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본론
1. 한글과 한자의 관계
2. 한자어의 분류와 실상
3. 국한문혼용과 한글전용의 개념
4. 역사적 흐름
5. 국한문혼용 주장
6. 한글전용 주장
3. 토론거리
1. 전통계승 vs. 한글명분론
2. 한글전용의 현실적 적용에 관하여
3. 한자의 우수성에 관하여
4. 한자의 국제성에 관하여
5. 경제성과 정보독점에 관하여
4. 마치며
5. 참고문헌
2. 본론
1. 한글과 한자의 관계
2. 한자어의 분류와 실상
3. 국한문혼용과 한글전용의 개념
4. 역사적 흐름
5. 국한문혼용 주장
6. 한글전용 주장
3. 토론거리
1. 전통계승 vs. 한글명분론
2. 한글전용의 현실적 적용에 관하여
3. 한자의 우수성에 관하여
4. 한자의 국제성에 관하여
5. 경제성과 정보독점에 관하여
4. 마치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단한 의사소통조차 할 수 없음에 반해 이것을 한자로 기술했을 경우 어느 지역의 누구라도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알 수 있게 된다.
⑤ 우리말의 어휘에서 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실로 엄청나다.
다음은 1957년 한글학회에서 펴낸 『큰 사전』에 수록된 어휘 분석표이다. 『자료를 통해본 한자.한자어의 실태와 그 교육』, 이응백, 아세아문화사, 1988, 699~704쪽
구분
큰 사전 말수
순우리말
한자말
외래어
합계
표준말
56,115
81.326
2,987
140,464
사투리
13,006
13,006
고유명사
39
4.165
999
5,203
옛 말
3,013
3,013
이 두
1,449
1,449
마디말
990
990
합계
74,612
85,527
3,986
164,125
백분율
45.46%
52.11%
2.43%
100%
이 뿐만 아니라 학술용어, 전문용어등 고급 개념의 어휘는 거의 전부가 한자로 이루어있다.
ex) 변량들이 흩어져 있는 정도 곧 산포의 정도를 하나의 수치로 나타낸 것을 산포도라 한다.
->변할 변(變), 흩을 산(散), 펼 포(佈), 정도(度)
한글전용론자들은 이러한 한자표현이 어렵다며 풀어쓸 것을 주장하고 있다. “바뀌는 양이 흩어져 있는 정도를 하나의 수치로 나타낸 것을 흩어져 펼쳐있는 정도라고 한다”라고 풀어쓸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의미의 간결명료함을 꾀하기 위해 최대한의 간략화와 축약화를 추구하는 학술용어나 전문용어에서 이런 풀어쓰기식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한글전용 주장
우리가 주장하는 한글전용은 한자를 말살 하자는 것은 아니다. 한자어일지라도, 그것은 한 자로 쓰지 말고 한글로 바꾸어 쓰자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한글 전용\"은 \"학교\"를 \"배움집\"으로, \"비행기\"를 \"날틀\"로 같이 하자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한글 전용을 방해하려는 사람들의 고의적인 모략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들은 \"학교\"를 \"學校\"로, \"비행기\"를 \"飛行機\"로 적지 말고 우리의 발음대로 \"학교\", \"비행기\"로 적자는 것이다. 그러나 한자어를 얼른 들어서는 그 뜻을 알아들을 수 없는 것이 많고, 발음은 같아도 뜻이 다른 말이 상당히 많다. 이런 것은 언어상통의 한 병폐임을 뜻한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친근하고 빨리 알아챌 수 있는 쉬운 말을 가려 쓰도록 노력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한글 전용에 관한 한글학회의 주장』,『국어국문학』,제 4445호, 국어국문학회, 1969.
① 한글 전용은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글만 쓰기는 한자를 가르치고 배우기에 쏟는 정력, 시간, 경제, 생명의 낭비 등 소모를 막고, 기억하는 교육을 생각하는 교육으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인간에게 가장 근본인 교육의 참된 본질적 효과를 거둔다.
② 한자는 근본적으로 어려운 문자이다.
③ 한글은 우수한 우리문학 창작에 크게 유리하다.
④ 한글은 기계화가 용이하다.
한자와 같은 많은 수의 글자는 기계화에 부적당하다. 한글은 글자의 수가 적다. 따라서 한글 타자기, 한글 컴퓨터 등을 개발, 제조함으로써,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생활을 고도로 발달시킬 수 있다.
⑤ 한글은 문자발달사상 가장 발전한 단계의 문자인 소리글자이고,
한자는 뜻글자로서 소리글자보다 전 단계의 미개한 문자이다.
⑥ 한글의 우수성은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⑦ 한글은 민족문화의 발전과 보존에 유리하다.
유럽의 나라들이 낡은 라틴말의 권위를 타파하고, 제 나라 언어를 높이 씀으로써 서양 사회의 근대화가 이루어짐 같이 우리도 죽은 한자, 한문화의 낡은 권리를 벗어버리고, 한글로 학문과 종교, 정치, 예술, 모든 사회 생활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한글에는 겨레의 얼과 힘이 들어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한글은 모든 문화 활동의 근본이 되는 것이다,
⑧ 한글의 사용으로 민족 주체성을 보다 공고히 할 수 있다.
