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 소개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3. 병태생리 및 치료
4. 각종 검사 및 결과
5. 약물 및 치료
6. 간호진단
#1. 의식수준저하와 관련된 손상가능성
#2. 기도분비물과 관련도니 기도개방유지 불가능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3. 병태생리 및 치료
4. 각종 검사 및 결과
5. 약물 및 치료
6. 간호진단
#1. 의식수준저하와 관련된 손상가능성
#2. 기도분비물과 관련도니 기도개방유지 불가능
본문내용
n, T-36.4℃
(2)병력 및 일반정보
ㆍ입원동기 : 내원 1주전부터 headache 있고 general weakness 있던 환자로 금일 오후 4시경부터 불러도 대답 없고 의식상태 떨어져 본원 ER통해 adm
ㆍ주호소(c/c) : headache, anorexia, 기억력저하
ㆍ입원경험 : 없음
ㆍ과거병력 :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결핵(-)
ㆍ가족관계 : 기혼, 부(有), 자녀 - 2
ㆍ교육정도 : 고졸
ㆍ직업 : 본인-프리랜서 가족-회사원
ㆍ종교 : 불교
Ⅱ. 건강과 관련된 정보
1. 신체적 상태
ㆍ피부 상태 : 정상
ㆍ호흡기상태 : 정상
ㆍ순환기 문제 : 없음
ㆍ동 통 : 없음
ㆍ위장기 문제 : 없음
ㆍ활동 상태 : 자유로움
ㆍ신체적 기형 : 없음
ㆍ시력 장애 ; 없음
ㆍ청력 장애 : 없음
ㆍ치아 장애 : 없음
2. 의식ㆍ정서상태
ㆍ의식 정도 : 명료
ㆍ지남력 : 있음
ㆍ정서상태 : 안정
ㆍ의사소통 : 원만함
ㆍ병식 : 있음
3. 습관
ㆍ수면상태 : 수면시간-7시간 수면장애 : 없음
ㆍ위생상태 ; 양호
ㆍ영양상태 : 나쁨
ㆍ체중변화 : 없음
ㆍ배설습관 : 배뇨- 횟수 6 배변- 횟수 1
ㆍ월경 : 해당사항 없음
Ⅲ. 병태생리 및 치료
뇌종양(Brain tumor)
1)특징 - ①신경계를 침범하는 종양 중 가장 多
②어느 연령층이나 다 발생(특히 50~70세에 多)
③뇌종양의 50%가 Benign tumor이다
④수술로 인한 사망률이 다른 수술에 비해 높다
2)종류 - 원발성(primary tumor)종양
속발성(secondary tumor)
육아종(granulo mas)
①원발성 종양 : 뇌자체에 생김
종류 - ⅰ)glioma(신경 교통) - 50%차지(가장 多) 악성종양이다
시신경(optic N. -2번)을 기점으로 발생됨
ⅱ)neurofibroma(신경 섬유종) - 청신경(8번). 삼차 신경(5번)을 기점으로 발생
ⅲ)meningioma(수막종) -20%
ⅳ)hemangioma(혈관종)
ⅴ)colloid. dermoid cyst(교상체 낭종. 유피낭종)
ⅵ)뇌하수체 양종(pituitary tumor)들이 포함됨
┗ 선종이 흔하다.
optic chiasm. Hypothalamus 까지 영향
Hypopituitarism. Hyperpituitarism 초래
②전이성 or 속발성종양(metastatic intracranial tumor) - 두번째 종양의 10%를 차지
Ex - lung ca. breast ca에서 가장 많이 전이됨
호발연령 - 40~70세.
급속히 진행되며 수개월내에 사망(OP도 안 권한다)
③육아종(granloma) - 과립 모양으로 생긴것. 육아조직으로 구성된 종양으로
Ex - 신경계의 매독 감염. 장내 기생충 감염. 결핵을 앓은 후 발생
3)Sx - ①Headache : 이른 아침에 일어날 때 가장 흔하다
②projectile vomiting(Nausea/Vomiting)
③papilledema(유두부종) - ICP증가로 인해 임파액 정맥순환이 안되어서
④신체장애 Sx : 반대편 부위의 감각및 운동장애 초래(Hemi ro paraplegia)
⑤언어 시력 장애
⑥경련 의식 상태 변화(C/S loss)
4)Dx - ①skull 4 view
②Angiography
③Brain scan. CT scan 등으로
5)Tx & Nursing care
operation (craniectomy or craniotomy)
Radiation therapy
화학요법(metholrexate BCNU(CNU)등)
외과적 수술만이 단 한 가지 치료법
☞ pre - op care
①조용하고 자극이 없는 분위기 조성
②pain complaint 하면 codeine aspirin or meperidime을 주되
morphine은 절대 주지 말것
┗ 호흡 중추에 작용. 호흡수↓
③Scalp shaving시 표피를 상하지 않도록 함(감염우려)
④enema는 하지 않도록 한다(ICP 상승 우려)
☞ post - op care
①Dressing 관찰
Bloodyor yellowish color가 나타나면 빨리 Dr call.
