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혈액검사
1. 혈소판수
2. 혈액상
3. 백혈구수(WBC)
4.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5. 적혈구수 (RBC)
*소변검사*
1. 요비중
2. 요 유로빌리노젠
3. 요 침전물
4. 요잠혈 반응
5. 요당
6. 요단백
1. 혈소판수
2. 혈액상
3. 백혈구수(WBC)
4.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5. 적혈구수 (RBC)
*소변검사*
1. 요비중
2. 요 유로빌리노젠
3. 요 침전물
4. 요잠혈 반응
5. 요당
6. 요단백
본문내용
혈구가 증가하면 신장염이나 신장 결석, 신장 종양, 심부전, 동맥경화, 요로 결석, 신(네프로제) 증후군 등이 의심되고, 백혈구가 증가하면 요도염이나 방광염, 신장염 등이, 원기둥일 경우에는 신장염이나 심부전, 고혈압 등이 의심되고 상피 세포인 경 우에는 요로계의 염증이, 결정 성분이라면 신장 결석, 급성 간염, 통풍등이의심됩니다.
4. 요잠혈 반응
1) 정상치
-음성(-)
2) 검사의 목적과 방법
-요의 배출 경로에 이상이 있으면 적혈구가 요에 섞여 나오는데 육안으로 볼 수는 없 지만 시험지를 담구어 확인하는데 이를 요잠혈 이라 합니다. 그리고 요 속에 적 혈구가 다량으로 나와 붉게 보이는 요를 혈뇨라 부릅니다.
3) 수치 보는 법
-음성이 정상입니다.
4) 주요 질병
-양성일 때 의심되는 질병
신장 : 급성 신염, 만성 신염, 신결석, 신결핵, 신장암, 신농양 등
요관 : 요관 종양, 요관결석 등
방광 : 방광염, 방광결석, 방광종양 등
요도 : 전립선염, 임질 등
5. 요당
1) 정상치
-음성 (-) (정성 검사)
1일 1g 이하 (정량 검사)
2)검사의 목적과 방법
-요당이란 요에 당이 섞여 있는 것으로 이를 확인하는 것이 요당 검사입니다.
인체에 인슐린의 부족으로 혈당이 높아지면 신장에서 다량의 당이 요로 배출되게 되 는데 이를 정성 검사와 정량 검사를 통해 요중 당의 존재 여부와 양을 측정하게 됨.
3) 수치 보는 법
-정성검사에서 양성이고 1일 1g을 넘으면 이상으로 봅니다.
4) 주요질병
-요당이 양성이면 당뇨병으로 의심이가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당뇨병이 아니면서도 요당이 나오는 경우는 젊은이에게 많은 신장성 당뇨, 부신 질환 인 쿠싱 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당뇨병의 합병증으로는 당뇨병성 망막증, 신경 장애, 동맥경화 진행, 당뇨병성 신장증 등이 있습니다.
6. 요단백
1) 정상치
-음성 (-) (정성 검사)
1일 100㎎이하 (정량 검사)
2) 검사의 목적과 방법
-요에 나온 단백의 양을 측정하여 신장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단백질은 원래 신자의 사구체에서 일단 여과되지만 요세관에서 99%이상 재흡수되어 혈액 속으로 들 어갑니다. 그러므로 신기능이 정상적이면 요중 배설되는 단백의 양은 적습니다.
그러나 요에 단백이 지나치게 많이 나오는 경우는 주로 다음의 세가지 요인에 의한다
①신장 사구체 장애 : 신장 사구체의 필터에 구멍이 커져 단백질이 이를 통해 유출되 는 경우
②요세관의 재흡수 장애
③혈중 단백의 과잉: 이렇게 요단백이 증가하면 혈중 단백이 부족해져 부기가 나타납
니다. 검사에는 요단백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정성반응과 그 양을 측정하는 정량 검사가 있습니다.
3) 수치 보는 법]
-정성검사는 음성(-)이 정사이며 정량검사는 10~20㎎/㎖정도면 음성으로 판정됩니다.
이 정도의 수치는 생리적 요단백이라 부릅니다.
정량검사는 5~10㎎/㎖이하, 1일량이 100㎎이하이면 정상치이고 초과하면 이상으로 봅 니다. 그러나 신장에 이상이 없더라도 과격한 운동이나 정신적인 흥분, 심한 스트레 스, 추위, 고단백 식사, 생리전후, 목욕 후 등에는 요단백이 많아지는 경우도 있다.
4) 주요질병
-양성의 경우 신장계 이상과 신장 외 이상이 있습니다.
신장계 질병으로는 요로 감염증, 방광염, 신장염, 신증후군, 신장 경화증 증이 의심되 면 신장외 질환으로는 다발성 골수종이나 전신성 루프스, 류머티스성 관절염, 수은 중 독, 납중독 등의 비교적 중대한 병과 열성 단백뇨, 기립성 단백뇨, 울혈성신부전 등
의 비교적 양성인 병이 있습니다.그리고 임신 중에 단백뇨가 다량으로 나올 때 임신 중 독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4. 요잠혈 반응
1) 정상치
-음성(-)
2) 검사의 목적과 방법
-요의 배출 경로에 이상이 있으면 적혈구가 요에 섞여 나오는데 육안으로 볼 수는 없 지만 시험지를 담구어 확인하는데 이를 요잠혈 이라 합니다. 그리고 요 속에 적 혈구가 다량으로 나와 붉게 보이는 요를 혈뇨라 부릅니다.
