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능성 peptide의 종류와 기능
1. 호르몬 (Hormon)
① 연구사
② 종에 대한 특이성
③ 화학적 분류
④ 기능
⑤뇌하수체ㆍ뇌
⑥ 분비조절
⑦ 무척추동물ㆍ식물
⑧ 화학구조
⑨ 단백질-펩티드계 호르몬의 종류
세크레틴 [secretin]
알부민 [albumin]
글로불린 [globulin]
갑상선자극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키네틴 [kinetin]
파로틴 [parotin]
프롤락틴 [prolactin]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융모성생식선자극호르몬 [chorionic gonadotropin]
성장 호르몬 (Growth Hormone)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여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뇌 호르몬 [Brain hormone]
칼시토닌 [calcitonin]
글루카곤 [glucagon]
인슐린 [insulin]
2. 항생제 [antibiotics]
① 페니실린(penicillin)류
②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류
③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류
④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류
⑤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⑥ 폴리펩티드(polypeptide)항생제
⑦ 퀴놀론(quinolone)류
⑧ 종류
페니실린 [penicillin]
바이오마신 [viomycin)
겐타마이신 [gentamicin]
3. 백신 (vaccine)
사균백신
약동생균 백신
톡소이드
감작백신
자가백신
다가백신
경구백신
혼합백신
인플루엔자백신
디피티 (DPT)
4. 신경전달물질 (neutrotransmitter)
2) 필수 아미노산
1. Glycine (글리신)
2. Alanine (알라닌)
3. Valine (발린)
4. Leucine (류신)
5. Isoleucine (이소류신)
6. Serine (세린)
7. Threonine (트레오닌)
8. Methionine (메티오닌)
9. Phenylalanine (페닐알라닌)
10. Tryptophan (트립토판)
11. Asparagine (아스파라긴)
12. Glutamine (글루타민)
13. Proline (프롤린)
14. Cysteine (시스테인)
15. Histidine (히스티딘)
16. Aspartic acid (아스파르트산)
17. Glutamamic acid (글루탐산)
18. Tyrosine (티로신)
19. Lysine (리신)
20. Arginine (아르기닌)
1. 호르몬 (Hormon)
① 연구사
② 종에 대한 특이성
③ 화학적 분류
④ 기능
⑤뇌하수체ㆍ뇌
⑥ 분비조절
⑦ 무척추동물ㆍ식물
⑧ 화학구조
⑨ 단백질-펩티드계 호르몬의 종류
세크레틴 [secretin]
알부민 [albumin]
글로불린 [globulin]
갑상선자극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키네틴 [kinetin]
파로틴 [parotin]
프롤락틴 [prolactin]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융모성생식선자극호르몬 [chorionic gonadotropin]
성장 호르몬 (Growth Hormone)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여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뇌 호르몬 [Brain hormone]
칼시토닌 [calcitonin]
글루카곤 [glucagon]
인슐린 [insulin]
2. 항생제 [antibiotics]
① 페니실린(penicillin)류
②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류
③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류
④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류
⑤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⑥ 폴리펩티드(polypeptide)항생제
⑦ 퀴놀론(quinolone)류
⑧ 종류
페니실린 [penicillin]
바이오마신 [viomycin)
겐타마이신 [gentamicin]
3. 백신 (vaccine)
사균백신
약동생균 백신
톡소이드
감작백신
자가백신
다가백신
경구백신
혼합백신
인플루엔자백신
디피티 (DPT)
4. 신경전달물질 (neutrotransmitter)
2) 필수 아미노산
1. Glycine (글리신)
2. Alanine (알라닌)
3. Valine (발린)
4. Leucine (류신)
5. Isoleucine (이소류신)
6. Serine (세린)
7. Threonine (트레오닌)
8. Methionine (메티오닌)
9. Phenylalanine (페닐알라닌)
10. Tryptophan (트립토판)
11. Asparagine (아스파라긴)
12. Glutamine (글루타민)
13. Proline (프롤린)
14. Cysteine (시스테인)
15. Histidine (히스티딘)
16. Aspartic acid (아스파르트산)
