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발행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 논의에 앞서

1. 역사 교육과정의 쟁점

2. 해방~교수요목기

3. 제 1차 교육과정 시기

4. 제 2차 교육과정 시기

5. 제 3차 교육과정 시기

6. 제 4차 교육과정 시기

7. 제 5차 교육과정 시기

8. 제 6차 교육과정 시기

9. 제 7차 교육과정 시기

10. 맺음말-역사교육의 변천과 교과서 발행 논의

본문내용

정과 집필상의 유의점에 따른 교과서 검정으로 내용선정과 조직에 다양성을 가져오지 못한 정부의 과서 규제 방침은 느슨해질 필요가 있음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교육과정의 실천에서 교사들의 역할을 강화하고, 교사의 전문성 확보에 대한 요구를 증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0. 맺음말-역사교육의 변천과 교과서 발행 논의
역사교유과정의 변천을 들여다보면서 과연 교육의 주체가 누구이고, 누구를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역사교육이 힘든 상황 하에서도 이만큼의 진전을 가져올 수 있기 위해 얼마나 노력을 기울였는지 알 수 있었다. 교육정책은 정부가 지원하고, 정부가 입안하는 대표적인 국가권력의 도구라는 점을 부정하기 어렵다. 교육만큼 정부로서 국민에게 쉽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수단도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폐해도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많지만, 정부의 지원에 따라 교육의 발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것을 거부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교육을 단순히 도구로서가 아닌 하나의 목적으로서, 학문으로서 정립한다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님을 알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일을, 그것도 한국 현대사의 질곡 속에서 꾸준히 전진한 역사교육 담당자들을 비난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아쉬운 점이 없는 것도 아니다. 역사교육의 주체로서 역사교육을 우선시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고, 정부 정책에 좌우된 학계의 입장 차이를 극복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부가 각종 규제와 제도를 통해 교육을 제한하려고 한 역사교육에 현장 교사들이 목소리를 모을 수 없었던 점도 아쉽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들이 없었다고만 할 수는 없다. 역사교육을 하나의 학문으로서 정립하고자 하는 전문가들이 나타났고, 그러한 전문가들이 역사학계 주도의 역사교육에 변화를 시도하였으며, 현장 교사들 또한 교육정책에 적극적인 개입을 시도하여 역사교육 모임뿐만 아니라, 현장에서도 역사교육의 새로운 시도를 실천하고 있다.
또한 교과서 발행에 관해서도 역사교육계가 정부의 위탁을 받는 형식이 아니라 자발적인 개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교사들 또한 교과서의 소비자이자 생산자로서 발행에 관여하고, 올바른 선택을 위하여 역사교육의 목표와 내용, 조직에 대한 선택기준을 논의하고, 합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변화 요구와 교과서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학계가 아닌 현장 교사 내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하였다는 점은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비록 역사교육 담당자들의 자생적인 노력이 성과를 거두기 어렵기는 하지만, 근본적인 변화는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내부의 자생적인 각성과 변화 의지와 요구에 의해 의해서 지속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외부의 개입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전문교사들을 양성하기 위해서나, 새로운 교과서 실험을 위해서, 그리고 변화의 또 다른 주체로서 학계의 도움도 필수적일 것이다.
■ 참고문헌
-『역사교육의 이해』 제9장 한국역사교육의 변천
-『역사교육 91』해방후 역사교과서 발행제도의 이행
-해방 이후 역사 교육과정의 쟁점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5.2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2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