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한국(한러)의 밀약설,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관계정상화,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공동성명,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경제협력,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과학기술협력, 러시아와 한국(한러) 원자력협력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밀약설,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관계정상화,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공동성명,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경제협력,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과학기술협력, 러시아와 한국(한러) 원자력협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밀약설
1. 한․러 밀약설의 배경 : 조선을 둘러싼 국제정세
2. 한․러 밀약과 청의 의도
1) 조선 - 러시아
2) 청의 의도
3. 한반도에 대한 러시아의 의도
1) 1880년대 조선을 둘러싼 열강들의 의도
2) 러시아의 의도
4. 한․러 밀약설의 내용
1) 1차 한․러 밀약설(1885년 6월 16일)
2) 2차 한․러 밀약설(1886년 8월 9일)
3) 3차 한․러 밀약설(1888년 7월 13일)

Ⅲ.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관계정상화

Ⅳ.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공동성명

Ⅴ.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경제협력

Ⅵ.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과학기술협력
1. 기술이전의 개념
2. 기술이전의 유형
3. 기술이전 시스템(Technology Transfer System)
1) 기술이전 환경
2) 기술공급자(transferor)
3) 기술도입자(transferee)
4) 기술이전 프로젝트
5) 정부의 기술이전 정책(technology transfer policy)

