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목제의 최첨단 이용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1세기 목제의 최첨단 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 2 장 목재의 구조와 특징
제 1 절 목재의 구조
제 2 절 목재의 성질
제 3절 나무의 종류
제 4 절 가공재의 종류

제 3 장 선조들의 목재 이용
제 1 절 한지

제 4 장 목재의 첨단 이용 기술
제 1 절 불에 안타는 벽지 개발
제 2 절 자동차 내장재로 활용
제 3 절 에너지로서 목재의 이용
제 4 절 셀룰로오즈의 첨단 이용
제5절 온돌 강화마루

제 5 장 목탄의 첨단 이용기술
제 1 절 목탄의 특징
제 2 절 목탄으로 섬유염색
제 3 절 목탄을 이용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악취 제거
제 4 절 목탄수질 정화 시스템
제 5 절 기타

제 6 장 폐목재의 자원화
제 1 절 건축용 재료로서의 재이용
제 2 절 폐목재의 유화
제 3 절 폐지의 자원화
제 4 절.폐지펄프의 이용

제 7 장 신소재
제 1절 특성
제 2절 용도

제 8 장 결론

본문내용

여 만든 것으로, 합판집성재MDF파티클 보드플로어링 등이 있다.
1. 합 판
목재가 지닌 휨과 쪼개짐, 수축 등과 같은 결점을 보완한 가공재이다. 합판은 어떠한 수목으로도 만들 수 있으나, 국내산 원목은 대부분 지름이 작아 외국에서 나왕알몬 등을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국내산 원목으로는 느티나무오동나무 등이 합판의 재료로 적합하다.
합판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원목을 가열한 다음, 적당한 길이로 자르고 껍질을 벗긴 뒤, 일정한 길이의 원목을 회전축에 걸고 회전시켜 얇은 판으로 벗겨
내거나, 원목을 대패질하듯이 얇은 판으로 깎아 내어 목재 단판을 만든다. 단판의 두께는 0.25mm에서 25.4mm까지 여러 종류가 있으며, 충분히 건조시켜야 한다. 합판은 단판을 검사하여 결점을 제거한 후, 접착제를 칠하여 나뭇결이 직각이 되도록 홀수로 겹친 후 접착제가 경화되도록 압착시켜 만든다.
2. 집성재
여러 개의 판재나 작은 각재 등의 목재를 섬유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하여 길이나비 및 두께 방향으로 접착체를 사용하여 붙이고, 열을 가하면서 압착시킨 것을 말한다. 집성재는 필요한 치수 및 형태의 재료를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옹이갈라짐 등의 결함을 제거분산시킬 수 있어 강도가 고른 장점이 있다.
집성재는 대형 구조물교량교회체육관 등에 이용되는 아치재보기둥 등의 구조용 재료나, 실내 장식 및 가구의 재료로 많이 이용된다.
3.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중밀도 섬유판)
MDF는 목질 재료를 주원료로 하여 고온에서 해섬하여 얻은 목섬유를 합성 수지 접착제로 결합시켜 성형열압하여 만든 밀도 0.4~ 0.8g/cm3의 목질 판상 제품이며, 3.0mm에서 30mm 두께까지 생산이 가능하다.
MDF는 섬유 분배가 균일하고 조직이 치밀하여 복잡한 기계 가공 작업을 면이나 측면의 파열 없이 수행할 수 있으므로, 측면 반자돌림이나 표면 가공을 하는 테이블 상판문짝서랍 전면 등에 사용된다. 또한, 면이 견고하고 평활하여 장식용 필름이나 베니어 등을 오버레이하거나 페인팅하는 데에도 매우 적합하다. 뛰어난 안정성과 기계 가공성, 높은 강도 때문에 서랍 측면이나 캐비닛 레일거울틀반자돌림 등에 일반 목재 대신 사용할 수 있다.
4.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
목에서 목재를 생산하고 남은 조각을 잘게 부수어 한 켜씩 펴고, 그 사이에 합성 수지 계통의 접착제를 뿌려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시켜 만든다. 이것은 일반 목재와 달리, 나뭇결 방향에 따른 강도나 변형에 의한 차이가 거의 없으며, 소리를 잘 흡수하고 넓은 면적의 판을 대량으로 만들 수 있어서 가구악기전자 제품 케이스 등의 제작에 쓰인다.
