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한‧극동 지역간 교류의 부각
본론
1. 극동의 행정구역
2. 한‧극동 지역간 교류의 중요성
-지리적 측면에서 본 극동지역
-경제적 측면에서 본 극동지역
3. 경제 협력의 현황
결론
한‧극동 지역간 교류의 전망
한‧극동 지역간 교류의 부각
본론
1. 극동의 행정구역
2. 한‧극동 지역간 교류의 중요성
-지리적 측면에서 본 극동지역
-경제적 측면에서 본 극동지역
3. 경제 협력의 현황
결론
한‧극동 지역간 교류의 전망
본문내용
문했다. 여기서 동해-나호트카 항로 개설과 경제 교류 증진 방안을 협의했다. 또한 민간 경제 단체와 지방 자치단체의 민관 교류가 상호 보완적으로 추진되었다. 그리고 양시의 부정기 화물선 취항과 관광 협회 대표단이 나호트카시를 방문하는 등 관광 경제 협력까지 확대했다. 1999년 상호 경제 실무 협의를 했고, 그리고 동해시는 지방자치단체 의회, 시, 정부, 민간 경제 단체 등의 경제 지원 체계가 조직되고 경제협력을 형성하는데 주된 역할을 하고 있다.
충청남도와 아무르주간의 협력은 1994년 한국의 충청남도와 교류협력관계를 시작했는데. 이 협력은 특이하게 직접적인 두 도시의 상호교류가 아닌 아무르주 농업 진출과 관련되어 문화, 농업분야 협력 제의가 시금석이 되어 추진되었다. 1995년 6월 정식적인 자매결연을 체결했다. 1996년 충남도지사는 아무르주를 방문해서 경제 협력 협의와 제 15회 국제 박람회에 참가했다. 충청남도 기업의 생산품 및 제품들을 러시아 시장에 진열함으로서 경제 교류의 초석을 닦았다. 그리고 2000년 경제분야 의견 교환회를 2000년도에 가졌다.
그리고 인천시와 블라디보스톡이 참여한 ‘동북아 도시경제협의체’가 있다. 인천시를 중심으로 홍콩, 상하이, 텐진, 다롄, 요코하마, 신의주, 블라디보스톡 등 동북아 5개국 8개 도시가 회원이 되는 `동북아 도시경제협의체`가 창설된다. 동북아 주요 국가 간 당면 과제와 무역 활성화 등을 위해 최근 도시경제협의체 창설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해당 도시에 협의체 창설을 제안한 결과 각 도시가 가입 동의 의사를 표명하였고, 2004년 2월에 창립을 하였다. 시는 협의체 본부를 인천에 유치하고 총회와 실무위원회, 사무국 등의 기구를 마련할 방침이며 회의는 매년 총회와 필요시 임시총회 및 실무회의 등을 열기로 했다. 이 도시들은 협의체를 통해 수시로 모여 당면 공동과제 해결과 각국의 비교우위 제품에 대한 통상무역 그리고 상호투자 방안 등을 논의하게 된다. 또 타 도시회의와 차별화를 두기 위해 주요 사업을 공동사업가 개별사업으로 구분하고 공동사업은 회원 도시간 공통과제 해결을 위한 사업으로 선정하며 개별사업은 각 도시가 민간단체와 연계해 비교우위가 있는 사업을 제안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는 블라디보스톡과 인천간만의 교류는 아니지만, 앞으로 양도시간에 교류협력이 좀더 진전될 수 있는 하나의 발걸음이 되는 일이다.
결론
한러 지역 간 교류의 전망
지금 현재로서는 실질적인 교류협력의 측면에서 지역이 한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역 간 민간 단체교류가 미비한 실정이다. 대다수가 지방자치 정부간의 교류 형태이고 이마저도 국가 간의 교류의 형식을 띄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러시아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극동의 대외 경제 법규가 미비하고, 부패 관세 특전의 부재, 사회간접 자본의 미비, 경제의 미성숙 등이 한국 및 지방자치단체의 물적 인적 교류를 막고 있다.
미비한 제도는 근본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활발한 교류 협력의 인식이 제고되어야 한다. 지역 간 협력은 국가 간 협력적 테두리 속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한러 양국 지방정부간의 정치 외교적 협력이 중요하다. 그리고 경제 협력은 실질적인 실리적인 측면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단기간의 결과만을 가지고 교류를 결정할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사회 문화 교류까지도 활발히 이루어 져야 한다.
