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호 호신술의 발달과정
2. 경호무술의 창시배경
3. 호신술의 의의
4.호신술의 개념
5. 호신술의 유래
6. 호신술의 종류 및 방법
7. 호신술의 필요성
8. 생활호신술의 의의
9. 경호무술의 특성
참고문헌
2. 경호무술의 창시배경
3. 호신술의 의의
4.호신술의 개념
5. 호신술의 유래
6. 호신술의 종류 및 방법
7. 호신술의 필요성
8. 생활호신술의 의의
9. 경호무술의 특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을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
(2)무술[武 굳셀 무 術 꾀 술]
무술이란 일반적으로 손,발등의 신체부위 또는무기를 이용하여 공격해 오는 적을 분쇄하여 무력하게 하거나, 제압할 수 있는 싸움, 격투기술을 말한다
경호무술은 장명진(張明鎭)선생이 경호실무(警護實務)를 기초로 1992년 창시(創始)한 무술로서, 호위호신개념으로 창안.연구.개발한 무술이다. 경호직무수행자 및 일반 사회인이 체력을 쌓고 자신 및 사랑하는 사람, 가족 등을 보호할 수 있는 패밀리(family)무술로 보급되고 있다. 경호무술은 태권도, 유도등과 같이 두 선수가 맞붙어 승부를 가리는 경기형식이 아닌 혼자 또는 팀, 패밀리(가족) 단위로 공격자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방어(防禦)하고 경호대상(가족,지켜주고싶은이)을 보호(保護)하는“호위호신(護衛護身)무술”이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경호무술의 문헌(文獻)적 정립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는 1994년으로 장명진선생에 의해 경호무술의 모든 것이 집대성(集大成)되어 졌다. 경호학(경호실무)과 경호무술의 원작자이기도한 장명진선생이 호위호신무술인 경호무술의 기술체계(技術體系)를 정형화(定形化)하여 정립(定立) 하고〈경호실무〉와〈경호무술〉을 직접 저술(著述)하여 출판(出版)함에 따라 경호무술의 학문적, 기술적, 문헌적 정립이 완벽히 이루어졌다.
특히,〈경호무술〉책이 세계 무술사(武術史) 에서도 문헌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점은 무술종목 중 역대 최대 규모(1,704page:사진12,000컷)의 내용을 담고 있다는 것과 창시자가 직접 무술창안, 기술체계정립, 저술, 시연하여 집대성한 경우의 무술서적 으로는 경호무술이 유일(唯一)하다는 것에 있다.
2. 경호무술 창시배경
경호무술의 창시배경은 과거 경호원들은 경호환경에 맞는 특화된 실용적 무술이 없어 사회일반무술인 합기도, 태권도, 특공무술과 같은 전통무술과 유도,검도와 같은 일본의 무술을 익히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경호원들은 경호 위해 환경에서 요구되는 호위 호신술에 많은 한계점을 안고 있었기 때문에 이에 보완성이 요구되어 왔었다. 위와 같은 일반 전통무술은 호신무술로 자신에게 공격되는 상황에서는 상대방을 별문제 없이 대응할 수는 있었으나 경호원이 보호해야할 경호대상에 대한 호위개념에서의 대응에서는 많은 약점들이 노출도어 결국 경호원이 경호대상에 대한 호위에 실패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경호 위해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경호대상을 보호하면서 위해 공격자를 저지 또는 제압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무술을 새롭게 창안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경호실무를 기초로한 호위호신무술을 과학적 이론과 실기차원으로 구분 연구하여 경호환에 맞는 전혀 새로운 경호무술을 장명진 선생이 1992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3.호신술의 의의
호신술의 사전적 의미는 자신의 몸을 방호하기 위한 체기 곧 태권,권투,
유도,씨름,레슬링등의 기술,보신술을 말한다.이제부터는 여기에서 언급한 태권,권투,유도,씨름,레슬링 중 태권,유도,씨름에 대해 알아보겠다.
