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움 설렘에 관한 고전작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리움 설렘에 관한 고전작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설렘 (설레다 - 마음이 들떠서 가라앉지 않고 두근거리다.)

2. 그리움 ( 그리워하는 마음. 사모하는 정 )

3. 동경 ( 마음에 두고 애틋하게 생각하며 그리워함 )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고전문학산책
설렘, 그리움, 동경
[ 들어가면서 ]
흔히 우리들은 푸르른 숲이나 아름다운 공원을 산책할 때면, 혼자만의 생각을 하면서 고민이나 반성도 하고 나무나 꽃, 활기찬 사람들을 바라보며 마음이 차분해지는 경험을 종종하게 됩니다. 문학을 읽고 이해하는 것도 이런 산책과 마찬가지라고 생각 합니다. 문학 속에는 기쁨, 슬픔, 외로움과 같은 인간의 여러 가지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져 우리에게 깊은 감동과 재미, 깨우침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발표과제를 맡고 나서 저는 설렘, 그리움, 동경이라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벅찬 감정들을 우리 고전문학 안에서는 어떻게 표현을 하고 있는지 찾아보고, 그 가운데 그 감정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고 생각하는 작품들을 뽑아서 발표를 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에 소모임 클럽을 만들어 자료를 모두 올리고, 가장 설득력이 있는 작품들을 뽑아 이렇게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작품 속에 녹아들어있는 그 감정들을 잘 살펴보고, 함께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고전문학 속 설렘, 그리움, 동경의 숲속으로 함께 산책해봅시다!
1. 설렘 (설레다 - 마음이 들떠서 가라앉지 않고 두근거리다.)
(1) 악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 정인지 외
<제1장>
海東(해동) 六龍(육룡)이 샤 일마다 天福(천복) 이시니
古聖(고성)이 同符(동부)시니
우리 나라에 여섯 성인이 웅비(雄飛)하시어, (하시는) 일마다 모두 하늘이 내린 복이시니,
(이것은) 중국 고대의 여러 성군(聖君)이 하신 일과 부절을 맞춘 것처럼 일치하십니다.
<제2장>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ㅣ, 곶 됴코 여름 하니
ㅣ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ㅣ, 내히 이러 바래 가니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아니하므로, 꽃이 찬란하게 피고 열매가 많습니다.
원천이 깊은 물은 가뭄에도 끊이지 아니하므로 내를 이루어 바다로 흘러갑니다
▶ 핵심정리
연대 세종 27년(1445)
성격 서사시, 송축가(頌祝歌)
형식 악장
구성 10권 5책 125장
주제 조선 창업의 정당성
국문학상 의의 ①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헌
②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장편 영웅 서사시
③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악장 문학의 대표작
④ 세종 당시 국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
⑤ 역사 연구의 보조 자료가 됨
창작 동기 ① 조선 건국의 정당성 도모
② 후대왕(後代王)에 대한 권계
③ 훈민정음의 시험과 국자(國字)의 권위 부여
표현 불휘 기픈 남\'은 국기(國基)가 튼튼함을, ‘ㅣ미 기픈 므른\'은 유서가 깊음을 비유하였고, \'곶 됴코 여름 하니\'는 문화가 융성함을, \'내히 이러 바래 가니\'는 무궁한 발전을 비유하여 조선 창업이 정당하며 왕조의 운명이 영원할 것임을 밝히고 있다. 한편 이 장은 고유어로만 쓰였고, 중국 고사가 전혀 없으며, 비유가 돋보여 용비어천가 125 장 중에서 가장 문학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이해와 감상
훈민정음으로 쓰여진 작품으로 조선 건국에 대한 송축가이며 일종의 영웅 서사시이다. 그 중 1~2장은 서가로서, 조선 왕조의 창업이 천복이며 필연적이라는 것과 왕조의 번창을 송축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나라가 새로 개국된 것에 대한 송축가이기에 기쁘고도, 앞으로 펼쳐질 조선의 왕조들과 일들에 대한 축복과 설렌 마음이 드러나 있다.
(2) 가사 [ 상춘곡 ] - 정극인
[서사]
홍진(紅塵)에 뭇친 분네 이내 생애(生涯) 엇더고.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6.2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