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마야문명
3. 테오티우아칸
4. 아즈테카
5. 페루 해안
6. 티아우아나쿠
7. 잉카문명
8. 끝맺으며
2. 마야문명
3. 테오티우아칸
4. 아즈테카
5. 페루 해안
6. 티아우아나쿠
7. 잉카문명
8. 끝맺으며
본문내용
을 정복했고 큰 나라들과는 동맹을 맺어 맹주가 되었습니다. 이복 누나 코욜사유키와 추종자들을 물리치고, 조카 코필의 마지막 저항을 누르면서 제국의 길를 가게 되었습니다.
한편 그들이 멕시코 고원의 정통성이 있는 곳에서부터 왔다는 것을 알리고 그들의 군사적 정복과 지배를 정당화 할 수 있는 무엇이 필요했습니다. 아즈테카 사람들은 테노치티틀란 섬의 한가운데에 독수리로 표현되는 우이칠로포츠틀리와 비의 신 틀랄록을 기리는 신전을 세웠습니다. 그리고 우이칠로포츠틀리의 탄생과 코욜사유키와의 싸움을 조각한 거대한 부조를 남겼습니다 비의 신 틀랄록은 케찰코아틀과 함께 테오티우아칸의 중요한 두 신 중의 하나입니다. 그들이 지도자와 틀랄록 신을 함께 두면서, 지도자 우이칠로포츠틀리는 신으로 숭배됩니다. 그들은 태양의 전설을 믿었습니다: 13 번째의 하늘에서 창조자는 네 명의 아들을 낳습니다. 첫째는 붉은 테즈카틀리포카이고 둘째는 검은 테즈카틀리포카, 셋째는 케찰코아틀, 막내는 우이칠로포츠틀리입니다. 처음의 세계는 검은 테즈카틀리포카가 지배하는 대지였습니다. 케찰코아틀은 검은 테즈카틀리포카가 다스리는 거인의 세계를 부수었습니다. 이어서 케찰코아틀에 의해 지배되는 바람의 세계는 검은 테즈카틀리포카에 의해 멸망 당합니다. 비의 신 틀랄록은 비의 세계를 지배했는데 비처럼 내리는 화염을 보낸 케찰코아틀에 의해 파괴됩니다. 네 번째의 것은 물의 세계인데 대홍수가 이 세계를 파괴했고 사람들은 물고기로 변합니다. 그러나 신들은 모든 사람들을 없앤 것을 후회하였습니다. 케찰코아틀은 물고기로 죽은 사람들의 뼈를 찾기 위해 지하세계 믹틀란으로 위험한 여행을 하였습니다. 귀중한 들을 회수하고 이 뼈들를 갈아 밀가루처럼 만든 뒤 신들은 그들의 피를 그 위에 떨어뜨려 사람이 다시 태어나게 하였습니다. 이리하여 다섯 번째의 세계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다섯 번째의 세계에 비로소 태양이 있다고 믿는 아즈테카 사람들은 뱀이 내려오는 모습의 난간을 가진 신전을 짓고 테오티우아칸에서 탄생한 태양신 토나티우에게 인간의 심장을 바쳤습니다. 태양이 돌기위해서는 피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하루에 대여섯명의 심장이 바쳐지는 날도 많았습니다. 희생자는 주로 전쟁 포로들이었기 때문에 주위의 부족들과 끝없이 전쟁을 하는 것이 바로 이 인신공양을 위하여 하는 것처럼 되었습니다.
아즈테카는 전쟁을 하여 포로를 잡고 공물도 많이 거두어들여 세력을 넓혔습니다. 아즈테카의 영향은 지금의 멕시코 전체와 과테말라에서도 보이고 멀리 있는 다른 나라들과도 교역을 했습니다. 그러나 아즈테카의 모든 부와 권력은 신으로 믿고 있는 왕과 그의 신하들에게 모여졌고 과중한 부담과 전쟁에 시달리고 있는 주위의 부족들은 불만이 많았습니다. 산꼭대기의 호수의 환상적인 도시에 도착한 에르난 코르테츠와 그의 스페인 사람들은 곧 상황을 파악했습니다. 400여명에 불과했던 스페인 사람들은 새로운 무기, 총과 말, 이외에 아즈테카 제국의 지배에 불만이 있던 주위 부족들의 도움을 받아 손쉽게 메소 아메리카의 가장 큰 제국을 정복했습니다. 그들이 제국에 발을 들여놓은 지 2년이 채 안 되는 1521년 우이칠로포츠틀리와 틀랄록의 신전은 파괴되었습니다.