Ⅶ.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원자력협력
1. 고속중성자형 원자로 기술개발
2. 우라늄-플루토늄 분리 추출 기술
3. 부유(浮游) 원자력 발전소
4. 제어 열핵융합 반응기술
5. 핵폐기물 감축기술
6. 핵연료 폐기물 건조 보관기술
7. 원자로 경보신호 공급시스템 개발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정부의 신기술실용화 프로그램 또는 기술이전 프로그램들은 연구기관과 민간기업들로부터의 신기술 실용화를 위한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을 유인하는데 영향을 끼친다.
Ⅶ.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원자력협력
1. 고속중성자형 원자로 기술개발
○ 주요전문가 : 표드르 미β꼬프(Russian Academician), 2004 \"Global Energy\"상 수상.
○ 일반적인 열중성자로를 사용하여 핵연료, 곧 우라늄-235의 부족을 절감 가능.
○ 고속중성자형 원자로에서만 핵연료의 재생산이 가능함으로 이 문제를 해결 가능
- 미국의 조레스 알페로프 박사에 의하면, 이 같은 경우 수백 년 심지어 수천 년까지 에너지보유가 보장됨.
○ 러시아는 고속중성자에 의한 차세대의 우라늄 연료의 핵 원자로-증식형 원자로 생산에서 확실한 우선권을 가짐
○ 고속중성자에 의한 BN-600 이나 BN-800 러시아 원자로는 21세기 세계원자력 분야에서 국제공동프로그램 형성을 위한 기초가 될 수 있음
2. 우라늄-플루토늄 분리 추출 기술
○ 주요전문가 :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산하 지구화학 및 분석화학 연구소, Boris Fedorovich Myasoedov 아카데미 회원
○ 특별한 시약에 의해 포화된 액체 이산화탄소에 의해 가공 핵연료 찌꺼기로부터 먼저 우라늄과 다음으로 플루토늄이 획득되게 되며 그 후에 액체 이산화탄소는 대기중으로 사라짐
○ 우라늄은 염분 용액의 형태로 남게 되고 순수한 이산화탄소는 사라지게 되며, 이런 방법으로 거의 완전히 우라늄을 추출할 수 있음
○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분리하는 첫 번째 결과는 러시아 학자들에 의해서 얻어짐. 고속 중성자를 이용한 원자로가 미래의 원자력 에너지가 될 것이기 때문에 바로 우라늄과 플루토늄 혼합 연료가 필요함.
3. 부유(浮游) 원자력 발전소
○ 세계에서 최초로 원자로 L-40가 설치된 부유(浮游) 에너지 블록 위에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 개발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
- 러시아는 잠수함 및 선박에서 핵장치를 가동하는 기술보유
- 지상 건설비보다 5-7배가량 건설비가 저렴하다고 평가됨.
○ 목적 : 전기에너지나 열, 혹은 담수를 생산
○ 소요예상지 :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그리고 중앙아메리카에 필요할 것으로 추정
○ 구소련 시절 핵 염분 제거 콤플렉스는 쉐프첸코라는 도시(현재 카자흐스탄의 아타카)에서 성공적으로 가동됨
4. 제어 열핵융합 반응기술
○ 주요전문가 : 레베제프 안드레이 다닐로비치( A.F 이오페 물리기술연구소), Valentin Smirnov(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객원 회원, 꾸르차토프센터의 핵 합성연구소 소장)
○ 핵심 연구기관은 플라즈마 장비들을 설계하는 에프레모프 전자물리 시스템 연구소. 플라즈마 물리, 플라즈마 가열 및 진단, 안전 시스템을 연구하는 쿠르차토프 연구소. 삼중수소를 이용하여 초전도 장치에 사용되는 재료를 연구하는 보취바르 무기질재료 연구소 등
○ 어떻게 태양의 일부분을 지구상에서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 국제 열핵융합 실험로(ITER) 건설기술과 관련된 연구.
○ 자기장에 의해 고온 플라즈마를 밀폐시키는 TOKAMAK은 러시아 꾸르차토프연구소, Lebedev 물리연구소 그리고 일반 물리연구소의 발명품으로서 열핵융합 실험로의 주요 구조물로 들어가게 될 것임.
- 자기장을 이용해 플라즈마를 제어하고 열핵반응을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 자체도 러시아의 과학자 사하로프와 땀에 의해 제안됨.
○ 러시아 과학자들에 의해 제안되는 국제공동 프로젝트는 플라즈마를 제어하는데 필수적인 초전도 자석 제조기술과 열핵 반응의 결과 생성되는 에너지를 이끌어 내는 시스템 등.
○ 반응기의 제일 외벽의 외장기술도 러시아가 갖고 있는 우월한 기술중의 하나임.
- 이것은 가장 가벼운 금속 베릴륨을 이용하며 우주 개발과 핵 개발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던 시기에 러시아 과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독특한 가공기술
○ 플라즈마 진단분야에서도 플라즈마 가열 시스템 및 열핵연료 사출 시스템 등의 훌륭한 기술을 소유
5. 핵폐기물 감축기술
○ 주요연구기관 : 아카데믹 A.A.Botchbar기념 전 러시아 무기물 재료 과학 연구소
○ 원자로의 원료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우란2산화물을 기초로 제조된 핵연료 정제 기술.
○ 새로운 핵 정제는 연료 연소율을 더 높이고 원자력 발전소에서 나오는 핵 폐기물의 양을 줄이 수 있게 함으로써 원자력 발전소의 효율을 높일 뿐 아니라, 환경적으로도 효율성을 가져옴.
6. 핵연료 폐기물 건조 보관기술
○ 전문가 : 러시아 국영원자력공사(Rosenergoatom) 핵연료폐기 처리 주임 전문가 알렉 샤롭, 쌍뻬쩨르부르그의 특수 기계제작 설계국
○ 사용된 핵연료를 운반하고 장기적으로 건조 보관할 수 있는 컨테이너 용기를 개발.
- 이 새로운 컨테이너 용기로는 사용된 연료체를 50년 이상 보관이 가능하고, 게다가 지하에서뿐 아니라 원자력 발전소 인근에 건설된 지상 창고에서도 가능.
○ 금속-콘크리트 혼합을 기초로 제조되고 운송-포장 컨테이너로 불림.
7. 원자로 경보신호 공급시스템 개발
○ 전문가 : 중앙과학무선공학 연구소 Mr. V.Voroviev
○ 원자로에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을 때 작동하는 시스템
○ 핵 동력장치 냉각 액체의 국부과열시 순간적으로 반응하는 시스템.
- 공업 냉각시스템, 전선관, 운반물질(석유, 천연가스, 헬륨, 프레온, 곡물, 밀가루등)의 정상 컨트롤 파라미터들도 관리.
- 기압, 온도, 습도를 관리하며 전선관의 파열 장소를 기록함
참고문헌
박찬복 외 2명, 한러과학기술협력의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기술혁신학회, 2000
박동호, 한국 러시아간 현안과 우리의 입장, 극동문제연구소, 1998
심헌용, 러시아 대외정책의 변화과정과 한러관계의 발전방향,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8
이상준, 포스트 크라이시스 세계와 한·러 경제협력, 한국외국어대학교러시아연구소, 2011
이영형, 한국·러시아간 외교문서 분석을 통해 본 양국관계의 특징,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8
지승희, 한국과 러시아간 문화교류의 과제와 협력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2008
  • 가격6,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7.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