17. Glutamamic acid (글루탐산)
18. Tyrosine (티로신)
19. Lysine (리신)
20. Arginine (아르기닌)
본문내용
lating hormone]
키네틴 [kinetin]
파로틴 [parotin]
프롤락틴 [prolactin]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융모성생식선자극호르몬 [chorionic gonadotropin]
성장 호르몬 (Growth Hormone)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여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뇌 호르몬 [Brain hormone]
칼시토닌 [calcitonin]
글루카곤 [glucagon]
인슐린 [insulin]
2. 항생제 [antibiotics]
① 페니실린(penicillin)류
②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류
③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류
④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류
⑤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⑥ 폴리펩티드(polypeptide)항생제
⑦ 퀴놀론(quinolone)류
⑧ 종류
페니실린 [penicillin]
바이오마신 [viomycin)
겐타마이신 [gentamicin]
3. 백신 (vaccine)
사균백신
약동생균 백신
톡소이드
감작백신
자가백신
다가백신
경구백신
혼합백신
인플루엔자백신
디피티 (DPT)
4. 신경전달물질 (neutrotransmitter)
2) 필수 아미노산
1. Glycine (글리신)
2. Alanine (알라닌)
3. Valine (발린)
4. Leucine (류신)
5. Isoleucine (이소류신)
6. Serine (세린)
7. Threonine (트레오닌)
8. Methionine (메티오닌)
9. Phenylalanine (페닐알라닌)
10. Tryptophan (트립토판)
11. Asparagine (아스파라긴)
12. Glutamine (글루타민)
13. Proline (프롤린)
14. Cysteine (시스테인)
15. Histidine (히스티딘)
16. Aspartic acid (아스파르트산)
17. Glutamamic acid (글루탐산)
18. Tyrosine (티로신)
19. Lysine (리신)
20. Arginine (아르기닌)
B. 참고문헌
1) 기능성 peptide의 종류와 기능
생체기능성 peptide들이 호르몬, 효소의 기질이나 억제제, 성장인자, 신경전달물질, 면역조절 물질 등의 생리활성의 정방위에 걸쳐 조절인자로서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단백질등과 같은 생체 고분자 물질에 비하여 크기가 작아 화학합성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고, 여기에 덧붙여 다양한 변이체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신기능성 물질을 만들어내는데 아주 커다란 장점을 지니고 있다.
1. 호르몬 (Hormon)
호르몬을 형성하는 선을 내분비선이라고 한다. 이 정의는 내분비학의 급속한 발달에 의하여 이대로는 부합되지 않는 많은 예외가 알려져 제약을 받고 있다. 예를들면, 1개의 특수한 내분비선에 의해 생산된다고 생각되던 호르몬이 동물체 내의 몇가지 기관에서 형성되는 예가 있다. 아드레날린이나 노르아드레날린은 부신수질 외에 교감신경의 말단으로부터도 방출되고 있으며, 성호르몬은 생식선뿐만 아니라 부신피질이나 태반에서도 만들어진다. 호르몬 작용이 있는 물질이 선조직에서 뿐만 아니라 신경 조직에서 분비되는 경우는 신경분비라고 하다. 신경분비에 의한 유효물질을 신경분비 물질이라고 하여 선성인 호르몬과 구별한다.
① 연구사
관념적으로는 히포크라테스 시대부터 호르몬양 물질의 존재가 생각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과학적으로 연구하게 된 것으 s19세기가 되면서부터이다. 먼저 프랑스의 C.베르나르가 간으로부터 글루코오스가 혈액 속으로 보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시 1891년 C.E.부라운세카르 등이 동물체의 세포가 특수한 물질을 혈액 속에 분비하며, 그것이 혈액과 더불어 순환하여 멀리 떨어진 다른 세포에 영향을 준다고하고, 세포의 이러한 작용을 내분비라고 불렀다. 또 그 무렵 갑상선 절제 후에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증세가 갑상선의 추출물을 주사함으로써 치유된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1902년에 호르몬의 존재와 생리적 의의를 알게 되는 단서가 된 것은, 영국의 E.H.스탈링 등에 의해 세크레틴이 발견되고, 몇 년 후에 세크레틴과 같은 물질을 널리 호르몬이라 부르자고 제창한 것이다. 호르몬은 그리스어로 ‘자극하다’‘흥분시킨다’‘각성시킨다’는 뜻에서 따온 이름이다. 호르몬은 생체 내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비타민처럼 체외로부터 공급할 필요가 없고, 또한 매우 미량으로 작용을 발현하는데, 거꾸로 이 때문에 항상 소량만 존재하므로 생체조직으로부터 분리정제하는 일은 매우 곤란하다.