파괴된 신전위에 스페인 사람들은 카톨릭의 대성당을 세우고 주위에 새로운 식민지를 지배할 건물들을 세웠습니다. 멕시코 시티의 지하에 묻혀져 잊혀있던 아즈테카의 신전이 사람들의 눈에 다시 나타난 것은 1978년 지하철을 만들기 위해 땅을 파헤치는 동안 우이칠로포츠틀리와 틀랄록의 쌍둥이 신전의 아랫 부분이 발견된 이후입니다. 그 후의 계속된 발굴과 유적지의 화학 반응 실험을 통하여 전설처럼 내려오던 아즈테카의 인신공양의 문화가 밝혀
한편 그들이 멕시코 고원의 정통성이 있는 곳에서부터 왔다는 것을 알리고 그들의 군사적 정복과 지배를 정당화 할 수 있는 무엇이 필요했습니다. 아즈테카 사람들은 테노치티틀란 섬의 한가운데에 독수리로 표현되는 우이칠로포츠틀리와 비의 신 틀랄록을 기리는 신전을 세웠습니다. 그리고 우이칠로포츠틀리의 탄생과 코욜사유키와의 싸움을 조각한 거대한 부조를 남겼습니다 비의 신 틀랄록은 케찰코아틀과 함께 테오티우아칸의 중요한 두 신 중의 하나입니다. 그들이 지도자와 틀랄록 신을 함께 두면서, 지도자 우이칠로포츠틀리는 신으로 숭배됩니다. 그들은 태양의 전설을 믿었습니다: 13 번째의 하늘에서 창조자는 네 명의 아들을 낳습니다. 첫째는 붉은 테즈카틀리포카이고 둘째는 검은 테즈카틀리포카, 셋째는 케찰코아틀, 막내는 우이칠로포츠틀리입니다. 처음의 세계는 검은 테즈카틀리포카가 지배하는 대지였습니다. 케찰코아틀은 검은 테즈카틀리포카가 다스리는 거인의 세계를 부수었습니다. 이어서 케찰코아틀에 의해 지배되는 바람의 세계는 검은 테즈카틀리포카에 의해 멸망 당합니다. 비의 신 틀랄록은 비의 세계를 지배했는데 비처럼 내리는 화염을 보낸 케찰코아틀에 의해 파괴됩니다. 네 번째의 것은 물의 세계인데 대홍수가 이 세계를 파괴했고 사람들은 물고기로 변합니다. 그러나 신들은 모든 사람들을 없앤 것을 후회하였습니다. 케찰코아틀은 물고기로 죽은 사람들의 뼈를 찾기 위해 지하세계 믹틀란으로 위험한 여행을 하였습니다. 귀중한 들을 회수하고 이 뼈들를 갈아 밀가루처럼 만든 뒤 신들은 그들의 피를 그 위에 떨어뜨려 사람이 다시 태어나게 하였습니다. 이리하여 다섯 번째의 세계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다섯 번째의 세계에 비로소 태양이 있다고 믿는 아즈테카 사람들은 뱀이 내려오는 모습의 난간을 가진 신전을 짓고 테오티우아칸에서 탄생한 태양신 토나티우에게 인간의 심장을 바쳤습니다. 태양이 돌기위해서는 피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하루에 대여섯명의 심장이 바쳐지는 날도 많았습니다. 희생자는 주로 전쟁 포로들이었기 때문에 주위의 부족들과 끝없이 전쟁을 하는 것이 바로 이 인신공양을 위하여 하는 것처럼 되었습니다.
아즈테카는 전쟁을 하여 포로를 잡고 공물도 많이 거두어들여 세력을 넓혔습니다. 아즈테카의 영향은 지금의 멕시코 전체와 과테말라에서도 보이고 멀리 있는 다른 나라들과도 교역을 했습니다. 그러나 아즈테카의 모든 부와 권력은 신으로 믿고 있는 왕과 그의 신하들에게 모여졌고 과중한 부담과 전쟁에 시달리고 있는 주위의 부족들은 불만이 많았습니다. 산꼭대기의 호수의 환상적인 도시에 도착한 에르난 코르테츠와 그의 스페인 사람들은 곧 상황을 파악했습니다. 400여명에 불과했던 스페인 사람들은 새로운 무기, 총과 말, 이외에 아즈테카 제국의 지배에 불만이 있던 주위 부족들의 도움을 받아 손쉽게 메소 아메리카의 가장 큰 제국을 정복했습니다. 그들이 제국에 발을 들여놓은 지 2년이 채 안 되는 1521년 우이칠로포츠틀리와 틀랄록의 신전은 파괴되었습니다.
파괴된 신전위에 스페인 사람들은 카톨릭의 대성당을 세우고 주위에 새로운 식민지를 지배할 건물들을 세웠습니다. 멕시코 시티의 지하에 묻혀져 잊혀있던 아즈테카의 신전이 사람들의 눈에 다시 나타난 것은 1978년 지하철을 만들기 위해 땅을 파헤치는 동안 우이칠로포츠틀리와 틀랄록의 쌍둥이 신전의 아랫 부분이 발견된 이후입니다. 그 후의 계속된 발굴과 유적지의 화학 반응 실험을 통하여 전설처럼 내려오던 아즈테카의 인신공양의 문화가 밝혀
추천자료
라틴아메리카 문화와 정치
[중남미]중남미(라틴아메리카)의 고대문명, 중남미(라틴아메리카)의 정복 과정, 중남미(라틴...
[칠레][라틴아메리카][중남미][칠레문화]칠레(라틴아메리카)의 개관, 칠레(라틴아메리카)의 ...
[페루][라틴아메리카][중남미][페루의 지리][페루의 문화관광자원]페루(라틴아메리카)의 일반...
[베네수엘라][라틴아메리카][중남미][베네주엘라]베네수엘라(베네주엘라)의 자연과 베네수엘...
[코스타리카]라틴아메리카 코스타리카의 개황, 라틴아메리카 코스타리카의 일반정보, 라틴아...
[라틴아메리카]중남미(라틴아메리카)의 작가, 중남미(라틴아메리카)의 시인, 중남미(라틴아메...
[페루][라틴아메리카][중남미][페루의 문화]라틴아메리카 페루의 개관, 라틴아메리카 페루의 ...
[칠레][라틴아메리카][중남미][칠레의 문화]라틴아메리카 칠레의 개황, 라틴아메리카 칠레의 ...
라틴아메리카(중남미)의 개념, 라틴아메리카(중남미)의 지역별 분류, 라틴아메리카(중남미)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