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막및 흉막강의 진단및 치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흉막및 흉막강의 진단및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주위할점을 알아야 하며
환자에게 발생되는 모든 합병증의 조기증상을 발견해내야 한다.
흉곽배액의 목적
늑막강내로부터 공기나 액체를 제거하는 것
늑막강내에 정상음압을 이룩하는 것
폐의 재핑창을 증진시키는 것
배액기구로부터 늑막강내로 공기나 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는 것
흉곽배액에 영향을 주는 요소
흉곽배액기구의 장소-밀봉 흉곽배액의 기구는 항상 환자의 흉곽보다 낮은 수준에 놓아야 한다.(70-90cm 아래-중력에 의한 배액이 유지되고 늑막강내로 다시 들어가지 않게 된다.)
환자를 옮길때에는 흉곽튜브를 겸자로 꽉 잠그고 병들을 침대위에 올려놓고 없긴다.(기흉이 있을때는 잠글수 없다)
배액 튜브의 개방유지
흉곽튜브의 개방성을 자주 관찰한다.
수술직후는 혈액이 섞인 많은 양의 배액이 있다.
이때는 체액과 공기 및 혈전을 제거하고 튜브가 막히지 않도록 흉곽 튜브를 쾀어 짜주어야 한다.
밀봉 배액 밀폐유지
공기가 새어들어간다면 늑막강내에 들어가 긴장성 기흉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킨다. 배액병에 공기가 새어들어가면 늑막강내에 음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흡인양의 조절
흡인기가 사용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조절되어야 하는데 보통 15cmH₂O을 유지한다.
감염예방
무균적으로 관리 하지 않는한 배액 튜브를 따라 감염은 늑막강내에 생기게 된다. 연결관을 뺏을때는 소독된 거즈로 싸놓아야 하며 손을 깨끗이 씻는다.
튜브는 5-7일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흉곽 튜브를 가진 환자의 활동
가슴보다 아래로 들고 걸어서 다닐수 있다
공기가 계속 새어나오고 있다면 긴장성 기흉이 생길 위험이 있으므로 절대로 튜브를 잠그지 않는다.
심호흡과 기침을 자주 하도록 한다.
(분비물을 깨끗이 하는 외에 폐의 팽창을 증진시키고 늑막강으로부터 공기와 체액의 배출을 잘되게 한다.)
흉곽 튜브의 죄임
튜브를 잠글때는 환자에게 호기를 하게 한후 잠그며 튜브를 잠근후는 될 수 있는데로 곧 풀어주어야 한다.
4. 밀봉 배액기구의 타입
병하나로 된 밀봉 배액기구
기본 조립
밀봉 배액기구중 가장 간단한 기구로써 약 500ml의 소독된 물이나 소독된 생리 식염수를 담은 소독된 병 1개와 2개의 구멍이 뚫린 구멍에 튜브가 끼워져 있는데 한개는 짤은데 공기 구멍으로 쓰이며 한개는 길고 물마개로 쓰인다. 긴 튜브의 다른 한끝은 환자의 배액튜브와 연결하고 나면 긴 튜브의 한끝은 물밑에 있어야 한다.
공기는 물보다 가벼우므로 방울을 이루면서 공기 구멍을 통해 밖으로 나가고 배액병으로 흘러들어온 체액은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중력에 의해 병밑에 깔리게 된다.
한병으로 된 밀봉배액기구는 흡인하기 보다는 중력을 이용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이것은 폐절제술후나 농흉의 치료에 사용된다.
밀봉배액의 기능을 관찰하는법
@물의 파동
튜브가 개방되어 있다는 것
물의 파동은 폐가 완전하게 팽창되거나 튜브가 꼬이거나 막혔을때는 없어 진다. 물의 파동이 없으면 의사에게 알린다.
@배액병내의 물을 관찰한다.
@배액병에서 올라오는 물거품을 본다.