1.유 도
동양의 문화를 영향받아 발생한 격투기가 유도이다.우리나라에서는 이 유도와 비슷한 격투기가 고구려 산상왕(山上王)때의 서울이던 환도산성(丸都山城)에 있는 벽화에 그려져 있어 일찍부터 한국에도 격투기가 있었음을 증명한다.그 후 고려시대에 무인들이 정권을 잡은 이래 병사들의 훈련과목으로 쿤 시합을 하였다고 하는데 여기에는 신법(身法),각법(脚法),수법(手法)등 25가지 기술이 있었다고 한다.지금의 유도 시술을 보면 손기술,발기술,허리기술이라고 할수있다.이런 무술이 구전(口傳)으로 전해지다가 임진왜란때 일본으로 건너가서 과학적으로 체계가 서고 유도(Judo)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1]특성
개인기로서 주로 맨손으로 상대를 공격하고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는 무술이다.그 기술과 이론은 본으로 조직되었고 본의 수련을 통해 익혀진다.유도의 기술은 유능제강(柔能制剛)의 원리를 과학적으로 체계화 시킨것이다.즉 상대의 힘에 순응하면서 그 힘을 이용하여 상대를 제압하는 것이다.힘의 역학적인 원리에 의해서 민첩한 동작으로 그 헛점을 찌르는 것이 유도 기술의 기본원리이다.
2]기술
유도의 기술은 메치기와 굳치기 및 급소지르기의 3가지로 구성된다.메치기는 선기술과 누우면서 메치는 기술로 나누어진다.선기술은 주로 사용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손기술,허리기술,발기술로 구분하고 누우면서 메치기 기술은 몸의 눕히는 방향에 따라 바로 누우면서 던지는 메치기 기술과 모로 누우면서 던지는 메치기 기술로 나누어진다.굳치기는 상대를 반듯하게 하여 누르는 누르기,상대의 목을 조르는 조르기와 관절을 꺾거나 비트는 꺾기로 나누어진다. 급소지르기는 상대의 급소를 주먹,손가락,손끝,팔꿈치,무릅,발뒤꿈치,발바닥 등으로 지르거나 치거나 하는 기술을 말한다.그러나 이 급소지르기 기술은 현재 연습때나 시합때에 사용되지 않고 시범용으로 호신술에 끼워서 사용된다.
(1) 자세
유도의 가장 기본이 되는 자세는 자연체와 자호체가 있다.자연체에는 우자연
체,좌자연체가 있고 자호체에는 우자호체 좌자호체가 있다.
(2) 기울이기,지읏기,걸기
기울이기는 상대가 쉽게 중심을 기울어지게 하기 위한 방법이며 지읏기는 상대방의 중심이 기울어 졌을때 그를 메치기 좋은 위치에서 유리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며 걸기는 지읏기가 된 다음에 지체없이 기술을 거는 것을 말한다.이와같이 기울이기와 지읏기 그리고 걸기가 민첩하게 이루어질때 기술의 효과가 있게 마련이다.
