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경기 종목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육상경기 종목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단거리 달리기
(1) 출발 동작
(2) 가속질주동작
(3) 전속질주 동작
(4) 피니시 동작
(5) 200m 달리기
(6) 400m 달리기

제 2장 중․장거리 달리기
(1) 중거리 경기 종목 및 적성
(2 )출발법
(3) 중거리와 장거리 선수의 체력적 특성
(4) 종목에 따른 발의 착지점
(5) 힘있는 동작과 매끄러운 동작
(6) 페이스 조절 방법
(7) 호흡법
(8) 중장거리 달리기의 전체적 특징
(9) 경기종목
(10) 경기규칙
(11) 경기장을 시계반대방향으로 달리는 이유?

제 3장 장거리 달리기
(1) 장거리 달리기의 적성
(2) 자세와 질주법
(3) 호흡법
(4) 페이스

제 4장 장애물 경주
(1) 스타트
(2) 발구르기
(3) 공중동작과 착지
(4) 기술적 특징

본문내용

전체를 이용하여 착지한다.정기리달리기는 발뒤꿈치부터 착지하여 발 앞쪽으로 무게 중심을 옮겨 가면서 마지막에 앞부분으로 킥을 하도록 한다.
(5) 힘있는 동작과 매끄러운 동작
힘차게 팔을 흔들며 나아가는 주법과 상하 움직임이 적고 매그럽게 달리는 동작, 모두 다 중,장거리 달리기의 기록을 높이려고 하는 선수에게 필요한 것들이다. 힘 있는 동작으로 달리는 것은 움직임이 크고 상하 움직임도 있기 때문에 스피드 변환이나 라스트 스퍼트에 유리한 반면, 달리는 효율이 떨어진다. 매끄러운 동작으로 달리는 것은 달리기 효율은 뛰어나지만 라스트 스퍼트나 달리기 중의 교란 작전에 약한 타입이라고 할 수 있다.
(6) 페이스 조절 방법
페이스 조절이란 힘을 배분하는 것을 말하며 과학적용어로는 스피드 배분이라고 할 수 있다. 달려야 할 전체거리를 적절히 나누어 힘을 배분함으로써 힘을 남김없이 발휘할 수 있게 하는 기법이다.
페이스 조절은 전반에 적극적으로 달리다가 피로해짐에 따라 서서히 스피드를 줄이며 달리는 방법이 효율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것은 장거리달리기와 마라톤에도 적용된다. 물론 전반에 적극적으로 달려 나가야 한다고 해서 그 정도가 지나쳐 \'오버페이스\'상태가 되거나, 반대로 힘을 너무 아끼다가 후반에 힘이 남는 \'슬로페이스\'같은 결과를 낳으면 좋은 기록이 나올 수 없다.
(7) 호흡법
자연스럽게 코와 입으로 호흡하되, 언제나 발걸음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후반에 피로를 느낄 때에는 보다 크고 빠르게 호흡하여 산소를 충분히 섭취하도록 해야 한다.
(8) 중장거리 달리기의 전체적 특징
중장거리 달리기는 스피드와 근 지구력, 심폐지구력이요구되며 일정한 페이스 흐트러지지 않는 자세, 강한 인내력 등이 필요하다. 몸을 자연스럽게 앞으로 10~12° 정도 기울여 다리와 균형을 잡기 위하여 경쾌하게 흔들며 다리는 약 65°로 굽혀 올리며 유연한 움직임을 유지해야 한다.
호흡은 자연스럽게 하면서 라스트 스퍼트는 경기자에 따라 다르나 250m~400m 남은거리에서 스피드를 올리는 것이 유리하다. 자기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치밀한 작전으로 경기에 임해야 하며 힘의 균형을 잃으면 실패하므로 페이스의 조절에 주의해야 한다.
(9) 경기종목
중거리달리기에는 800m 1500m가 있으며, 장거리 달리기 남자는 5000m 10,000m 여자는 3000m 10,000m가 있다.
(10) 경기규칙
1)경기방법
①\'제자리에\'구령후 경주자가 모두 멈추었을 때 출발 신호를 한다.
②출발자세를 취할 때 지면에 한 손 또는 양손이 닿지 않도록 한다.
③800m 달리기느 세퍼릿코스에서 출발하여 곡선 주로를 벗어나는 곳에 표시된 브레이크 라인까지 자신의 코스를 달려야 한다.
④800m가 넘는 거리의 경주는 오픈 코스로 실시한다.
2)실격
①다른 선수를 고의로 민 경우
②다른 선수의 진로를 고의로 가로막은 경우
