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치매의 역학
3. 치매의 분류
1) 가역성 치매
2) 비가역성 치매
4. 치매의 증상
1) 기억력의 감퇴
2) 언어 장애
3) 지남력 장애 (disorientation, 시공간 능력의 장애)
4) 주의력 장애 (attentional disturbance)
5) 실행증 (apraxia)
6) 실인증 (agnisia)
7) 행동 및 인격의 변화
8) 판단력 장애
9) 전두엽 수행 능력 장애
10) 일상생활 영위기능 (Activiries of Daily Living function)
신경인지기능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이차적으로 일상생활 영위기능곤란 이 동반된다.
5. 치매의 진행
1) 초기
2) 중기
3) 말기
6. 치매의 유형별 특성
1) 알츠하이머병 ( Alzhheimer's Disease : AD )
2) 픽 병
3) 혈관성 치매
4) 파킨슨 병 ( Parkinson's disease )
5) 헌팅턴 병
2. 치매의 역학
3. 치매의 분류
1) 가역성 치매
2) 비가역성 치매
4. 치매의 증상
1) 기억력의 감퇴
2) 언어 장애
3) 지남력 장애 (disorientation, 시공간 능력의 장애)
4) 주의력 장애 (attentional disturbance)
5) 실행증 (apraxia)
6) 실인증 (agnisia)
7) 행동 및 인격의 변화
8) 판단력 장애
9) 전두엽 수행 능력 장애
10) 일상생활 영위기능 (Activiries of Daily Living function)
신경인지기능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이차적으로 일상생활 영위기능곤란 이 동반된다.
5. 치매의 진행
1) 초기
2) 중기
3) 말기
6. 치매의 유형별 특성
1) 알츠하이머병 ( Alzhheimer's Disease : AD )
2) 픽 병
3) 혈관성 치매
4) 파킨슨 병 ( Parkinson's disease )
5) 헌팅턴 병
본문내용
수행능력 장애는 전두엽 및 전두엽과 연계되어 있는 피질하 통로상에 있는 구조물에 병소가 발생하는 경우의 초기에 나타나며 알쯔하이머병과 같이 측두엽과 두정엽에 병소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8) 일상생활 영위기능 (Activiries of Daily Living function)
신경인지기능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이차적으로 일상생활 영위기능곤란이 동반된다.
5. 치매의 진행
1) 초기
- 기억장애 ; 최근 일이나 대화 내용을 망각, 오래된 일은 비교적 잘 기억함.
- 집중력 저하 및 계산 착오
- 언어장애 ; 경미한 표현력의 저하
- 일상생활이나 사회활동으로부터의 회피 반응
- 성격이나 기분의 변화 ; 우울증, 짜증, 의기소침
2) 중기
- 기억장애의 심화 ; 오래된 기억까지 망각
- 지남력 장애 ; 시간관념이 흐려지고 길을 잃는 경우가 발생
- 언어장애 ; 표현력이해력 저하
- 행동증상 ; 배회, 난폭행동 및 기타 초조행동, 환각, 망상, 야간착란, 수면장애
3) 말기
- 기억장애의 심화 ; 대부분의 기억 망각
- 지남력 장애 심화 ; 가족 및 가까운 친지를 알아보지 못함
- 언어장애 심화 ; 부적절하고 단편적인 발언 증가 또는 표현 상실
- 행동증상 지속
- 신체증상 출현 ; 대소변 실금, 보행장애, 경직 등이 출현하기 시작하여 결국 와상상태에 이름.
6. 치매의 유형별 특성
1) 알츠하이머병 ( Alzhheimer\'s Disease : AD )
피질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원인 질병으로 치매의 60~7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하고 원인적 치료가 불가능한 대표적인 것이다. 인간의 뇌에 존재하는 판단, 기억, 언어기능을 지배하는 부분이 손상된 병을 말한다.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으나 여러 학설이 있는데 뇌세포, 특히 내측 측두엽(Meynert 기저핵)의 퇴행성 병변(->피질의 아세틸콜릭계 활성이 감소), 뇌조직에서의 알루미늄 농도의 증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이 병적으로 축적되어 나타난다는 등이 그 것이다. 현재 알쯔하이머병의 특징적인 뇌병변으로 인식하는 것은 독일인 의사 알로이스 알쯔하이머(Alois Alzheimer)박사가 1906년 알 수 없는 정신병으로 죽은 한 여자의 뇌조직에 나타난 변화(비정상적인 물질들이 모여있는 집합체들(Plaques:노인성반)과 신경세포 안에서 신경원 섬유들이 비정상적으로 꼬여 있는 소견)를 발견한 것으로 뇌 속에 나타난 이 변화가 알쯔하이머병의 특징적인 뇌병변으로 의식되고 있다.
(1) 위험 인자
- 연령 ; 치매 유병률은 60세 이후에 급증하여 매 5년 마다 두배로 증가한다
- 성별 ; 치매의 유병률은 여성에서 더 높고 알츠하이머병 역시 여자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 교육 수준 ; 낮을수록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빈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한다. 여기서 교육 수준은 환자의 생활 환경이나 직업 종류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가족력 ; 치매 환자가 있으면 친척에서도 치매가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65세 이후에 치매가 발병하면 그 이전에 발병한 경우보다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 흡연 ; 비례적으로 늪게 발생한다.