현대는 독립 자존의 시대이다. 우리는 인류 문화를 존중해야 한다. 그러나 그보다 먼저 제 겨레 제 문화를 존중하지 않으면 안된다. 한글은 이 겨레와 국민의 자존심, 독립심을 길러 주는 제 나라의 소산물이다.
⑨ 시대적 상황이 한글 전용을 요구하고 있다. 『한글 전용론과 국한 혼용론의 비교연구』, 김문창, 1985
현대는 민주주의 시대이며, 과학의 시대이다. 한글만 쓰기는 국민 대중의 지식수준을 높이기 위한 민주주의 시대 정신의 절대적 요구이며, 생명창조의 신비에까지 접근하고 있는 과학 시대에 인류 문명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3. 토론거리
구분
국한문 혼용
한글 전용
한자
전통론
▷한글은 우리글이니 써야한다는 명 분론은 논리적 근거 부족
▷한자도 2000년 동안 쓴 우리 글
▷한자전통론은 일제의 잔재
▷국한문혼용은 일본의 가나/한자혼 용을 차용
동음
이의어
▷언어적 직관의 한계
▷국어의 현재 어휘적 상황
▷한글의 모체가 한자라는 것은 착각
▷기본적 언어직관에 의해 이해가능
문자의 우수성
▷한자의 뛰어난 조어력
▷뛰어난 시각성,함축성,축약력
▷탁월한 의미 보존력
▷파생어와 합성어 등의 우수한 한글 의 조어력
▷한글은 표음문자이며 표의문자의 특성을 살린 문자
한자의 국제성
▷한자문화권 국가의 영향력 증대
▷일본어,중국어에의 적응성
▷각 국의 한자는 그 의미나 형식에 서 상이함
▷각 나라 고유의 한자 특성이 존재
경제성과 정보독점
▷고유명사의 한글표기의 혼란
▷보통명사에서의 동음어 문제
▷한자의 표의문자로서의 장점
▷정보독점에 있어서 식자층의 독점 가능성 희박
▷한자 사용은 식자층의 권위의식
▷한자의 기계화란 측면에서 불편
4. 마치며
이상으로 우리는 광복 이후 우리 국어에 있어서 오랜 논쟁거리였던 국한문 혼용과 한글 전용에 관한 나름의 주장과 그 근거들을 이해할 수 있었다. 양쪽 모두의 주장이 나름대로의 타당성과 논리적인 뒷받침을 바탕에 깔고 있어 어느 한 쪽의 옳고 그름을 편가를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민족과 국가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이 문제를 바라보면 그 당위성에 의해 한글 전용을 지지하게 될 것이나, 현실적인 적용 문제에 들어가면 한글만 가지고서는 불편함과 부족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 당위성과 현실적 어려움 중 어느 한쪽을 포기하고 어느 한 쪽을
⑤ 우리말의 어휘에서 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실로 엄청나다.
다음은 1957년 한글학회에서 펴낸 『큰 사전』에 수록된 어휘 분석표이다. 『자료를 통해본 한자.한자어의 실태와 그 교육』, 이응백, 아세아문화사, 1988, 699~704쪽
구분
큰 사전 말수
순우리말
한자말
외래어
합계
표준말
56,115
81.326
2,987
140,464
사투리
13,006
13,006
고유명사
39
4.165
999
5,203
옛 말
3,013
3,013
이 두
1,449
1,449
마디말
990
990
합계
74,612
85,527
3,986
164,125
백분율
45.46%
52.11%
2.43%
100%
이 뿐만 아니라 학술용어, 전문용어등 고급 개념의 어휘는 거의 전부가 한자로 이루어있다.
ex) 변량들이 흩어져 있는 정도 곧 산포의 정도를 하나의 수치로 나타낸 것을 산포도라 한다.
->변할 변(變), 흩을 산(散), 펼 포(佈), 정도(度)
한글전용론자들은 이러한 한자표현이 어렵다며 풀어쓸 것을 주장하고 있다. “바뀌는 양이 흩어져 있는 정도를 하나의 수치로 나타낸 것을 흩어져 펼쳐있는 정도라고 한다”라고 풀어쓸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의미의 간결명료함을 꾀하기 위해 최대한의 간략화와 축약화를 추구하는 학술용어나 전문용어에서 이런 풀어쓰기식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한글전용 주장
우리가 주장하는 한글전용은 한자를 말살 하자는 것은 아니다. 한자어일지라도, 그것은 한 자로 쓰지 말고 한글로 바꾸어 쓰자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한글 전용\"은 \"학교\"를 \"배움집\"으로, \"비행기\"를 \"날틀\"로 같이 하자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한글 전용을 방해하려는 사람들의 고의적인 모략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들은 \"학교\"를 \"學校\"로, \"비행기\"를 \"飛行機\"로 적지 말고 우리의 발음대로 \"학교\", \"비행기\"로 적자는 것이다. 그러나 한자어를 얼른 들어서는 그 뜻을 알아들을 수 없는 것이 많고, 발음은 같아도 뜻이 다른 말이 상당히 많다. 이런 것은 언어상통의 한 병폐임을 뜻한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친근하고 빨리 알아챌 수 있는 쉬운 말을 가려 쓰도록 노력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한글 전용에 관한 한글학회의 주장』,『국어국문학』,제 4445호, 국어국문학회, 1969.