5. 플로어링(Flooring)
나무가 굳고 무늬가 아름다운 판자로, 한쪽 옆에는 홈을 내고 다른 쪽에는 촉을 만들어 맞대어 붙이기 편하게 만든다. 주로 마루널을 까는 데에 쓰인다.
6. 시멘트 목질판
목편목모목질 섬유 등과 시멘트를 혼합하여 성형한 보드로서, 각각 목편 시멘트판목모 시멘트판펄프 시멘트판이라 부르며, 일종의 복합 재료이다. 시멘트 목질판은 가공재(목질 재료)의 가공성과 시멘트의 불연성을 가지며, 그 성질과 용도가 비중에 따라 다른 특징이 있다. 목편 시멘트판 : 단열 보온재 또는 칸막이판 등으로 사용된다.
철근 보강판 : 바닥이나 지붕을 만들 수 있다.
목모 섬유판 : 흡음단열효과가 있어 내벽 및 천장의 마감재, 지붕의 단열재나 치장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목질 시멘트판 : 주로 건축물의 내장용으로 사용된다.
※ 펄프(pulp) 목재를 부수어 조각으로 만들고, 화학 약품을 넣어 기름진 성분을 빼낸 후 목섬유만을 분리한 것이다. 여기에 표백제를 넣어 희게 한 다음에 여러 가지 종이를 만든다.
7. 화학 가공 목재
목재와 합성 수지를 복합하거나 약품 처리에 의해 제조된 목재로서, 제재품과는 성질이 다른 목재의 총칭이다. 이와 같이, 목질 재료의 원래 모습을 유지한 채로 열과 압력을 가하여 고밀화시키는 물리적 방법, 화학 약품을 침투시키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목질 재료가 가지고 있는 결함을 개량하여 그 성질을 개선한 목재를 개질 목재라 한다. 개질의 목적은 건조방부방충내화치수 안정성 및 양호한 물리기계적 성질을 얻는 데 있다.
제 3 장 선조들의 목재 이용
제 1 절 한지
우리한지는 우리 선조들이 재료의 성질을 잘 파악하여 닥나무에 리그닌과 홀로셀룰로오즈 성분이 이상적으로 함유되어 있는 시기인 가을에 채취하여 알칼리성을 전통 잿물로 표백하고 닥풀(황촉규)을 접착제로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고 오래가는 중성지를 탄생시켰다. 특히 닥풀은 주성분이 당류로서 종이를 뜰 때 닥나무의 섬유점착을 좋게 해주어 종이의 가도를 증가시키며 얇은 종이를 만드는데 유리하고 순간적인 산화가 빨라 겹친 젖은 종이가 떨어지기 쉽게 한다. 한지를 만드는 송정 또한 펄프종이보다 더 과학적이라는 사실에 우리 조장들의 과학 슬기가 얼마나 우수했는가를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고유의 방법으로 만들지 않는 한지는 비록 펄프종이의 함유 성분이 우리한지를 만드는 성분과 비슷하다고 할지라도 표백용으로 첨가되는 수산화나트륨과 차아염소산으로 인하여 산성을 띠게 되고 표백과정 중에 종이의 섬유조직이 상하게 되어 보존성이 훨씬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세조 과정의 차이로 우리한지는 천년이 지나도 종이가 보존되는 반면 펄프종이는 오랜 기간의 보존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우리 겨레의 과학슬기가 듬뿍 담긴 전통한지의 많은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현대 제지공업과 접목한다면 새로운 용도, 즉 장판지, 도배지, 한지 장식품, 장기간의 보존을 필요로 하는 서적용은 물론이고, 기계적으로도 흡음성과 밀도가 뛰어나 스피커의 음향판이나 밀폐용개스킷 등 첨단 소재개발에 얼마든지 응용이 가능하다. 그런 까닭에 옛 문헌과 옛유물의 철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우리 한지의 우수성을 정량화하여 수출전략에 힘씀으로써 우리 선조들의 과학슬기를 세계 만방에 떨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진정한 과학기술의 세계화라 할 것이다.
1) 한지의 장점
질겨서 잘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6.06.16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3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