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급속히 변화하는 용인
1) 용인시의 환경
2) 용인시 연혁
3) 용인시의 산업
4) 용인시의 교통관광
5) 용인시의 사회문화
2. 사진으로 보는 용인시의 근대화 100년
3. 용인시의 변화
1) 인구 변화와 원인
2) 산업 변화와 원인
3) 도시변화와 원인
4. 도시변화속의 시민들의 삶
5. 용인시를 답사하며
※ 참고 문헌
1) 용인시의 환경
2) 용인시 연혁
3) 용인시의 산업
4) 용인시의 교통관광
5) 용인시의 사회문화
2. 사진으로 보는 용인시의 근대화 100년
3. 용인시의 변화
1) 인구 변화와 원인
2) 산업 변화와 원인
3) 도시변화와 원인
4. 도시변화속의 시민들의 삶
5. 용인시를 답사하며
※ 참고 문헌
본문내용
구, 농업인구는 2만 8713명이다. 현재까지 계속해서 농업인구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백암면은 농업인구가 가장 많고, 기흥동은 가장 적다. 쌀보리콩 등이 주로 산출되고 있으나보리의 경우 생산량이 매년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이동면, 원삼면, 양지면 등지에서는 인삼재배가 이루어지고, 특용작물로는 들깨참깨땅콩 등이 재배되고 있다. 특산품으로는송이버섯이수자반상옥로주소리고을청동오리쌀순지오이포곡상추전통한지백암순대가 유명하다.
정기시장과 가축시장이 중앙동과 백암면에서 열리고 있으나, 수원시와 성남시에 있는 상설시장에 대한 의존도도 크다. 1970년대 이후 수도권 분산정책의 일환으로 기흥읍 일대에 많은 화학섬유기계식품 등의 생산업체가 들어서 있다. 목장은 주로 구성읍, 기흥읍, 모현면에 많이 분포하며, 시역의 목장 수는 170여 개에 달한다.
장터로는 김량장, 백암장, 용인장(위의 사진 참고)이 있으며, 한국 민속촌 내에서 열리는 용인장은 지역의 큰 명물로 통할 정도로 유명하다. 이 장터에서는 인절미증편 등의 고유 떡과 파전, 도토리묵, 식혜, 빈대떡 등 한국 고유의 갖가지 음식이 팔리고 있다.삼성 전자 반도체산업 등 2,000여 개의 기업체가 입주해 있는 도농 복합형의 도시이며, 관광명소와 위락시설이 잘 되어 있는 관광도시로서 급격히 변화 발전해가고 있다.
4) 용인시의 교통관광
남북으로 경부고속도로가, 동서로 영동고속도로가 관통하고 있으며, 기흥읍 신갈리에는 2개의 인터체인지가 설치되어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중앙동을 중심으로 국도와 지방도가 사방으로 이어져 시역의 교통도 아주 편리하다. 1972년 영동고속도로가 건설된 이후 1973년에 수려선 협궤철도가 철거 되었다. 문화재로는 2003년 현재 국보 50점, 보물 90점, 사적 1점 등 국가지정문화재141점과 시도지정문화재로 유형문화재 10점, 무형문화재 1점, 기념물 12점, 민속자료 1점, 문화재자료 13점 등이 있는데, 국가지정문화재의 대부분은 호암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고적 및 사적지로는 신라 경문왕 때 건조된 이 동면 용덕사가 있고, 포곡읍 백련암, 남사면 아곡리의 처인 성지, 모현면 능원 리의 정몽주 묘, 병자호란 때의 의병장 이석형 묘, 마북동의 민충정공 묘, 백암면 석천리의 반계 유형원 묘, 심충장공 묘 등이 있다. 1976년 4월 에버랜드(용인자연농원)가 포곡읍 전대리 일대에 설립되었고, 한국 민속촌이 기흥구 보라동 일대에 설립되었다. 그 밖에 경기도박물관, 호암미술관, 한국등잔박물관, 한국미술관, 한택식물원, 황새울 관광농원 등의 문화휴식 공간과 골프장, 스키장, 눈썰매장 등 각종 위락시설이 많아 연간 1천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관광 문화도시이다.
5) 용인시의 사회문화
전통 교육기관으로는 조선시대 1400년대에 건립된 용인향교와 1523년에 세워진 양지향교가 있었다. 서원으로는 1576년에 세워진 충렬서원, 1650년에 세워진 심곡서원, 정종 조에 세워진 한천서원 등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현재의 문정중학교의 전신인 명륜 학원이 있었고, 1940년에 설립된 태성학원, 1954년 설립된 공립학교인 용인중고등학교가 있었다. 1950년대 문맹퇴치를 위한 야학 활동이나 1960년대 재건학교 또는 고등공민학교 등의 명칭으로 개설된 교육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점은 이 지역 교육문화의 특색이기도 하다.2002년 현재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54개교(분교 3개교), 중학교 24개교, 고등학교 11개교가 있으며, 명지대학교, 경희대학교, 강남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찰대학교, 용인대학교, 칼빈 신학대학교, 루터신학대학교와 용인송담대학 등이 있다. 의료기관으로는 2001년 현재 종합병원 2개소, 병원 7개소, 의원 154개소, 치과병(의)원 78개소, 한방병(의)원 45개소, 부속부설병원 2개소, 보건소 1개소 등이 있다. 문화체육시설로는 삼성교통박물관, 호암미술관, 경기도박물관, 한국등잔박물관, 세중옛돌박물관을 비롯해 문예회관, 용인문화원, 시립도서관, 청소년수련원 등이 있다. 문화행사로는 매년 9월에 열리는 시민의 날 행사와 매년10월 초에 시민장기자랑 한마당, 민속 경연 대회, 각종 전시회, 한복맵시대회, 전국궁도대회 등을 내용으로 하는 용구문화예술제가 있다.