예를 들면, 1931년 AJ.부테난트 등이 결정화에 성공한 대표적인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은 돼지의 난소황체 625kg으로부터 겨우 25mg의 결정표본이 얻어졌다. 또 앞에서 말한 것처럼, 호르몬은 혈류에 실려 체내를 이동하여 표적기관에 이르는데, 그 농도는 분비조직 내에서는 높지만 멀어질수록 엷어진다.
② 종에 대한 특이성
과거에 호르몬에는 종에 의한 특이성이 없다고 생각하였다. 즉, 소의 호르몬이 개구리의 호르몬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것은 비교적 분자량이 작은 호르몬인 경우에는 해당되지만, 분자량이 큰 호르몬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분자구조는 옥시토신과 같은 예외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는 다르다.
여러 동물에서 얻은 호르몬이 비슷한 작용을 하는 것은 어떤 공통된 분자구조가 있기 때문이며, 이 존재가 호르몬 작용의 공통성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여러 가지 동물에서 얻은 인슐린과 바소프레신에서 알려져 있다.
보통 단백질계의 호르몬은 종에 따라 분자구조가 다를 뿐만 아니라, 다른 종의 동물호르몬이 반드시 유효하다고는 할 수 없다. 소의 생장호르몬은 올챙이의 생장은 촉진하지만, 사람이나 마모트에는 효력이 없으며, 기본적으로는 종특이성을 볼 수 있다.
③ 화학적 분류
호르몬은 큰 분자량을 가진 인슐린이나 뇌하수체 호르몬 등의 단백질 -폴리펩티드계, 소분자인 아드레날린이나 갑상선 호르몬 등의 페놀 유도체계, 성호르몬이나 부신피질 호르몬 등의 스테로이드계 등으로 나
키네틴 [kinetin]
파로틴 [parotin]
프롤락틴 [prolactin]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융모성생식선자극호르몬 [chorionic gonadotropin]
성장 호르몬 (Growth Hormone)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여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뇌 호르몬 [Brain hormone]
칼시토닌 [calcitonin]
글루카곤 [glucagon]
인슐린 [insulin]
2. 항생제 [antibiotics]
① 페니실린(penicillin)류
②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류
③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류
④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류
⑤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⑥ 폴리펩티드(polypeptide)항생제
⑦ 퀴놀론(quinolone)류
⑧ 종류
페니실린 [penicillin]
바이오마신 [viomycin)
겐타마이신 [gentamicin]
3. 백신 (vaccine)
사균백신
약동생균 백신
톡소이드
감작백신
자가백신
다가백신
경구백신
혼합백신
인플루엔자백신
디피티 (DPT)
4. 신경전달물질 (neutrotransmitter)
2) 필수 아미노산
1. Glycine (글리신)
2. Alanine (알라닌)
3. Valine (발린)
4. Leucine (류신)
5. Isoleucine (이소류신)
6. Serine (세린)
7. Threonine (트레오닌)
8. Methionine (메티오닌)
9. Phenylalanine (페닐알라닌)
10. Tryptophan (트립토판)
11. Asparagine (아스파라긴)
12. Glutamine (글루타민)
13. Proline (프롤린)
14. Cysteine (시스테인)
15. Histidine (히스티딘)
16. Aspartic acid (아스파르트산)
17. Glutamamic acid (글루탐산)
18. Tyrosine (티로신)
19. Lysine (리신)
20. Arginine (아르기닌)
B. 참고문헌
1) 기능성 peptide의 종류와 기능
생체기능성 peptide들이 호르몬, 효소의 기질이나 억제제, 성장인자, 신경전달물질, 면역조절 물질 등의 생리활성의 정방위에 걸쳐 조절인자로서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단백질등과 같은 생체 고분자 물질에 비하여 크기가 작아 화학합성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고, 여기에 덧붙여 다양한 변이체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신기능성 물질을 만들어내는데 아주 커다란 장점을 지니고 있다.