3) 수치 보는 법
-음성이 정상입니다.
4) 주요 질병
-양성일 때 의심되는 질병
신장 : 급성 신염, 만성 신염, 신결석, 신결핵, 신장암, 신농양 등
요관 : 요관 종양, 요관결석 등
방광 : 방광염, 방광결석, 방광종양 등
요도 : 전립선염, 임질 등
5. 요당
1) 정상치
-음성 (-) (정성 검사)
1일 1g 이하 (정량 검사)
2)검사의 목적과 방법
-요당이란 요에 당이 섞여 있는 것으로 이를 확인하는 것이 요당 검사입니다.
인체에 인슐린의 부족으로 혈당이 높아지면 신장에서 다량의 당이 요로 배출되게 되 는데 이를 정성 검사와 정량 검사를 통해 요중 당의 존재 여부와 양을 측정하게 됨.
3) 수치 보는 법
-정성검사에서 양성이고 1일 1g을 넘으면 이상으로 봅니다.
4) 주요질병
-요당이 양성이면 당뇨병으로 의심이가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당뇨병이 아니면서도 요당이 나오는 경우는 젊은이에게 많은 신장성 당뇨, 부신 질환 인 쿠싱 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당뇨병의 합병증으로는 당뇨병성 망막증, 신경 장애, 동맥경화 진행, 당뇨병성 신장증 등이 있습니다.
6. 요단백
1) 정상치
-음성 (-) (정성 검사)
1일 100㎎이하 (정량 검사)
2) 검사의 목적과 방법
-요에 나온 단백의 양을 측정하여 신장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단백질은 원래 신자의 사구체에서 일단 여과되지만 요세관에서 99%이상 재흡수되어 혈액 속으로 들 어갑니다. 그러므로 신기능이 정상적이면 요중 배설되는 단백의 양은 적습니다.
그러나 요에 단백이 지나치게 많이 나오는 경우는 주로 다음의 세가지 요인에 의한다
①신장 사구체 장애 : 신장 사구체의 필터에 구멍이 커져 단백질이 이를 통해 유출되 는 경우
②요세관의 재흡수 장애
③혈중 단백의 과잉: 이렇게 요단백이 증가하면 혈중 단백이 부족해져 부기가 나타납
니다. 검사에는 요단백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정성반응과 그 양을 측정하는 정량 검사가 있습니다.
3) 수치 보는 법]
-정성검사는 음성(-)이 정사이며 정량검사는 10~20㎎/㎖정도면 음성으로 판정됩니다.
이 정도의 수치는 생리적 요단백이라 부릅니다.
정량검사는 5~10㎎/㎖이하, 1일량이 100㎎이하이면 정상치이고 초과하면 이상으로 봅 니다. 그러나 신장에 이상이 없더라도 과격한 운동이나 정신적인 흥분, 심한 스트레 스, 추위, 고단백 식사, 생리전후, 목욕 후 등에는 요단백이 많아지는 경우도 있다.
4) 주요질병
-양성의 경우 신장계 이상과 신장 외 이상이 있습니다.
신장계 질병으로는 요로 감염증, 방광염, 신장염, 신증후군, 신장 경화증 증이 의심되 면 신장외 질환으로는 다발성 골수종이나 전신성 루프스, 류머티스성 관절염, 수은 중 독, 납중독 등의 비교적 중대한 병과 열성 단백뇨, 기립성 단백뇨, 울혈성신부전 등
의 비교적 양성인 병이 있습니다.그리고 임신 중에 단백뇨가 다량으로 나올 때 임신 중 독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추천자료
진단 및 평가 (질적검사, 양적검사, 표준화 검사, 투사검사, 면담)
[검찰][검사][인사제도][군검찰인사제도][검찰수사][검찰보존사무규칙][수사]검찰(검사)의 위...
[징계, 학생징계, 교원징계, 공무원징계, 검사징계, 법관징계, 학생, 교원, 공무원, 검사, 법...
[아동상담] 심리검사의 이해 - 심리검사의 역할과 목적, 아동의 심리평가 4단계, 검사 선택 ...
[★우수레포트★, 친자검사] 친자검사의 개념, 필요성, 사례 및 친자검사에 대한 견해
유아교육평가A형)유아인성검사도구-검사도구 양호도를 바탕으로 인성검사도구의 목표, 문항수...
수술전 기본 검사의 종류와 판독법 - Chest X-ray 와 폐기능검사, 심전도, 혈액검사
[아동검사] 아동대상 검사시 고려사항(아동검사시 고려요소)
[성격평가] 성격검사(객관적 성격검사, 투사적 성격검사)
학생건강평가, 건강평가, 건강평가정의, 건강평가중요성, 건강평가목적, 건강검사, 건강검사...
[당뇨병 검사] 당뇨병의 진단(당뇨병 요당검사, 혈당검사, 경구내당성검사, 당화혈색소 측정,...
심리검사의 정의와 특징, 심리검사의 목적과 유형 및 종류, 심리검사(심리평가)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