용인민속촌 전경, 경기도 박물관 입구,
용인대학교 야경(왼쪽 위부터 차례대로)
2. 사진으로 보는 용인시의 근대화 100년
1. 1880년 대 이 지도는 규장각에서 소장하고 있고 \"양지군 읍지\"에 게 재되었으며, 현(縣)내의 중앙 지점에서 원근법을 사용치 않고 좌우를 살펴 그린 지도이다. (1880)
2. 1913년 당시 용인명륜학교 학생들로 선생님은 국민복을 입고 칼을 찼었다. 현재 <용인명륜학교일기>가 전하는데, 이 사진자료와 함께 당시의 실상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신갈국민학교 전신)
구한말 1923
1960년대 1970년대
1970년대
3. 사진은 양지학교(명륜학교) 1923~1960~현재까지의 모습으로 양지국민학교는 1911년 양지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해 용인군에서는 제일처음 생긴 학교이다
4. 1930년대 현재와는 판이한 모습의 용인군청 모습과 공무원들의 의상이 이채롭다. 흰두루마기와 양복이대조적이다.
5. 1930년 5월 1일에 개통된 수여선의 열차가양지역에 정차해 있다. 처음 개통할 당시는 수원~이천간 53.1km만 운행하였다. 양지역에는 승객외에 장작, 숯, 벼 등의 수화물을 취급하였는데, 하루 60t정도를 취급하였다.
6. 1930년대 \"가마니짜고 나무 한짐씩\". 이 당시 학생들의 수업중 대부분은 농업실습으로 채워졌다.운동장에 모여 가마니짜기 대회를 열었는가 하면, 집에서도 가마니를 짜서 학교에 가져왔다.
7. 1935년도 가을 기흥 공립 보통학교 가을 운동회 사진이다. 기합과 군사훈련을 받는 듯한체력단련 모습이 오늘의 운동회와 비교된다.
8.1939 지금의 용인국민학교 전신인 (김량공립심상소학교)운동장을 확장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실시한운동회 모습이다. 당시 학교의 전체 모습과 주변의 초가집이 선명하다.
9.1942 근엄한 교장선생님의 훈화시간에 한치의 흐트림없이 서있는 모습은 지금이나 그
백암면은 농업인구가 가장 많고, 기흥동은 가장 적다. 쌀보리콩 등이 주로 산출되고 있으나보리의 경우 생산량이 매년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이동면, 원삼면, 양지면 등지에서는 인삼재배가 이루어지고, 특용작물로는 들깨참깨땅콩 등이 재배되고 있다. 특산품으로는송이버섯이수자반상옥로주소리고을청동오리쌀순지오이포곡상추전통한지백암순대가 유명하다.
정기시장과 가축시장이 중앙동과 백암면에서 열리고 있으나, 수원시와 성남시에 있는 상설시장에 대한 의존도도 크다. 1970년대 이후 수도권 분산정책의 일환으로 기흥읍 일대에 많은 화학섬유기계식품 등의 생산업체가 들어서 있다. 목장은 주로 구성읍, 기흥읍, 모현면에 많이 분포하며, 시역의 목장 수는 170여 개에 달한다.
장터로는 김량장, 백암장, 용인장(위의 사진 참고)이 있으며, 한국 민속촌 내에서 열리는 용인장은 지역의 큰 명물로 통할 정도로 유명하다. 이 장터에서는 인절미증편 등의 고유 떡과 파전, 도토리묵, 식혜, 빈대떡 등 한국 고유의 갖가지 음식이 팔리고 있다.삼성 전자 반도체산업 등 2,000여 개의 기업체가 입주해 있는 도농 복합형의 도시이며, 관광명소와 위락시설이 잘 되어 있는 관광도시로서 급격히 변화 발전해가고 있다.
