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디지털 국가전략의 기원과 정보화 정책의 전개
Ⅲ. 정보화에서 유비쿼터스 사회로
Ⅳ.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비전과 특징
Ⅴ. 유비쿼터스 국가전략의 핵심성공요인(CSF)
Ⅵ. 유비쿼터스 전략방향과 정부 역할
Ⅶ. 결론
Ⅱ. 디지털 국가전략의 기원과 정보화 정책의 전개
Ⅲ. 정보화에서 유비쿼터스 사회로
Ⅳ.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비전과 특징
Ⅴ. 유비쿼터스 국가전략의 핵심성공요인(CSF)
Ⅵ. 유비쿼터스 전략방향과 정부 역할
Ⅶ. 결론
본문내용
야 한다. 초고속인터넷 사례를 보면, 컴퓨터 보급, 정보화 교육, 서비스 및 콘텐트 개발 등 제반 여건이 갖춰진 후 속도가 수요를 폭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비해 유비쿼터스의 경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컴퓨터의 서비스를 믿고 받아들이는 이용자의 신뢰가 최종단계에서 시장을 폭발시킬 방아쇠 (trigger)역할을 할 것이다. 만약 신뢰가 없다면 이용자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서비스 내용을 일일이 검증해야 한다. 이것은 마치 저속의 인터넷이 이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했듯이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발전에 최대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신뢰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안전성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 특히 프라이버시 보호는 모든 현상을 정보로 전환하여 유통시키는 유비쿼터스의 속성상 매우 높은 중요성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강조해야 할 점은 개별화된 대증요법으로는 신뢰를 확보할 수 없고, 유비쿼터스 지능사회 전체를 포괄하는 신뢰 아키텍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앞서의 안전성과 프라이버시 보호는 물론이고 표준과 지침 등 사전에 정의된 체계적인 규정과 게임의 룰에서부터 최종적인 검증과 평가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유비쿼터스 사회 전체의 신뢰관리체계를 정립해 가야 한다. 이런 점에서 유비쿼터스 지능사회에서 정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공공재로서 신뢰를 만들고 유지하는 것이 될 것이다.
Ⅶ. 결론
디지털 국가전략은 정보화 전략과 유비쿼터스 전략의 두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보화 전략이 정보의 디지털화를 통해 온라인 가상세계를 구현하는 것이라면, 유비쿼터스 전략은 현실세계 자체의 디지털화를 지향한다. 이미 세계는 정보화의 마지막 단계에 다가가는 동시에, 유비쿼터스의 시작단계를 준비하고 있다. 한국은 그동안 정보화 전략에서 발군의 성과를 보여 줬기 때문에 디지털 혁명의 시대에 승자로 올라설 수 있는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유비쿼터스는 정보화의 연장선상에 있으면서도 그것과는 전혀 다른 성공의 논리를 갖는다. 무엇 보다 신뢰와 혁신이 정보기술에 앞서는 중요성을 갖는 것이다. 이제 한국의 디지털 역량은 기술기반이 아닌 사회기반에 의해 결정될 것인바, 디지털 국가전략의 재구성 작업이 요구된다. 달리말해 디지털 패러다임의 제도화 여부가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강홍렬. 2004. “유비쿼터스” 논의에서 읽는 IT의 기술혁신방향. 정보신정책연구원 (미간행).
손민중. 2004. 최근 노동생산성의 추이와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신일순. 2003. “정보기술 도입이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T 자본의 초과수익 및 무형자산과의 보완성 관점에서.” Telecommunications Review 제13권3호.
이성국. 2003. “미국일본유럽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전략의 비교론적 고찰,” Telecommunications Review, 제13권1호.
이영수정용관. 2001. 정보통신기술의 투자와 산업별 총요소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한국전산원.
전자정부특별위원회. 2003. 전자정부백서.
정보통신부 2002. e-Korea Vision 2006: 글로벌 리더, e-Korea 건설을 위한 제3차 정보화촉진기본계획.
정보통신부. 2005. 한국의 정보화 전략.
