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경제사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의주(만상)동래(내상) 등에서도 사상의 활동이 활발
-개성의 송상 : 전국에 송방이라는 지점을 설치하여 활동 기반을 강화하고, 주로 인삼을 재배판매하고 대외 무역에도 깊이 관여
-경강 상인 : 한강을 근거로 거상으로 성장한 도고상인, 서남 연해안과 한강을 오가며 미곡소금어물 등의 운송과 판매로 부를 축적, 조운제에 참여하기도 했으며 선박을 건조하기도 하였음
◎장시의 발달
-15C 말에 남부 지방에서 처음 등장한 장시는 18세기 중엽에는 1000여 개소가 개설
-장시: 대개 5일 단위로 열리는 정기 시장으로 인근의 고을들과 연결해 돌아가면서 시장을 열어 시장권을 형성 → 사상들의 활동 무대
-장시 중에 규모가 큰 지역의 상권은 수요가 크게 증가하여 상설 시장화(광주의 송파장, 은진의 강경장, 덕원의 원산장, 창원의 마산포장 등)
-보부상: 관허 행상단으로 전국을 돌아다니며 전국의 장시를 하나의 유통망으로 연계, 보부상단을 조직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보호했으며 정보에 밝아 범죄자의 체포 등에 협조
◎포구 상업
-수로를 통한 운송이 많았으므로 포구 상업이 발달하여 상업의 중심지로 성장→포구와 포구, 포구와 인근의 장시를 연계하고 선상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전국의 포구를 연결하는 전국 유통망 형성
-선상: 배를 이용해 각 지방의 물품을 구입하고 물건을 포구에서 처분(경강상인)
-객주와 여각: 선상이 운송해 온 물화의 매매를 중계하는 중간 도매상의 역할, 큰 규모의 장시에도 존재하여 사상이나 보부상들의 상행위 관련 업무를 처리, 운송업창고업숙박업금융업
◎중계 무역
-공무역은 開市, 사무역은 後市
-대청무역: 국경 지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개시는 경원회령중강 등에 후시는 중강책문 등지에 설치, 비단약재문방구 등을 수입하고 은종이무명인상 등을 수출
-대일무역: 일본 상인의 숙박소인 왜관 개시를 통해 이루어짐, 인삼쌀무명 등을 수출하고 은구리황후추 등을 수입 ⇒ 일본에서 수입한 은을 청에 수출하는 중계무역
-만상은 청과의 무역, 내상은 일본과의 무역을 주도했고, 송상은 만상과 내상의 중계를 통해 이득
◎화폐의 유통
-금납화로 화폐의 전국 유통: 상평통보
-화폐의 무분별한 장려로 통제가 해이해져 사적으로 발행하기도 함
-전황: 화폐를 축재의 수단으로 삼아 시중에서 화폐를 볼 수 없게 되는 것 → 화폐를 비싼 값에 구입하는 농민도 등장 → 이익의 폐전론과 박지원의 용전론
-환어음 등의 신용 화폐도 대규모의 상거래에 이용

키워드

조선,   경제,   정리,   요약,   경제사,   한국사,   조선시대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6.0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8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