<참고 문헌>
정여천, “한러 경제교류 10년의 평가와 러시아 경제의 미래” (2000)
홍성원, “러시아 극동의 발전 가능성과 동북아지역국가와의 경제협력” 한국슬라브학회(2000)
서대숙, “한국과 러시아관계”(2000)
www.kinds.or.k
www.buyrussia21.co.kr
충청남도와 아무르주간의 협력은 1994년 한국의 충청남도와 교류협력관계를 시작했는데. 이 협력은 특이하게 직접적인 두 도시의 상호교류가 아닌 아무르주 농업 진출과 관련되어 문화, 농업분야 협력 제의가 시금석이 되어 추진되었다. 1995년 6월 정식적인 자매결연을 체결했다. 1996년 충남도지사는 아무르주를 방문해서 경제 협력 협의와 제 15회 국제 박람회에 참가했다. 충청남도 기업의 생산품 및 제품들을 러시아 시장에 진열함으로서 경제 교류의 초석을 닦았다. 그리고 2000년 경제분야 의견 교환회를 2000년도에 가졌다.
그리고 인천시와 블라디보스톡이 참여한 ‘동북아 도시경제협의체’가 있다. 인천시를 중심으로 홍콩, 상하이, 텐진, 다롄, 요코하마, 신의주, 블라디보스톡 등 동북아 5개국 8개 도시가 회원이 되는 `동북아 도시경제협의체`가 창설된다. 동북아 주요 국가 간 당면 과제와 무역 활성화 등을 위해 최근 도시경제협의체 창설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해당 도시에 협의체 창설을 제안한 결과 각 도시가 가입 동의 의사를 표명하였고, 2004년 2월에 창립을 하였다. 시는 협의체 본부를 인천에 유치하고 총회와 실무위원회, 사무국 등의 기구를 마련할 방침이며 회의는 매년 총회와 필요시 임시총회 및 실무회의 등을 열기로 했다. 이 도시들은 협의체를 통해 수시로 모여 당면 공동과제 해결과 각국의 비교우위 제품에 대한 통상무역 그리고 상호투자 방안 등을 논의하게 된다. 또 타 도시회의와 차별화를 두기 위해 주요 사업을 공동사업가 개별사업으로 구분하고 공동사업은 회원 도시간 공통과제 해결을 위한 사업으로 선정하며 개별사업은 각 도시가 민간단체와 연계해 비교우위가 있는 사업을 제안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는 블라디보스톡과 인천간만의 교류는 아니지만, 앞으로 양도시간에 교류협력이 좀더 진전될 수 있는 하나의 발걸음이 되는 일이다.
결론
한러 지역 간 교류의 전망
지금 현재로서는 실질적인 교류협력의 측면에서 지역이 한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역 간 민간 단체교류가 미비한 실정이다. 대다수가 지방자치 정부간의 교류 형태이고 이마저도 국가 간의 교류의 형식을 띄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러시아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극동의 대외 경제 법규가 미비하고, 부패 관세 특전의 부재, 사회간접 자본의 미비, 경제의 미성숙 등이 한국 및 지방자치단체의 물적 인적 교류를 막고 있다.
미비한 제도는 근본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활발한 교류 협력의 인식이 제고되어야 한다. 지역 간 협력은 국가 간 협력적 테두리 속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한러 양국 지방정부간의 정치 외교적 협력이 중요하다. 그리고 경제 협력은 실질적인 실리적인 측면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단기간의 결과만을 가지고 교류를 결정할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사회 문화 교류까지도 활발히 이루어 져야 한다.
<참고 문헌>
정여천, “한러 경제교류 10년의 평가와 러시아 경제의 미래” (2000)
홍성원, “러시아 극동의 발전 가능성과 동북아지역국가와의 경제협력” 한국슬라브학회(2000)
서대숙, “한국과 러시아관계”(2000)
www.kinds.or.k
www.buyrussia21.co.kr
추천자료
동북아 경제협력과 세계경제 (한중일 FTA,자유무역협정)
중국경제의 변화와 지역 경제협력 정책
경제협력 체제 구축을 위한 북한경제특구 고찰
[한중협력][한중관계]한중(한국과 중국) 정치안보협력, 한중(한국과 중국) 경제협력, 한중(한...
동아시아 경제협력과 한국의 역할,경제성장
양안간의 경제협력의 실태와 전망 - 중국과 대만의 경제협력 -
중일역할증대(중국과 일본의 역할증대), 중일관계(중국과 일본의 관계), 중일경제협력(중국과...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밀약설,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관계정상화,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
남북한 경제협력문제(북한의 개혁 및 개방과 남북관계, 개성공단의 협력실태)
[아태경제협력체-APEC] APEC(Asia Paciflc Economic Cooperation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의 ...
지역적 국제기구 (북대서양조약기구,유럽연합,바르샤바조약기구, 동구상호경제협력회의,미주...
[남북경제통합經濟統合] 남북한 경제통합의 선행조건, 북한과의 경제통합 전개, 남북경제협력...
[기업 경제][기업][경제][기업 경제환경][경제통합][경제협력기구][경제환위험][경제정책][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