정보통신부. 2004a. 국민소득 2만불로 가는 길: IT839 전략.
정보통신부. 2004b. 수치로 본 IT 2004. 보도자료 (2004.12.30).
조지 길더. 2004. 텔레코즘. 청림출판.
하원규, 김동환, 최남희. 2002.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공간. 전자신문사.
하원규, 박상현, 연승준. 2004. 주요국의 유비쿼터스 IT 정책 동향과 한국의 SWOT 분석. 한국전자통신연구소.
한국전산원. 2004a. u-Korea 전략연구.
한국전산원. 2004b. 2004 국가정보화백서.
한국전산원. 2004c. RFID/USN 코드체계 연구보고서. 코드체계연구반 중간보고서 (미간행).
황인성, 최호상. 2005. 지식기반경제와 국민계정. 삼성경제연구소.
Bohn, Jurgen, Vlad Coroama, Marc Langheinrich, Friedemann Mattern, and Michael Rohs. 2004. “Living in a World of Smart Everyday Objects: Social, Economic, and Ethnical Implications,” Huma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Vol. 10.
DTI (Danish Technological Institute). 2004. Reorganisation of Government Back Offices for Better Electronic Public Services: European Good Practices.
Fleisch, Elgar. 2004. “Business Impact of Pervasive Technologies: Opportunities and Risks,” Huma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Vol. 10.
Gartner. 2004. “Predicts 2005: Emerging Trends Drive Business Opportunities.”
Jain, Apurva and Theodore Klastorin. 2004. “RFID: Management's Latest Headache or Miracle Cure?,” E-Business Review, Fall.
Keohane, Rober O. and Joseph Nye Jr. 1998. “Power and Interdependence in the Information Age,” Foreign Affairs, Vol. 77.
North, Douglass C. 1990.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OECD. 2001. Services: Statistics on Value Added and Employment.
신뢰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안전성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 특히 프라이버시 보호는 모든 현상을 정보로 전환하여 유통시키는 유비쿼터스의 속성상 매우 높은 중요성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강조해야 할 점은 개별화된 대증요법으로는 신뢰를 확보할 수 없고, 유비쿼터스 지능사회 전체를 포괄하는 신뢰 아키텍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앞서의 안전성과 프라이버시 보호는 물론이고 표준과 지침 등 사전에 정의된 체계적인 규정과 게임의 룰에서부터 최종적인 검증과 평가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유비쿼터스 사회 전체의 신뢰관리체계를 정립해 가야 한다. 이런 점에서 유비쿼터스 지능사회에서 정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공공재로서 신뢰를 만들고 유지하는 것이 될 것이다.
Ⅶ. 결론
디지털 국가전략은 정보화 전략과 유비쿼터스 전략의 두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보화 전략이 정보의 디지털화를 통해 온라인 가상세계를 구현하는 것이라면, 유비쿼터스 전략은 현실세계 자체의 디지털화를 지향한다. 이미 세계는 정보화의 마지막 단계에 다가가는 동시에, 유비쿼터스의 시작단계를 준비하고 있다. 한국은 그동안 정보화 전략에서 발군의 성과를 보여 줬기 때문에 디지털 혁명의 시대에 승자로 올라설 수 있는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유비쿼터스는 정보화의 연장선상에 있으면서도 그것과는 전혀 다른 성공의 논리를 갖는다. 무엇 보다 신뢰와 혁신이 정보기술에 앞서는 중요성을 갖는 것이다. 이제 한국의 디지털 역량은 기술기반이 아닌 사회기반에 의해 결정될 것인바, 디지털 국가전략의 재구성 작업이 요구된다. 달리말해 디지털 패러다임의 제도화 여부가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강홍렬. 2004. “유비쿼터스” 논의에서 읽는 IT의 기술혁신방향. 정보신정책연구원 (미간행).
손민중. 2004. 최근 노동생산성의 추이와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신일순. 2003. “정보기술 도입이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T 자본의 초과수익 및 무형자산과의 보완성 관점에서.” Telecommunications Review 제13권3호.