(2) 증상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가벼운 증후로 시작되나 해가 갈수록 급격해진다. 초기에 기억, 사고 및 판단력의 장애와 인격변화, 그리고 감정장애 등과 그 밖에 대뇌 국소 증상 등을 보인다. 2-5년에 걸쳐 만성 진행형으로 경과하는데 초기에는 건망증과 경도치매 및 감정, 의욕장애가 추가된 성격장애를 보이며 점차 심해지면 실인, 실행, 실어증 등 대뇌 국소증상도 새로 나타나며 말이에는 심한 인격붕괴상태에 이르고 침상에
8) 일상생활 영위기능 (Activiries of Daily Living function)
신경인지기능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이차적으로 일상생활 영위기능곤란이 동반된다.
5. 치매의 진행
1) 초기
- 기억장애 ; 최근 일이나 대화 내용을 망각, 오래된 일은 비교적 잘 기억함.
- 집중력 저하 및 계산 착오
- 언어장애 ; 경미한 표현력의 저하
- 일상생활이나 사회활동으로부터의 회피 반응
- 성격이나 기분의 변화 ; 우울증, 짜증, 의기소침
2) 중기
- 기억장애의 심화 ; 오래된 기억까지 망각
- 지남력 장애 ; 시간관념이 흐려지고 길을 잃는 경우가 발생
- 언어장애 ; 표현력이해력 저하
- 행동증상 ; 배회, 난폭행동 및 기타 초조행동, 환각, 망상, 야간착란, 수면장애
3) 말기
- 기억장애의 심화 ; 대부분의 기억 망각
- 지남력 장애 심화 ; 가족 및 가까운 친지를 알아보지 못함
- 언어장애 심화 ; 부적절하고 단편적인 발언 증가 또는 표현 상실
- 행동증상 지속
- 신체증상 출현 ; 대소변 실금, 보행장애, 경직 등이 출현하기 시작하여 결국 와상상태에 이름.
6. 치매의 유형별 특성
1) 알츠하이머병 ( Alzhheimer\'s Disease : AD )
피질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원인 질병으로 치매의 60~7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하고 원인적 치료가 불가능한 대표적인 것이다. 인간의 뇌에 존재하는 판단, 기억, 언어기능을 지배하는 부분이 손상된 병을 말한다.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으나 여러 학설이 있는데 뇌세포, 특히 내측 측두엽(Meynert 기저핵)의 퇴행성 병변(->피질의 아세틸콜릭계 활성이 감소), 뇌조직에서의 알루미늄 농도의 증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이 병적으로 축적되어 나타난다는 등이 그 것이다. 현재 알쯔하이머병의 특징적인 뇌병변으로 인식하는 것은 독일인 의사 알로이스 알쯔하이머(Alois Alzheimer)박사가 1906년 알 수 없는 정신병으로 죽은 한 여자의 뇌조직에 나타난 변화(비정상적인 물질들이 모여있는 집합체들(Plaques:노인성반)과 신경세포 안에서 신경원 섬유들이 비정상적으로 꼬여 있는 소견)를 발견한 것으로 뇌 속에 나타난 이 변화가 알쯔하이머병의 특징적인 뇌병변으로 의식되고 있다.
(1) 위험 인자
- 연령 ; 치매 유병률은 60세 이후에 급증하여 매 5년 마다 두배로 증가한다
- 성별 ; 치매의 유병률은 여성에서 더 높고 알츠하이머병 역시 여자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 교육 수준 ; 낮을수록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빈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한다. 여기서 교육 수준은 환자의 생활 환경이나 직업 종류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가족력 ; 치매 환자가 있으면 친척에서도 치매가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65세 이후에 치매가 발병하면 그 이전에 발병한 경우보다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 흡연 ; 비례적으로 늪게 발생한다.
(2) 증상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가벼운 증후로 시작되나 해가 갈수록 급격해진다. 초기에 기억, 사고 및 판단력의 장애와 인격변화, 그리고 감정장애 등과 그 밖에 대뇌 국소 증상 등을 보인다. 2-5년에 걸쳐 만성 진행형으로 경과하는데 초기에는 건망증과 경도치매 및 감정, 의욕장애가 추가된 성격장애를 보이며 점차 심해지면 실인, 실행, 실어증 등 대뇌 국소증상도 새로 나타나며 말이에는 심한 인격붕괴상태에 이르고 침상에
추천자료
신증후군 출혈열, 렙토스피라증, 쯔쯔가무시병에 관한 모든 것(병원체,역학,증상,예방,진단,...
언어장애에 대하여
[실어증][아동기 실어증][성인 실어증][실어증 진단검사][실어증 치료][실어증 회복]실어증의...
언어장애의 이해
언어학 중심으로 감상한 바보
[장애인복지론] 언어재활 영역에 대해 설명하시오 (언어재활 영역)
대구사이버 대학교 언어 치료학과 학업계획서
[음성장애세미나] 음성치료기법
파킨슨병 About The Parkinson`s Disease
[만성전염병] 만성전염병의 종류와 특징 및 치료예방(결핵, 한센병, 성병, 바이러스성 간염)-...
[신경계 질환] 파킨슨씨병, 알츠하이머, 간질, 다발성 경화증의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법, 신...
[당뇨병] 당뇨병의 대사(당뇨병 대사이상), 당뇨병의 증상과 특징, 당뇨병의 진단(당뇨병검사...
3세~6세(유아기, 학령전기) 아동의 흔한 질병과 치료방법(유아기 질환- 아뇨증, 소아변비, 편...
[정신건강론]조현병을 가진 사람의 재활과 회복을 위한 지역사회 개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