┗bleeding ┗CSF ( oozing과 구분 - 조금 어두운색)
CSF drain or blood drain 박아 논것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 할것
bone flap이 안된 수술부위은 만지지 않도록 - 뇌손상
②관찰 사항
ⅰ)freg V/S check및 mental status자주 관찰
(post of cerebral edema 로 인해 호흡중추가 눌려지는지 잘 관찰)
ⅱ)ICP상승될 만한 요인을 피할것 - 주위 환경을 깨끗이 해서 vomiting이 없도록
(vomiting은 ICP↑를 가져오기 때문에 주위환경 깨끗이 할것 - 자극적 냄새×)
ⅲ)뇌막염의 증상을 살필것 - fever. headache. comvulsion
ⅳ)운동 기능 장애및 지각변화가 있는지 자주 check
ⅴ)Tremor convulsion sign을 자주 check. 바생부위 시기 양성이 어떤지
ⅵ)urine output이 잘 되는지 관찰(I/O check)
특히 pituitary tumor일 경우는 특히 주시(∴수분 평형조절 기관이므로)
ⅶ)facial & periorbital edema가 있는지 관찰
→ 부종이 일시적 증상이라고 설명하고 ice massage 해줄것
ⅷ)pupillary change를 자주 관찰(동공의 크기. 빛에 대한 변화)
③position
ⅰ)craniectomy 후는 머리를 35~50°정도 elevate 시켜줌.
edema가 심할시 → 90% 정도
효과 - 뇌로가는 혈액공급이 적절하여(압박이 적어지므로)
a)Venous bleeding의 위험을 적게 하기 위해(정맥울혈의 감소로 CSF흐름이 好
b)두통 완화
c)ICP 상승 예방
ⅱ)but coma에 빠지면 flat position을 취함
(Trendelenburg P.은 피할것 - ICP 상승 시킴)
ⅲ)Infratentorial craniectomy시는 모로 눕혀 준다(절개선 쪽으로 바로 눕히지×
Supratentorial craniectomy 시는 수술부위로
(2)병력 및 일반정보
ㆍ입원동기 : 내원 1주전부터 headache 있고 general weakness 있던 환자로 금일 오후 4시경부터 불러도 대답 없고 의식상태 떨어져 본원 ER통해 adm
ㆍ주호소(c/c) : headache, anorexia, 기억력저하
ㆍ입원경험 : 없음
ㆍ과거병력 :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결핵(-)
ㆍ가족관계 : 기혼, 부(有), 자녀 - 2
ㆍ교육정도 : 고졸
ㆍ직업 : 본인-프리랜서 가족-회사원
ㆍ종교 : 불교
Ⅱ. 건강과 관련된 정보
1. 신체적 상태
ㆍ피부 상태 : 정상
ㆍ호흡기상태 : 정상
ㆍ순환기 문제 : 없음
ㆍ동 통 : 없음
ㆍ위장기 문제 : 없음
ㆍ활동 상태 : 자유로움
ㆍ신체적 기형 : 없음
ㆍ시력 장애 ; 없음
ㆍ청력 장애 : 없음
ㆍ치아 장애 : 없음
2. 의식ㆍ정서상태
ㆍ의식 정도 : 명료
ㆍ지남력 : 있음
ㆍ정서상태 : 안정
ㆍ의사소통 : 원만함
ㆍ병식 : 있음
3. 습관
ㆍ수면상태 : 수면시간-7시간 수면장애 : 없음
ㆍ위생상태 ; 양호
ㆍ영양상태 : 나쁨
ㆍ체중변화 : 없음
ㆍ배설습관 : 배뇨- 횟수 6 배변- 횟수 1
ㆍ월경 : 해당사항 없음
Ⅲ. 병태생리 및 치료
뇌종양(Brain tumor)
1)특징 - ①신경계를 침범하는 종양 중 가장 多
②어느 연령층이나 다 발생(특히 50~70세에 多)
③뇌종양의 50%가 Benign tumor이다
④수술로 인한 사망률이 다른 수술에 비해 높다
2)종류 - 원발성(primary tumor)종양
속발성(secondary tumor)
육아종(granulo mas)
①원발성 종양 : 뇌자체에 생김
종류 - ⅰ)glioma(신경 교통) - 50%차지(가장 多) 악성종양이다
시신경(optic N. -2번)을 기점으로 발생됨
ⅱ)neurofibroma(신경 섬유종) - 청신경(8번). 삼차 신경(5번)을 기점으로 발생
ⅲ)meningioma(수막종) -20%
ⅳ)hemangioma(혈관종)
ⅴ)colloid. dermoid cyst(교상체 낭종. 유피낭종)
ⅵ)뇌하수체 양종(pituitary tumor)들이 포함됨
┗ 선종이 흔하다.
optic chiasm. Hypothalamus 까지 영향
Hypopituitarism. Hyperpituitarism 초래
②전이성 or 속발성종양(metastatic intracranial tumor) - 두번째 종양의 10%를 차지
Ex - lung ca. breast ca에서 가장 많이 전이됨
호발연령 - 40~70세.