이성국. 2003. “미국일본유럽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전략의 비교론적 고찰,” Telecommunications Review, 제13권1호.
이영수정용관. 2001. 정보통신기술의 투자와 산업별 총요소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한국전산원.
전자정부특별위원회. 2003. 전자정부백서.
정보통신부 2002. e-Korea Vision 2006: 글로벌 리더, e-Korea 건설을 위한 제3차 정보화촉진기본계획.
정보통신부. 2005. 한국의 정보화 전략.
정보통신부. 2004a. 국민소득 2만불로 가는 길: IT839 전략.
정보통신부. 2004b. 수치로 본 IT 2004. 보도자료 (2004.12.30).
조지 길더. 2004. 텔레코즘. 청림출판.
하원규, 김동환, 최남희. 2002.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공간. 전자신문사.
하원규, 박상현, 연승준. 2004. 주요국의 유비쿼터스 IT 정책 동향과 한국의 SWOT 분석. 한국전자통신연구소.
한국전산원. 2004a. u-Korea 전략연구.
한국전산원. 2004b. 2004 국가정보화백서.
한국전산원. 2004c. RFID/USN 코드체계 연구보고서. 코드체계연구반 중간보고서 (미간행).
황인성, 최호상. 2005. 지식기반경제와 국민계정. 삼성경제연구소.
Bohn, Jurgen, Vlad Coroama, Marc Langheinrich, Friedemann Mattern, and Michael Rohs. 2004. “Living in a World of Smart Everyday Objects: Social, Economic, and Ethnical Implications,” Huma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Vol. 10.
DTI (Danish Technological Institute). 2004. Reorganisation of Government Back Offices for Better Electronic Public Services: European Good Practices.
Fleisch, Elgar. 2004. “Business Impact of Pervasive Technologies: Opportunities and Risks,” Huma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Vol. 10.
Gartner. 2004. “Predicts 2005: Emerging Trends Drive Business Opportunities.”
Jain, Apurva and Theodore Klastorin. 2004. “RFID: Management's Latest Headache or Miracle Cure?,” E-Business Review, Fall.
Keohane, Rober O. and Joseph Nye Jr. 1998. “Power and Interdependence in the Information Age,” Foreign Affairs, Vol. 77.
North, Douglass C. 1990.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OECD. 2001. Services: Statistics on Value Added and Employment.
추천자료
[주식시장]주식거래량 증감의 정보효과에 기초한 투자성과 분석
[기업 전략][기업][기업 고객관계관리전략][기업 부동산관리전략][노무관리]기업의 고객관계...
[마케팅관리전략][마케팅관리][마케팅][어업경영][은행][창업기업][아파트산업][어업]어업경...
[경영전략][기업전략]경영전략(기업전략, 사업전략)의 유형, 연혁, 경영전략(기업전략, 사업...
[인재육성전략][인재육성][인재]삼성(삼성그룹)의 인재육성전략, SK(에스케이)의 인재육성전...
경영전략(사업전략, 기업전략)의 국제화, 경영전략(사업전략, 기업전략)의 상품력, 가치사슬,...
기업전략(경영전략, 사업전략)의 개념, 표준화, 기업전략(경영전략, 사업전략)의 지침, 기업...
[기업관계][외투기업][외국인투자기업][외국자본기업]대기업과 노사관계, 외투기업(외국인투...
[대기업 경영전략][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대기업 경영전략의 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 I...
[사업전략]사업전략(기업전략, 경영전략)의 활동공유능력, 정보화, 사업전략(기업전략, 경영...
[경영전략][기업경영전략][PP경영전략][국제경영전략][신경영전략][브랜드경영전략]기업경영...
GE 전략적 인력계획-GE의 전략적 인력 계획,GE의 전략적 인력계획 성공 요인,GE 크로톤빌 연...
전략적간호관리 2018 전략계획이 무엇인지 설명의료조직에 전략계획을 도입해야 하는 이유 장...
전략적간호관리 1.전략계획이 무엇인지 설명 전략계획 과정 포함 의료조직에 전략계획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