1. 호르몬 (Hormon)
호르몬을 형성하는 선을 내분비선이라고 한다. 이 정의는 내분비학의 급속한 발달에 의하여 이대로는 부합되지 않는 많은 예외가 알려져 제약을 받고 있다. 예를들면, 1개의 특수한 내분비선에 의해 생산된다고 생각되던 호르몬이 동물체 내의 몇가지 기관에서 형성되는 예가 있다. 아드레날린이나 노르아드레날린은 부신수질 외에 교감신경의 말단으로부터도 방출되고 있으며, 성호르몬은 생식선뿐만 아니라 부신피질이나 태반에서도 만들어진다. 호르몬 작용이 있는 물질이 선조직에서 뿐만 아니라 신경 조직에서 분비되는 경우는 신경분비라고 하다. 신경분비에 의한 유효물질을 신경분비 물질이라고 하여 선성인 호르몬과 구별한다.
① 연구사
관념적으로는 히포크라테스 시대부터 호르몬양 물질의 존재가 생각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과학적으로 연구하게 된 것으 s19세기가 되면서부터이다. 먼저 프랑스의 C.베르나르가 간으로부터 글루코오스가 혈액 속으로 보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시 1891년 C.E.부라운세카르 등이 동물체의 세포가 특수한 물질을 혈액 속에 분비하며, 그것이 혈액과 더불어 순환하여 멀리 떨어진 다른 세포에 영향을 준다고하고, 세포의 이러한 작용을 내분비라고 불렀다. 또 그 무렵 갑상선 절제 후에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증세가 갑상선의 추출물을 주사함으로써 치유된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1902년에 호르몬의 존재와 생리적 의의를 알게 되는 단서가 된 것은, 영국의 E.H.스탈링 등에 의해 세크레틴이 발견되고, 몇 년 후에 세크레틴과 같은 물질을 널리 호르몬이라 부르자고 제창한 것이다. 호르몬은 그리스어로 ‘자극하다’‘흥분시킨다’‘각성시킨다’는 뜻에서 따온 이름이다. 호르몬은 생체 내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비타민처럼 체외로부터 공급할 필요가 없고, 또한 매우 미량으로 작용을 발현하는데, 거꾸로 이 때문에 항상 소량만 존재하므로 생체조직으로부터 분리정제하는 일은 매우 곤란하다.
예를 들면, 1931년 AJ.부테난트 등이 결정화에 성공한 대표적인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은 돼지의 난소황체 625kg으로부터 겨우 25mg의 결정표본이 얻어졌다. 또 앞에서 말한 것처럼, 호르몬은 혈류에 실려 체내를 이동하여 표적기관에 이르는데, 그 농도는 분비조직 내에서는 높지만 멀어질수록 엷어진다.
② 종에 대한 특이성
과거에 호르몬에는 종에 의한 특이성이 없다고 생각하였다. 즉, 소의 호르몬이 개구리의 호르몬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것은 비교적 분자량이 작은 호르몬인 경우에는 해당되지만, 분자량이 큰 호르몬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분자구조는 옥시토신과 같은 예외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는 다르다.
여러 동물에서 얻은 호르몬이 비슷한 작용을 하는 것은 어떤 공통된 분자구조가 있기 때문이며, 이 존재가 호르몬 작용의 공통성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여러 가지 동물에서 얻은 인슐린과 바소프레신에서 알려져 있다.
보통 단백질계의 호르몬은 종에 따라 분자구조가 다를 뿐만 아니라, 다른 종의 동물호르몬이 반드시 유효하다고는 할 수 없다. 소의 생장호르몬은 올챙이의 생장은 촉진하지만, 사람이나 마모트에는 효력이 없으며, 기본적으로는 종특이성을 볼 수 있다.
③ 화학적 분류
호르몬은 큰 분자량을 가진 인슐린이나 뇌하수체 호르몬 등의 단백질 -폴리펩티드계, 소분자인 아드레날린이나 갑상선 호르몬 등의 페놀 유도체계, 성호르몬이나 부신피질 호르몬 등의 스테로이드계 등으로 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