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완벽주의의 정의와 분류
1.인간의 9가지 유형 중 한 가지로서의 완벽주의자
2.완벽주의의 정의
3.완벽주의의 분류
Ⅲ. 순기능적 완벽주의(順機能的 完壁主義)의 특성
1.완벽주의의 긍정적 특성에 대한 연구
2.순기능적 완벽주의의 특징
Ⅳ. 역기능적 완벽주의(逆機能的 完壁主義)의 특성
1. 역기능적 완벽주의
2.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사고적 특징
3.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정서적 특징
4.역기능적 완벽주의의 행동적 특징
Ⅴ. 대학생활에서 적용될 수 있는 완벽주의의 구체적 모습
Ⅵ. 완벽주의의 긍정적 실천 및 극복방안
Ⅶ. 결론
*참고자료
Ⅱ. 완벽주의의 정의와 분류
1.인간의 9가지 유형 중 한 가지로서의 완벽주의자
2.완벽주의의 정의
3.완벽주의의 분류
Ⅲ. 순기능적 완벽주의(順機能的 完壁主義)의 특성
1.완벽주의의 긍정적 특성에 대한 연구
2.순기능적 완벽주의의 특징
Ⅳ. 역기능적 완벽주의(逆機能的 完壁主義)의 특성
1. 역기능적 완벽주의
2.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사고적 특징
3.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정서적 특징
4.역기능적 완벽주의의 행동적 특징
Ⅴ. 대학생활에서 적용될 수 있는 완벽주의의 구체적 모습
Ⅵ. 완벽주의의 긍정적 실천 및 극복방안
Ⅶ.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들을 부각시키고, 부정적인 측면들을 배제함으로서 우리는 비로소 완벽주의를 미덕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Ⅶ. 결론
지금까지 완벽주의가 순기능적으로 작용할 때 삶의 에너지로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그러는 동시에 반대로 작용한다면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또 완벽주의가 미덕이 되기 위해 어떤 것들을 실천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시간관리에 대한 수많은 베스트셀러들이 잘 대변하듯이 현대인은 바쁘고 일분일초를 다투는 꽉 조인 일상에서 살아가고 있다. 현대사회는 개인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완벽형 인간이 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모든 일에 있어서 치밀하고 완벽을 기하며 살아갈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늘날 완벽주의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역설적이게도 이는 그만큼 완벽주의의 위험성이 크게 대두될 우려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칫하면 현대인은 완벽함의 노예가 될지도 모를 하루를 살아가고 있는 셈이다.
물론, 완벽주의는 긍정적인 측면을 많이 가지고 있다. 자신의 일에서 완벽을 추구하는 것은 큰 장점이자 미덕이다. 일 하나하나에 있어 완벽을 기하는 태도를 통해서 좀 더 목표에 다가갈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비로소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향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개인주의가 만연한 오늘날 자신뿐 아니라 모두를 생각하는, 공익을 위한 완벽주의는 너무나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해마다 터지는 각종 부실공사나 불량식품 파동은 현대사회에서 공익을 위한 완벽주의의 필요성을 잘 보여준다. 완벽주의의 역기능적인 측면에서 불구하고 우리가 완벽주의를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문제 삼고자 하는 것도 완벽주의적 성향 그 자체가 아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병적 완벽주의이다. 병적 완벽주의자들은 애초부터 능력에 맞지 않는 가혹한 목표를 설정하며, 목표를 달성해나가는 동안 사소한 실수도 저지르지 않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한다. 이 과정에서 병적 완벽주의자들은 필연적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사고를 하게 되고, 나아가 신경증적인 강박증세 및 자기학대 경향을 보이곤 한다. 더군다나 타인중심 완벽주의자의 경우에는 자신뿐 아니라 부하나 가족, 동료들에게까지 무리한 요구를 하고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표출한다. 이 때문에 결과적으로 주변 사람들까지 피곤하게 하고, 서로 간에 갈등이 생겨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완벽주의는 미덕이다. 그러나 많은 위험요소를 내포한, ‘위험한 미덕’이라고 할 수 있다. 완벽주의는 분명 많은 순기능들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동시에 완벽주의는 자칫하면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할 위험성 또한 가지고 있다. 완벽해지고자 하는 욕망과 현실의 괴리는 스스로를 피폐하게 만들 우려가 있으며, 더 나아가 병적으로 자신을 삶의 주체가 아닌 노예로 만들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완벽주의는 마치 인류에게 주어진 불과 같다. 불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는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의 손에 달려있다. 이용하기에 따라서 그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큰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흐를 경우 재난을 초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결국 완벽주의가 미덕이 될 수 있는지의 여부는 ‘나 자신’에게 달려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의학이나 사회학 등 다른 연구 분야에서 다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지금 다름 아닌 심리학에서 상세히 완벽주의를 다루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이미 완벽주의는 우리의 마음먹기에 달린 것이라는 점을 잘 보여준다.