(3)낙법
낙법이란 기술에 걸려서 넘어갈때 부상이나 충격을 받지 않고 떨어지는 방법을 말한다.낙법의 종류는 후방낙법,측방낙법,전방회전낙법 등이 있으며 그 연습의 순서는 안전하고 동작이 쉬운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2.태 권 도
태권도는 처음에 힘을 겨루는 기술로서 부족사회, 즉 삼한시대부터 생활수단의 투기,무인의 무술 또는 제천행사(무천(舞天),영고(迎鼓),동맹(東盟),시월제(十月祭)등) 경기의 일환으로 실시 되었다.이후 태권도는 삼국시대에 접어들면서 국방과 전투기능 향상을 위한 무인의 필수 무술이 되었으며 나라를 지키는 무사단에 의해 많이 수련되었고 그 대표적 예가 고구려의 ‘선배’와 신라
(2)무술[武 굳셀 무 術 꾀 술]
무술이란 일반적으로 손,발등의 신체부위 또는무기를 이용하여 공격해 오는 적을 분쇄하여 무력하게 하거나, 제압할 수 있는 싸움, 격투기술을 말한다
경호무술은 장명진(張明鎭)선생이 경호실무(警護實務)를 기초로 1992년 창시(創始)한 무술로서, 호위호신개념으로 창안.연구.개발한 무술이다. 경호직무수행자 및 일반 사회인이 체력을 쌓고 자신 및 사랑하는 사람, 가족 등을 보호할 수 있는 패밀리(family)무술로 보급되고 있다. 경호무술은 태권도, 유도등과 같이 두 선수가 맞붙어 승부를 가리는 경기형식이 아닌 혼자 또는 팀, 패밀리(가족) 단위로 공격자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방어(防禦)하고 경호대상(가족,지켜주고싶은이)을 보호(保護)하는“호위호신(護衛護身)무술”이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경호무술의 문헌(文獻)적 정립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는 1994년으로 장명진선생에 의해 경호무술의 모든 것이 집대성(集大成)되어 졌다. 경호학(경호실무)과 경호무술의 원작자이기도한 장명진선생이 호위호신무술인 경호무술의 기술체계(技術體系)를 정형화(定形化)하여 정립(定立) 하고〈경호실무〉와〈경호무술〉을 직접 저술(著述)하여 출판(出版)함에 따라 경호무술의 학문적, 기술적, 문헌적 정립이 완벽히 이루어졌다.
특히,〈경호무술〉책이 세계 무술사(武術史) 에서도 문헌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점은 무술종목 중 역대 최대 규모(1,704page:사진12,000컷)의 내용을 담고 있다는 것과 창시자가 직접 무술창안, 기술체계정립, 저술, 시연하여 집대성한 경우의 무술서적 으로는 경호무술이 유일(唯一)하다는 것에 있다.
2. 경호무술 창시배경
경호무술의 창시배경은 과거 경호원들은 경호환경에 맞는 특화된 실용적 무술이 없어 사회일반무술인 합기도, 태권도, 특공무술과 같은 전통무술과 유도,검도와 같은 일본의 무술을 익히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경호원들은 경호 위해 환경에서 요구되는 호위 호신술에 많은 한계점을 안고 있었기 때문에 이에 보완성이 요구되어 왔었다. 위와 같은 일반 전통무술은 호신무술로 자신에게 공격되는 상황에서는 상대방을 별문제 없이 대응할 수는 있었으나 경호원이 보호해야할 경호대상에 대한 호위개념에서의 대응에서는 많은 약점들이 노출도어 결국 경호원이 경호대상에 대한 호위에 실패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경호 위해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경호대상을 보호하면서 위해 공격자를 저지 또는 제압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무술을 새롭게 창안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경호실무를 기초로한 호위호신무술을 과학적 이론과 실기차원으로 구분 연구하여 경호환에 맞는 전혀 새로운 경호무술을 장명진 선생이 1992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3.호신술의 의의
호신술의 사전적 의미는 자신의 몸을 방호하기 위한 체기 곧 태권,권투,
유도,씨름,레슬링등의 기술,보신술을 말한다.이제부터는 여기에서 언급한 태권,권투,유도,씨름,레슬링 중 태권,유도,씨름에 대해 알아보겠다.
1.유 도
동양의 문화를 영향받아 발생한 격투기가 유도이다.우리나라에서는 이 유도와 비슷한 격투기가 고구려 산상왕(山上王)때의 서울이던 환도산성(丸都山城)에 있는 벽화에 그려져 있어 일찍부터 한국에도 격투기가 있었음을 증명한다.그 후 고려시대에 무인들이 정권을 잡은 이래 병사들의 훈련과목으로 쿤 시합을 하였다고 하는데 여기에는 신법(身法),각법(脚法),수법(手法)등 25가지 기술이 있었다고 한다.지금의 유도 시술을 보면 손기술,발기술,허리기술이라고 할수있다.이런 무술이 구전(口傳)으로 전해지다가 임진왜란때 일본으로 건너가서 과학적으로 체계가 서고 유도(Judo)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1]특성
개인기로서 주로 맨손으로 상대를 공격하고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는 무술이다.그 기술과 이론은 본으로 조직되었고 본의 수련을 통해 익혀진다.유도의 기술은 유능제강(柔能制剛)의 원리를 과학적으로 체계화 시킨것이다.즉 상대의 힘에 순응하면서 그 힘을 이용하여 상대를 제압하는 것이다.힘의 역학적인 원리에 의해서 민첩한 동작으로 그 헛점을 찌르는 것이 유도 기술의 기본원리이다.
