남
② 백제; 피라미드 형태의 돌무덤 → 벽돌무덤 혹은 돌방무덤(중국 남조의 영향), 벽화 에는 백제인의 부드럽고 평온한 성격이 나타남
③ 신라; 나무로 곽을 짜고, 그 위에 돌을 쌓는 적석목관분, 벽화가 그려질 수 없음, 부 장품이 많이 발견됨(금관, 옥, 유리제품 → 서방의 영향)
(4) 성; 산성이 주류를 이룸
① 고구려; 석성이 주류
② 백제; 풍납토성, 몽촌토성 등 평지에 진흙을 다져서 쌓은 토성과 돌로 쌓은 성이 남 아있음
(5) 불상과 불탑
① 불상; 백제의 불상이 뛰어남, 금동삼산보살상, 마애삼존불, 미륵반가상 등
② 불탑; 부처나 고승의 사리를 넣어두기 위한 무덤으로 황룡사 9층탑과 같은 목탑과 목탑양식을 본뜬 화강암 석탑 등이 유행이었음
③ 금속공예; 금동대향로 → 불교와 도교의 세계관이 담겨있음
4. 삼국인의 도일과 삼국문화의 일본전파
1) 일본의 토기
(1) 소바타토기; 일본 큐슈의 신석기 문명인 소바타토기는 한국의 빗살무늬토기와 같은 계통
(2) 야요이토기; 일본의 금속기 시대 토기인 야요이토기는 한국의 민무늬토기와 연결되 어있음
2) 큐슈문명의 건설자; 4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에 가야인이 집단적으로 이주함, 일부 백제인도 큐슈로 이동함
3) 나라지방; 한반도에서 건너간 한국인들이 정치적 영향력을 크게 행사함
(1) 하타씨; 과륭사를 지음, 794년 나라에서 교토로 천도할 때 재정적 후원을 함
(2) 소가씨; 6~7세기를 걸쳐 100년간 실질적으로 일본을 지배한 인물
2) 삼국문화의 일본전파
(1) 백제
① 근초고왕 때 왜왕에게 칠지도를 하사했으며 아직기가 일본태자에게 한자를 가르쳤 고, 박사 왕인도 경학과 역사를 가르침
② 개로왕 때 화가 인사라아가 회화발전에 기여했고, 정안나금이 비단 짜는 기술을 가 르침
③ 무령왕 때 단양이, 공안무가 유학을 전해줌
④ 성왕 때 오경박사가 유학을, 노리사치계가 불교를, 왕보손 등이 천문학과 역법을 전해줌
⑤ 위덕왕 때 4명의 음악인들이 건너감, 577년에 불고서적, 율사, 선사, 조불사, 조사 공 등을 보냈으며 584년에 불상을 보냄
⑥ 588년에 승려와 사공, 노반박사, 기와박사, 화가들이 건너가 아스카지를 건설함
⑦ 597년 아좌태자가 쇼토쿠태자상을 그림
⑧ 무왕 때 승려 관륵이 역서와 천문, 지리, 둔갑, 방술에 관한 책을 전해주고, 역박사 왕도량, 의박사 왕유릉타, 채약사 반량풍, 정유타 등은 의학발전에 기여함, 미마지 라는 악사가 건너가 학교를 세우고 음악과 춤을 가르침
⑨ 660년 백제 지배층 수천 명이 일본으로 건너갔는데 이들이 거주한 곳이 시마현 일 대였음
(2) 고구려
① 610년 담징이 법륭사 금당벽화를 그렸고, 오경과 종이, 먹, 멧돌의 제조기술을 전 해줌
② 622년 가서일 등이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수예품인 <천수국수장>의 원화를 그려 주었고, 혜자는 쇼토쿠태자의 스승이 되었으며 혜관 등은 일본 삼론종의 시조가 됨
③ 의학, 약학 기술도 전해줌
(3) 신라
① 조선술, 축제술, 도자기 제조법, 의약, 불상, 음악 등을 전해줌
3) 헤이안 시대; 백제를 멸망시킨 신라에 대해 반감을 가짐 → 백제역사를 일본역사로 왜 곡하였는데 이것이 <일본서기>임
(1) <일본서기>; 앞부분은 <신대기>, 뒷부분은 <천황기>로 구성
① <신대기>; 한반도인들이 일본으로 건너가 나라를 세우는 과정을 신화로 만든 것
② <천황기>; 42대 천황의 역사를 기록 → 기원후 4세기이전에는 국가가 성립되어 있 지 않았기 때문에 <천황기>의 앞부분은 날조된 역사임
(2) 임나일본부; 백제의 역사를 일본의 역사로 왜곡시킨 증거
⇒ <일본서기>에 담긴 진실과 허구를 구별하여 고대한일관계를 연구하고 이해해야함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5.12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1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