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도와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성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도와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설
2. 변수
3. 사전적 정의
4. 조작적 정의
5. 연구방법
6. 연구의 한계
7. 설문지 및 개별문항 분석
8. 설문 문항 간 연관관계분석(SPSS)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별로 특별하게 관심도와 의견, 그리고 도움도의 의견이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사대상자의 의식을 알아볼 수 있는 문항들이었다. 외모에 대한 의견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그리고 만약 기능성 화장품이 도움이 된다고 인식을 한다면, 그 인식이 직접 구매에도 연결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그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의견도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조사대상자의 80%이상이 관심도도 증가되었다고 보고 외모에 대한 의견도 긍정적이었지만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능성 화장품의 신뢰도는 67%로 다른 수치에 비해 좀 떨어지지만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종합분석>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였다고 생각하는 가에 대한 질문에서 100명 중 매우 그렇다 36, 그렇다 48, 보통16명으로 많은 남성들이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였다고 대답하였다. 이 질문은 우리 조가 간접적으로 묻기 위해 선택한 질문으로 대상자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도를 측정하기 위해 질문이었다. ‘매우 그렇다’라고 더 긍정적으로 생각한 사람일수록 화장품 사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많은 화장품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많은 사람일수록 많은 기능성 화장품을 자주 사용하고 그에 따라 매장에 자주 방문하고 많이 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0%가 넘는 남성들이 2~3개의 화장품을 사용해봤다고 대답했다. 그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 한 것은 핸드크림, 썬 크림, 팩이다. 몇 년 전부터 남성들을 타켓으로 만든 팩의 광고가 인기를 끌었었는데 그에 영향을 받아 각종 팩을 많은 남성들이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이 광고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화장품 구매 영향에서 37%의 남성이 광고를 꼽았기 때문에 쉽게 알 수 있다. 반면 여자 친구가 있는 사람은 절반에 가까운 47%의 사람이었지만 여자친구에게 영향을 받은 사람은 7%밖에 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모든 여성들은 멋진 남자친구를 원하지만 비누 혹은 기초 화장품, 왁스와 같이 남성들이 많은 쓰는 것은 권하는 경우가 많지만 여성스럽다고 생각할 수 있는 기능성화장품은 장려하지 않는 것을 추리해 볼 수 있다.
또, 45%의 남성들이 화장품을 매장에서 구입한다. 이것은 미샤, 더 페이스샵과 같은 저가의 화장품 가게가 많이 생기면서 예전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아직도 25%의 남성들은 인터넷을 통해 구입한다. 간편하기 때문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들도 남자가 매장에서 화장품을 고르고 바르는 모습을 보면 한 번씩 쳐다보기 때문에 아직은 사회적 편견 때문에 높은 수치가 나온 것 같다.
하지만 예상했던 것 보다 직장, 면접 때문에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는 사람은 13%밖에 없었다.
교수님께서도 말씀하셨듯이 아직은 많은 남성들이 부끄럽게 생각하기 때문에 예상했던 결과가 잘 나오지 않은 것 같다. 하지만 관심도나 사용해본 개수 등을 통해 많은 남성들이 기능성화장품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Ⅲ. 결론과 평가
① 상관분석을 통한 분석내용
▷ 사용 화장품 개수가 많을수록 구매주기도 짧았다.
▷ 화장품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일수록 더 자주 구매한다.
▷ 화장품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일수록 더 자주 매장에 방문한다.
▷ 사용하는 화장품이 많은 사람은 비교적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 외모를 중시하는 원인과 사용화장품 개수, 사용주기, 방문주기, 구매주기는 크게 관련되지는 않는다.
▷ 외모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한 사람일수록 자주 매장에 방문하고, 자주 사용한다.
▷ 외모를 가꾸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관심도 높다.
② T검정 방법을 통한 분석내용
▷ 직업에 따라 화장품 개수, 사용주기, 방문주기, 구매주기는 관계가 있지 않다.
▷ 20대 남성은 자기 관리를 위해 기능성 화장품을 쓰고, 이것은 구매와 사용주기와 관계가 있다
[ 평가 ]
조사 및 분석 과정에서 몇 가지 미흡했던 부분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실험설계
l표본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대표하는 값을 찾기가 힘들었다.
l만약 화장품관련 업체를 방문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던가 설문을 대면하며 받지 않고,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식 등 철저히 익명으로 받았다면 좀 더 정확한 자료를 측정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 설문지 작성
l설문지 작성 시 의도하는 바를 명확히 드러내는 표현을 골라 질문과 선택항을 작성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리고 보기 문항에 대한 다양성 확보, 기간의 설정 등이 미흡했다.
▶ 설문조사과정
설문조사는 3일간 인원을 분담하여 각자 일대일대면방식, 메일을 통한 방식, 전화를 통한 방식 등을 사용하였다.
아직까지도 남성의 외모 가꾸기에 대한 편견이 존재한다고 생각해서인지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하면서도 그 사실을 감추려고 거짓 응답을 하는 경우도 있는 점이 어려웠다
< 참고 문헌 >
- 인터넷 자료 조사
필름 2.0 기사 → <호모포비아와 시장 남성 소비시대 2>→ <창궐하는 Mr. 뷰티 공화국 바야흐로 남성 소비시대 >
신문기사
남성 기능성 화장품 각광 [뷰티누리 2006-03-29]
[성년의 날] 남자친구에 주는 성년선물 [조선일보 2004-05-02]
여자들의 선호도 변화 \"남자? 돈보다 잘 생긴 외모!\" [팝뉴스 2006-04-07]
“거울아 거울아 이 세상 남자중 누가 제일 예쁘니” [조선일보 2006-02-28]
“외모가 경쟁력” 남자들이 예뻐진다 [쿠키뉴스 2005-11-16]
아버지는 주름 펴고 아들은 여드름 관리 [파이낸셜뉴스 2005-04-22]
이 남자, 하얀게 장난이 아닌데… [한겨레 2004-03-18]
[웰루킹시대]날좀보소 [뉴스메이커 2004-06-20]
- 네이버 국어사전
- 문헌 자료 조사
<조사방법의 이해와 SPSS의 활용> 대영문화사 한승준 著
LG주간경제 723호 2003.04.16 기능성화장품 전성시대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설
2. 변수
3. 사전적 정의
4. 조작적 정의
5. 연구방법
6. 연구의 한계
7. 설문지 및 개별문항 분석
8. 설문 문항 간 연관관계분석(SPSS)
Ⅲ. 결론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07.12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7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