완벽한 인간은 없다. 우리는 완벽하기 때문에 의미 있는 것이 아니다. 완벽해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그 과정 자체로 인간은 의미 있는 것이다. 완벽주의를 미덕으로 볼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완벽하고자 하는 욕구 자체는 결코 이상한 것이 아니다. 어쩌면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우리가 경계해야 할 것은 그러한 완벽주의가 왜곡되는 현상이다. 완벽하고자 하는 욕망이 지나치면 오히려 역설적으로 완벽에서 멀어진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완벽주의는 지평선을 향해 걷는 것과 같다. 당신은 결코 그곳에 다다를 수 없다.” 는 말이 있다. 완벽주의의의 이중적 속성을 잘 표현하는 말이라 하겠다. 완벽하고자 노력하는 그 자체가 소중하다는 가장 기본적인 사실을 어쩌면 우리는 잊고 사는 것은 아닐까. 완벽주의의 노예가 되기보다는, 그것을 통해 주체적으로 멋지게 자기 삶을 살아가려는 자세가 필요한 때가 아닐까 한다.
*참고자료
1. 당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삶을 사는 방법 (Fran Hewitt, Les Hewitt, 창작시대)
2. 내안의 부자인 나 가난한 나 찾아가기 - 인간관계와 애니어그램을 중심으로 (김인숙, OK Press, 2002)
3. 완벽주의적 특성이 대학생의 고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fectionism on the Loneliness in the University Students) / 손병환 박경자 (生活硏究, Vol.12 No.-, [1999])
4. 완벽주의가 학습자 특성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Imfact of Perfectionism on the Student's Traits and Academic Achievement) / 박경자 (生活硏究, Vol.12 No.-, [1999])
5. http://www.kenneagram.com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목 차
Ⅰ. 서론
Ⅱ. 완벽주의의 정의와 분류
1.인간의 9가지 유형 중 한 가지로서의 완벽주의자
2.완벽주의의 정의
3.완벽주의의 분류
Ⅲ. 순기능적 완벽주의(順機能的 完壁主義)의 특성
1.완벽주의의 긍정적 특성에 대한 연구
2.순기능적 완벽주의의 특징
Ⅳ. 역기능적 완벽주의(逆機能的 完壁主義)의 특성
1. 역기능적 완벽주의
2.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사고적 특징
3.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정서적 특징
4.역기능적 완벽주의의 행동적 특징
Ⅴ. 대학생활에서 적용될 수 있는 완벽주의의 구체적 모습
Ⅵ. 완벽주의의 긍정적 실천 및 극복방안
Ⅶ. 결론
*참고자료
Ⅶ. 결론
지금까지 완벽주의가 순기능적으로 작용할 때 삶의 에너지로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그러는 동시에 반대로 작용한다면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또 완벽주의가 미덕이 되기 위해 어떤 것들을 실천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시간관리에 대한 수많은 베스트셀러들이 잘 대변하듯이 현대인은 바쁘고 일분일초를 다투는 꽉 조인 일상에서 살아가고 있다. 현대사회는 개인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완벽형 인간이 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모든 일에 있어서 치밀하고 완벽을 기하며 살아갈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늘날 완벽주의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역설적이게도 이는 그만큼 완벽주의의 위험성이 크게 대두될 우려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칫하면 현대인은 완벽함의 노예가 될지도 모를 하루를 살아가고 있는 셈이다.