① 한글 전용은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글만 쓰기는 한자를 가르치고 배우기에 쏟는 정력, 시간, 경제, 생명의 낭비 등 소모를 막고, 기억하는 교육을 생각하는 교육으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인간에게 가장 근본인 교육의 참된 본질적 효과를 거둔다.
② 한자는 근본적으로 어려운 문자이다.
③ 한글은 우수한 우리문학 창작에 크게 유리하다.
④ 한글은 기계화가 용이하다.
한자와 같은 많은 수의 글자는 기계화에 부적당하다. 한글은 글자의 수가 적다. 따라서 한글 타자기, 한글 컴퓨터 등을 개발, 제조함으로써,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생활을 고도로 발달시킬 수 있다.
⑤ 한글은 문자발달사상 가장 발전한 단계의 문자인 소리글자이고,
한자는 뜻글자로서 소리글자보다 전 단계의 미개한 문자이다.
⑥ 한글의 우수성은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⑦ 한글은 민족문화의 발전과 보존에 유리하다.
유럽의 나라들이 낡은 라틴말의 권위를 타파하고, 제 나라 언어를 높이 씀으로써 서양 사회의 근대화가 이루어짐 같이 우리도 죽은 한자, 한문화의 낡은 권리를 벗어버리고, 한글로 학문과 종교, 정치, 예술, 모든 사회 생활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한글에는 겨레의 얼과 힘이 들어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한글은 모든 문화 활동의 근본이 되는 것이다,
⑧ 한글의 사용으로 민족 주체성을 보다 공고히 할 수 있다.
현대는 독립 자존의 시대이다. 우리는 인류 문화를 존중해야 한다. 그러나 그보다 먼저 제 겨레 제 문화를 존중하지 않으면 안된다. 한글은 이 겨레와 국민의 자존심, 독립심을 길러 주는 제 나라의 소산물이다.
⑨ 시대적 상황이 한글 전용을 요구하고 있다. 『한글 전용론과 국한 혼용론의 비교연구』, 김문창, 1985
현대는 민주주의 시대이며, 과학의 시대이다. 한글만 쓰기는 국민 대중의 지식수준을 높이기 위한 민주주의 시대 정신의 절대적 요구이며, 생명창조의 신비에까지 접근하고 있는 과학 시대에 인류 문명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3. 토론거리
구분
국한문 혼용
한글 전용
한자
전통론
▷한글은 우리글이니 써야한다는 명 분론은 논리적 근거 부족
▷한자도 2000년 동안 쓴 우리 글
▷한자전통론은 일제의 잔재
▷국한문혼용은 일본의 가나/한자혼 용을 차용
동음
이의어
▷언어적 직관의 한계
▷국어의 현재 어휘적 상황
▷한글의 모체가 한자라는 것은 착각
▷기본적 언어직관에 의해 이해가능
문자의 우수성
▷한자의 뛰어난 조어력
▷뛰어난 시각성,함축성,축약력
▷탁월한 의미 보존력
▷파생어와 합성어 등의 우수한 한글 의 조어력
▷한글은 표음문자이며 표의문자의 특성을 살린 문자
한자의 국제성
▷한자문화권 국가의 영향력 증대
▷일본어,중국어에의 적응성
▷각 국의 한자는 그 의미나 형식에 서 상이함
▷각 나라 고유의 한자 특성이 존재
경제성과 정보독점
▷고유명사의 한글표기의 혼란
▷보통명사에서의 동음어 문제
▷한자의 표의문자로서의 장점
▷정보독점에 있어서 식자층의 독점 가능성 희박
▷한자 사용은 식자층의 권위의식
▷한자의 기계화란 측면에서 불편
4. 마치며
이상으로 우리는 광복 이후 우리 국어에 있어서 오랜 논쟁거리였던 국한문 혼용과 한글 전용에 관한 나름의 주장과 그 근거들을 이해할 수 있었다. 양쪽 모두의 주장이 나름대로의 타당성과 논리적인 뒷받침을 바탕에 깔고 있어 어느 한 쪽의 옳고 그름을 편가를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민족과 국가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이 문제를 바라보면 그 당위성에 의해 한글 전용을 지지하게 될 것이나, 현실적인 적용 문제에 들어가면 한글만 가지고서는 불편함과 부족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 당위성과 현실적 어려움 중 어느 한쪽을 포기하고 어느 한 쪽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