2]기술
유도의 기술은 메치기와 굳치기 및 급소지르기의 3가지로 구성된다.메치기는 선기술과 누우면서 메치는 기술로 나누어진다.선기술은 주로 사용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손기술,허리기술,발기술로 구분하고 누우면서 메치기 기술은 몸의 눕히는 방향에 따라 바로 누우면서 던지는 메치기 기술과 모로 누우면서 던지는 메치기 기술로 나누어진다.굳치기는 상대를 반듯하게 하여 누르는 누르기,상대의 목을 조르는 조르기와 관절을 꺾거나 비트는 꺾기로 나누어진다. 급소지르기는 상대의 급소를 주먹,손가락,손끝,팔꿈치,무릅,발뒤꿈치,발바닥 등으로 지르거나 치거나 하는 기술을 말한다.그러나 이 급소지르기 기술은 현재 연습때나 시합때에 사용되지 않고 시범용으로 호신술에 끼워서 사용된다.
(1) 자세
유도의 가장 기본이 되는 자세는 자연체와 자호체가 있다.자연체에는 우자연
체,좌자연체가 있고 자호체에는 우자호체 좌자호체가 있다.
(2) 기울이기,지읏기,걸기
기울이기는 상대가 쉽게 중심을 기울어지게 하기 위한 방법이며 지읏기는 상대방의 중심이 기울어 졌을때 그를 메치기 좋은 위치에서 유리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며 걸기는 지읏기가 된 다음에 지체없이 기술을 거는 것을 말한다.이와같이 기울이기와 지읏기 그리고 걸기가 민첩하게 이루어질때 기술의 효과가 있게 마련이다.
(3)낙법
낙법이란 기술에 걸려서 넘어갈때 부상이나 충격을 받지 않고 떨어지는 방법을 말한다.낙법의 종류는 후방낙법,측방낙법,전방회전낙법 등이 있으며 그 연습의 순서는 안전하고 동작이 쉬운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2.태 권 도
태권도는 처음에 힘을 겨루는 기술로서 부족사회, 즉 삼한시대부터 생활수단의 투기,무인의 무술 또는 제천행사(무천(舞天),영고(迎鼓),동맹(東盟),시월제(十月祭)등) 경기의 일환으로 실시 되었다.이후 태권도는 삼국시대에 접어들면서 국방과 전투기능 향상을 위한 무인의 필수 무술이 되었으며 나라를 지키는 무사단에 의해 많이 수련되었고 그 대표적 예가 고구려의 ‘선배’와 신라
키워드
추천자료
대안 교육의 개념, 필요성, 사례
생활체육 (개념, 필요성, 가치, 프로그램, 발전방안)
노인복지의 개념과 노인복지정책 그리고 노인복지의 필요성
비용편익분석의 개념, 과정, 필요성
보육사업 보육사업의 개념, 필요성, 의의, 역사, 목적, 유형, 운영, 문제점, 개선방안, 우리...
관광 연출의 개념, 필요성, 관광지 연출의 기본원칙, 관광객 심리, 관광지 성격 파악, 부여, ...
봉사학습의 개념으로 진행되는 청소년 자원봉사의 필요성에 대해 쓰시오
ERP, ERP개념, 필요성, 특징, 발전배경, ERP성공사례, 향후전망
가족정책 - 가족정책의 필요성과 개념 및 가족정책에 대한 시각, 한국가족복지 정책의 문제점...
교정복지 - 교정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및 기능, 교정복지의 처우모델과 관련 이론, 비행청소...
이야기치료- 이야기치료의 필요성,이야기치료의 개념,치료목표 및 치료과정,치료자역할 및 치...
강점관점의 구성요소와 필요성 및 주요개념을 서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