물론, 완벽주의는 긍정적인 측면을 많이 가지고 있다. 자신의 일에서 완벽을 추구하는 것은 큰 장점이자 미덕이다. 일 하나하나에 있어 완벽을 기하는 태도를 통해서 좀 더 목표에 다가갈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비로소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향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개인주의가 만연한 오늘날 자신뿐 아니라 모두를 생각하는, 공익을 위한 완벽주의는 너무나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해마다 터지는 각종 부실공사나 불량식품 파동은 현대사회에서 공익을 위한 완벽주의의 필요성을 잘 보여준다. 완벽주의의 역기능적인 측면에서 불구하고 우리가 완벽주의를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문제 삼고자 하는 것도 완벽주의적 성향 그 자체가 아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병적 완벽주의이다. 병적 완벽주의자들은 애초부터 능력에 맞지 않는 가혹한 목표를 설정하며, 목표를 달성해나가는 동안 사소한 실수도 저지르지 않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한다. 이 과정에서 병적 완벽주의자들은 필연적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사고를 하게 되고, 나아가 신경증적인 강박증세 및 자기학대 경향을 보이곤 한다. 더군다나 타인중심 완벽주의자의 경우에는 자신뿐 아니라 부하나 가족, 동료들에게까지 무리한 요구를 하고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표출한다. 이 때문에 결과적으로 주변 사람들까지 피곤하게 하고, 서로 간에 갈등이 생겨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완벽주의는 미덕이다. 그러나 많은 위험요소를 내포한, ‘위험한 미덕’이라고 할 수 있다. 완벽주의는 분명 많은 순기능들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동시에 완벽주의는 자칫하면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할 위험성 또한 가지고 있다. 완벽해지고자 하는 욕망과 현실의 괴리는 스스로를 피폐하게 만들 우려가 있으며, 더 나아가 병적으로 자신을 삶의 주체가 아닌 노예로 만들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완벽주의는 마치 인류에게 주어진 불과 같다. 불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는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의 손에 달려있다. 이용하기에 따라서 그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큰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흐를 경우 재난을 초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결국 완벽주의가 미덕이 될 수 있는지의 여부는 ‘나 자신’에게 달려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의학이나 사회학 등 다른 연구 분야에서 다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지금 다름 아닌 심리학에서 상세히 완벽주의를 다루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이미 완벽주의는 우리의 마음먹기에 달린 것이라는 점을 잘 보여준다.
완벽한 인간은 없다. 우리는 완벽하기 때문에 의미 있는 것이 아니다. 완벽해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그 과정 자체로 인간은 의미 있는 것이다. 완벽주의를 미덕으로 볼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완벽하고자 하는 욕구 자체는 결코 이상한 것이 아니다. 어쩌면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우리가 경계해야 할 것은 그러한 완벽주의가 왜곡되는 현상이다. 완벽하고자 하는 욕망이 지나치면 오히려 역설적으로 완벽에서 멀어진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완벽주의는 지평선을 향해 걷는 것과 같다. 당신은 결코 그곳에 다다를 수 없다.” 는 말이 있다. 완벽주의의의 이중적 속성을 잘 표현하는 말이라 하겠다. 완벽하고자 노력하는 그 자체가 소중하다는 가장 기본적인 사실을 어쩌면 우리는 잊고 사는 것은 아닐까. 완벽주의의 노예가 되기보다는, 그것을 통해 주체적으로 멋지게 자기 삶을 살아가려는 자세가 필요한 때가 아닐까 한다.
*참고자료
1. 당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삶을 사는 방법 (Fran Hewitt, Les Hewitt, 창작시대)
2. 내안의 부자인 나 가난한 나 찾아가기 - 인간관계와 애니어그램을 중심으로 (김인숙, OK Press, 2002)
3. 완벽주의적 특성이 대학생의 고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fectionism on the Loneliness in the University Students) / 손병환 박경자 (生活硏究, Vol.12 No.-, [1999])
4. 완벽주의가 학습자 특성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Imfact of Perfectionism on the Student's Traits and Academic Achievement) / 박경자 (生活硏究, Vol.12 No.-, [1999])
5. http://www.kenneagram.com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목 차
Ⅰ. 서론
Ⅱ. 완벽주의의 정의와 분류
1.인간의 9가지 유형 중 한 가지로서의 완벽주의자
2.완벽주의의 정의
3.완벽주의의 분류
Ⅲ. 순기능적 완벽주의(順機能的 完壁主義)의 특성
1.완벽주의의 긍정적 특성에 대한 연구
2.순기능적 완벽주의의 특징
Ⅳ. 역기능적 완벽주의(逆機能的 完壁主義)의 특성
1. 역기능적 완벽주의
2.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사고적 특징
3.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정서적 특징
4.역기능적 완벽주의의 행동적 특징
Ⅴ. 대학생활에서 적용될 수 있는 완벽주의의 구체적 모습
Ⅵ. 완벽주의의 긍정적 실천 및 극복방안
Ⅶ. 결론
*참고자료
키워드
추천자료
정보화 사회의 윤리적 문제점과 그 극복방향
<생활과건강>보건소1개 선정후 건강증진사업 내용,사업활동현황 및 의료소비자의 제한점과 발...
생태체계이론(ecosystems theory) 과 사회복지실천의 연관성[1]
교육대학교(교육대학, 교대)의 특징과 실태, 교육대학교(교육대학, 교대)의 실습, 교육대학교...
교권(교사의 권리)의 개념, 교권(교사의 권리)의 규정, 교권(교사의 권리)의 교사고정관념, ...
사회복지 시설평가, 사회복지 정책평가, 사회복지 프로그램평가, 사회복지 실천평가, 사회복...
★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 위기개입이론
행동수정모델(인지행동모델)을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클라이언트에 적용함에 있어서 장단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