급속히 진행되며 수개월내에 사망(OP도 안 권한다)
③육아종(granloma) - 과립 모양으로 생긴것. 육아조직으로 구성된 종양으로
Ex - 신경계의 매독 감염. 장내 기생충 감염. 결핵을 앓은 후 발생
3)Sx - ①Headache : 이른 아침에 일어날 때 가장 흔하다
②projectile vomiting(Nausea/Vomiting)
③papilledema(유두부종) - ICP증가로 인해 임파액 정맥순환이 안되어서
④신체장애 Sx : 반대편 부위의 감각및 운동장애 초래(Hemi ro paraplegia)
⑤언어 시력 장애
⑥경련 의식 상태 변화(C/S loss)
4)Dx - ①skull 4 view
②Angiography
③Brain scan. CT scan 등으로
5)Tx & Nursing care
operation (craniectomy or craniotomy)
Radiation therapy
화학요법(metholrexate BCNU(CNU)등)
외과적 수술만이 단 한 가지 치료법
☞ pre - op care
①조용하고 자극이 없는 분위기 조성
②pain complaint 하면 codeine aspirin or meperidime을 주되
morphine은 절대 주지 말것
┗ 호흡 중추에 작용. 호흡수↓
③Scalp shaving시 표피를 상하지 않도록 함(감염우려)
④enema는 하지 않도록 한다(ICP 상승 우려)
☞ post - op care
①Dressing 관찰
Bloodyor yellowish color가 나타나면 빨리 Dr call.
┗bleeding ┗CSF ( oozing과 구분 - 조금 어두운색)
CSF drain or blood drain 박아 논것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 할것
bone flap이 안된 수술부위은 만지지 않도록 - 뇌손상
②관찰 사항
ⅰ)freg V/S check및 mental status자주 관찰
(post of cerebral edema 로 인해 호흡중추가 눌려지는지 잘 관찰)
ⅱ)ICP상승될 만한 요인을 피할것 - 주위 환경을 깨끗이 해서 vomiting이 없도록
(vomiting은 ICP↑를 가져오기 때문에 주위환경 깨끗이 할것 - 자극적 냄새×)
ⅲ)뇌막염의 증상을 살필것 - fever. headache. comvulsion
ⅳ)운동 기능 장애및 지각변화가 있는지 자주 check
ⅴ)Tremor convulsion sign을 자주 check. 바생부위 시기 양성이 어떤지
ⅵ)urine output이 잘 되는지 관찰(I/O check)
특히 pituitary tumor일 경우는 특히 주시(∴수분 평형조절 기관이므로)
ⅶ)facial & periorbital edema가 있는지 관찰
→ 부종이 일시적 증상이라고 설명하고 ice massage 해줄것
ⅷ)pupillary change를 자주 관찰(동공의 크기. 빛에 대한 변화)
③position
ⅰ)craniectomy 후는 머리를 35~50°정도 elevate 시켜줌.
edema가 심할시 → 90% 정도
효과 - 뇌로가는 혈액공급이 적절하여(압박이 적어지므로)
a)Venous bleeding의 위험을 적게 하기 위해(정맥울혈의 감소로 CSF흐름이 好
b)두통 완화
c)ICP 상승 예방
ⅱ)but coma에 빠지면 flat position을 취함
(Trendelenburg P.은 피할것 - ICP 상승 시킴)
ⅲ)Infratentorial craniectomy시는 모로 눕혀 준다(절개선 쪽으로 바로 눕히지×
Supratentorial craniectomy 시는 수술부위로
추천자료
뇌혈관질환 및 뇌종양
[외상성뇌손상][TBI][뇌손상][뇌][재활치료]외상성뇌손상(TBI)의 개념, 외상성뇌손상(TBI)의 ...
[외상성뇌손상][TBI][뇌손상]외상성뇌손상(TBI)의 정의, 외상성뇌손상(TBI)의 증상, 외상성뇌...
뇌내출혈 문헌고찰
Case Study - 뇌경색
신경계 수술종류
[간호] 뇌 동맥류 (cerebral aneurysm) 케이스
신경학적 사정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치료와 수술 후 간호
미세혈관 감압술, 경추 추간판 탈출증, 뇌내출혈, 지주막하 출혈
[의학] 척수의 신경로[Tracts of the Spinal Cord], 뇌의 기능
[신경계, 뉴런, 시냅스, 반사, 뇌사, 식물인간, 말초신경계, 자율신경계, 신경, 뉴런반응]신...
SICU 외과중환자실 case study 컨퍼런스.ICH IVH 뇌내출혈 뇌실내출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