4) 용인시의 교통관광
남북으로 경부고속도로가, 동서로 영동고속도로가 관통하고 있으며, 기흥읍 신갈리에는 2개의 인터체인지가 설치되어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중앙동을 중심으로 국도와 지방도가 사방으로 이어져 시역의 교통도 아주 편리하다. 1972년 영동고속도로가 건설된 이후 1973년에 수려선 협궤철도가 철거 되었다. 문화재로는 2003년 현재 국보 50점, 보물 90점, 사적 1점 등 국가지정문화재141점과 시도지정문화재로 유형문화재 10점, 무형문화재 1점, 기념물 12점, 민속자료 1점, 문화재자료 13점 등이 있는데, 국가지정문화재의 대부분은 호암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고적 및 사적지로는 신라 경문왕 때 건조된 이 동면 용덕사가 있고, 포곡읍 백련암, 남사면 아곡리의 처인 성지, 모현면 능원 리의 정몽주 묘, 병자호란 때의 의병장 이석형 묘, 마북동의 민충정공 묘, 백암면 석천리의 반계 유형원 묘, 심충장공 묘 등이 있다. 1976년 4월 에버랜드(용인자연농원)가 포곡읍 전대리 일대에 설립되었고, 한국 민속촌이 기흥구 보라동 일대에 설립되었다. 그 밖에 경기도박물관, 호암미술관, 한국등잔박물관, 한국미술관, 한택식물원, 황새울 관광농원 등의 문화휴식 공간과 골프장, 스키장, 눈썰매장 등 각종 위락시설이 많아 연간 1천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관광 문화도시이다.
5) 용인시의 사회문화
전통 교육기관으로는 조선시대 1400년대에 건립된 용인향교와 1523년에 세워진 양지향교가 있었다. 서원으로는 1576년에 세워진 충렬서원, 1650년에 세워진 심곡서원, 정종 조에 세워진 한천서원 등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현재의 문정중학교의 전신인 명륜 학원이 있었고, 1940년에 설립된 태성학원, 1954년 설립된 공립학교인 용인중고등학교가 있었다. 1950년대 문맹퇴치를 위한 야학 활동이나 1960년대 재건학교 또는 고등공민학교 등의 명칭으로 개설된 교육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점은 이 지역 교육문화의 특색이기도 하다.2002년 현재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54개교(분교 3개교), 중학교 24개교, 고등학교 11개교가 있으며, 명지대학교, 경희대학교, 강남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찰대학교, 용인대학교, 칼빈 신학대학교, 루터신학대학교와 용인송담대학 등이 있다. 의료기관으로는 2001년 현재 종합병원 2개소, 병원 7개소, 의원 154개소, 치과병(의)원 78개소, 한방병(의)원 45개소, 부속부설병원 2개소, 보건소 1개소 등이 있다. 문화체육시설로는 삼성교통박물관, 호암미술관, 경기도박물관, 한국등잔박물관, 세중옛돌박물관을 비롯해 문예회관, 용인문화원, 시립도서관, 청소년수련원 등이 있다. 문화행사로는 매년 9월에 열리는 시민의 날 행사와 매년10월 초에 시민장기자랑 한마당, 민속 경연 대회, 각종 전시회, 한복맵시대회, 전국궁도대회 등을 내용으로 하는 용구문화예술제가 있다.
용인민속촌 전경, 경기도 박물관 입구,
용인대학교 야경(왼쪽 위부터 차례대로)
2. 사진으로 보는 용인시의 근대화 100년
1. 1880년 대 이 지도는 규장각에서 소장하고 있고 \"양지군 읍지\"에 게 재되었으며, 현(縣)내의 중앙 지점에서 원근법을 사용치 않고 좌우를 살펴 그린 지도이다. (1880)
2. 1913년 당시 용인명륜학교 학생들로 선생님은 국민복을 입고 칼을 찼었다. 현재 <용인명륜학교일기>가 전하는데, 이 사진자료와 함께 당시의 실상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신갈국민학교 전신)
구한말 1923
1960년대 1970년대
1970년대
3. 사진은 양지학교(명륜학교) 1923~1960~현재까지의 모습으로 양지국민학교는 1911년 양지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해 용인군에서는 제일처음 생긴 학교이다
4. 1930년대 현재와는 판이한 모습의 용인군청 모습과 공무원들의 의상이 이채롭다. 흰두루마기와 양복이대조적이다.
5. 1930년 5월 1일에 개통된 수여선의 열차가양지역에 정차해 있다. 처음 개통할 당시는 수원~이천간 53.1km만 운행하였다. 양지역에는 승객외에 장작, 숯, 벼 등의 수화물을 취급하였는데, 하루 60t정도를 취급하였다.
6. 1930년대 \"가마니짜고 나무 한짐씩\". 이 당시 학생들의 수업중 대부분은 농업실습으로 채워졌다.운동장에 모여 가마니짜기 대회를 열었는가 하면, 집에서도 가마니를 짜서 학교에 가져왔다.
7. 1935년도 가을 기흥 공립 보통학교 가을 운동회 사진이다. 기합과 군사훈련을 받는 듯한체력단련 모습이 오늘의 운동회와 비교된다.
8.1939 지금의 용인국민학교 전신인 (김량공립심상소학교)운동장을 확장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실시한운동회 모습이다. 당시 학교의 전체 모습과 주변의 초가집이 선명하다.
9.1942 근엄한 교장선생님의 훈화시간에 한치의 흐트림없이 서있는 모습은 지금이나 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