③심판의 허락 업이 자발적으로 코스나 트랙을 이탈한 경우
(11) 경기장을 시계반대방향으로 달리는 이유?
현재 적용되고 있는 국제 육상 경기 연맹 규정은 1913년 제2차 국제 육상 경기 연맹 총회에서 만들어졌다. 이 규정 제22조에는 \'트랙경기의 달리는 방향은 왼쪽\"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 부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론들이 나왔다. 한가지는 전통을 고수한다는 이론이고, 또 다른 이론은 생리학적인 면이다.
1)전통적 이론
①고대 그리스인들은 시계반대 방향으로 달렸고 우리는 단지 전통을 고수한다.
②야샹마들이나 경마장의 말들은 항상 시계반대 방향으로 달린다.
③경주견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달린다.
④군인들이 사열할 때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하며 구령은 \"우로봐\"이다.
⑤육상 선수들이 마지막 직선 코스를 달려올 때 관중들 입장에서 보면 움직임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⑥이것은 글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2)생리학적 이론
시계반대방향로 돈다면 코너를 돌 때 코너 바깥쪽에 있는 팔, 즉 오른쪽 팔을더 많이 흔들 게 되어 오른족 팔이 더욱 더 강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왼손잡이보다 오른손잡이가 더 많기 때문에 시계 반대 방향의 경주가 적용되는 것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달릴 때 심장이 트랙의 안족에 있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말한다.
제 3장 장거리 달리기
(1) 장거리 달리기의 적성
경기 종목에는 5000m와 10000m 있다. 신장이 크고 체중이 가벼운체격 조건이 유리하며, 근육이 많은것 보다 마르고 긴 다리를 가진 것이, 레이스를 하는데에 에너지 소비가 적으므로 신체적인 효율이 좋다고 할 수 있다.
〈표 3-1〉장거리 체력 요소
체력 요소
중요도
체력 요소
중요도
민첩성
3
유연성
3
근력
3
조정력
릴랙세이션
5
파워
3
밸런스
3
지구력
심폐
5
리듬
5
전근
5
타이밍
2
(2) 자세와 질주법
1)다리동작(스트라이드와 피치)
전통적으로 장거리에서는 스트라이드를 좁게 하고 피치를 빠르게 하여 달리는 피치주법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장거리 선수들의 장신화 추세에 따라 피치를 부담없이 하고 스트라이드를 크게 하는 스트라이드 주법이 강조되고 있는 경향이다. 따라서, 졸래의 빠른 피치를 가능한 유지하면서 스트라이드를 약간 크게 함으로써 스피드를 내는 것이 장거리 달리기 주법의 요령이다.
그러나 필요 이상으로 스트라이드를 강조하면 착지 순간에 전방으로의 브레이크가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역효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개인의 능력 범위내에서 스트라이드를 조절하고 다리 동장을 유연하게 하는것이 중요하다.
현재 장거리 선수의 이상저인 질주 자세는 중거리 자세에 가깝게 허리의 위치를 높게 유지하면서 발이 지면을 뜨는 순간부터 허리 전체를 비틀면서 뒷다리를 추진방향으로 부드럽세 흔들어 내고, 다른 쪽 다리는 무릎을 쭉펴서 무리없이 힘찬 킥을 행하는 것이다. 앞다리으 대퇴부를 적당히 올려 무릎은 가볍게 펴면서 발을 앞에서 뒤로 되돌리듯 착지함으로써 전방으로의 브레이크를 최소화 한다.
2) 착지 요령
착지하는 발은 다리의 모든 근육근이 균등하게 작용하도록 지면에 대해서 평평하게 착지하는것이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6.0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