호기시에는 늑막강내 압력이 높아져서 공기를 튜브를 통해 내보내기 때문 에 생긴다
흡기시에도 계속해서 물거품이 생기는 것은 어딘가에 공기가 새 들어가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즉시 교정해야 한다.
@튜브가 삽입되어 있는 흉벽을 살펴본다.
만일 튜브가 느슨해져 있으면 튜브주위에 소독된 바세린 거즈를 꼭꼭 눌 러싸주고 드레싱을 한후 물거품이 계속 나오는지 본다.
배액병에 사고 발생시 관리
만일 병이 깨진다면 대기는 늑막강내로 들어간다. 흉곽튜브를 잠가서 방지해준다.만일 계속적으로 공기가 나오고 있던 환자의 배액병이 깨졌을 때는 다름병이 준비돌때까지 그대로 둔다. 그대로 두어서 개방성 기흉이 생기는 것은 튜브를 잠그므로서 긴장성 기흉이 생기는 것보다 낫다.
만일 환자에게서 공기가 나오고 있지 않던 환자라면 즉시 튜브를 잠가야 한다. 그후 병이 준비되면 튜브의 끝을 소독수로 닦은후 연결시킨다.
튜브를 잠근후의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여 전보다 호흡장애가 있는지 확인해 본다. 환자가 숨을 가쁘고 얕게 쉬며 불안해하고, 청색증이 되면 긴장성 기흉이 발생했을수도 있다. 즉시 잠갔던 튜브를 풀어줘야 한다.
배액병이 사고로 쓰러졌을때는 대기에 노출되어 늑막강내로 공기가 들어가게된다. 빨리 병을 일으켜 세워놓고 기능이 돌아오는지 확인한다
심호흡을 몇 번 하도록 하여 늑막강내로 들어간 공기를 배출시킨다.
배액의 측정과 관찰
배액이 병에 점점 모여짐에 따라 호기시 늑막강내에서 공기와 체액을 내보내기 위해서는 물속에 잠겨있는 배액병 튜브안의 물을 밑으로 내려미는데 더 높은 압력이 요구된다. 배액병 튜브의 깊이는 물에 의해 생기는 압력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배액병의 압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배액이 늘어남에 따라 긴튜브를 조금씩 빼내어 물밑에 잠기는 튜브의 길이는 항상 3-5cm을 유지하게 해준다.
처음 24시간 동안에 500-1000ml가 배액되기도 하느데 보통은 처음 2시간동안에 100-300ml가 고인다.
밀봉배액에 흡인기를 연결할 때
운동과 중력을 이용한 배액이 폐의 재팽창을 충분하게 시키지 못하거나 늑막강의 내용물을 배출시키지 못할 때 흡인기가 필요하다. 배액병이 미쳐 빼낼수 없을 만큼 빠르게 공기의 유출이 있을때도 사용한다. suction을 적용하는법은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흉곽 튜브를 바늘에 연결하여 이 바늘을 진공 배액병에 연결시킨다.
기계적 흡인 펌프를 많이 사용한다. 병하나는 밀병배액병이며 다른 하나는 흡인 조절병이다. 밀봉 배액병의 긴 튜브는 환자의 흉곽 튜브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물속에 잠긴다. 다른 짧은 튜브는 흡인 조절병의 한 구멍에 연결되고 흡인 조절병의 다른 한 구멍은 흡인기에 연결시킨다.
피질 박리술 후에는 수술직후부터 흡인기를 적용하지만 그 외의 수술후는 24시간 이내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너무 일찍 흡인을 사용하면 공기의 유출을 더 조장하기 쉽다고 믿기 때문이다.
5. 기타 흉곽 배액 방법
Heimlich 흉곽 배액 밸브는 소독된 것으로 일회용인데 17cm 의 길이이다. 이것을 흉곽 튜브와 배액병 사이에 설치하면 늑막강으로부터 체액과 공기가 배액병으로는 들어오지만 다시 늑막강 내로 역류하지는 않는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7.20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95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