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잡극의 흐름 - 원, 명 비교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잡극의 흐름 - 원, 명 비교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잡극의 탄생과 흥성 및 그 흐름
1. 원 잡극 태동 및 흐름
1)원 잡극의 등장
2)원 잡극의 흥성 원인
3)원 잡극의 발전과 흐름
2. 작품 소개
1)관한경 『두아원』
2)왕실보 『서상기』
3)정광조 『천녀이혼』
3. 원 잡극의 특징

Ⅱ. 잡극의 쇠퇴의 시작과 그 흐름
1. 잡극 쇠퇴의 시작과 잡극의 변화
2. 변화의 배경과 그 내용
3. 쇠퇴기의 작품소개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통적인 생산관계와 생활양식은 짓밟혀갔다.
☞ 사상의 변화: 이렇게 시민계층이 성장하고 자본주의가 싹트기 시작한 반면, 자본주의 생산방식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은 기존 전통 봉건주의에 머물러 윤리 도덕 사이에 많은 모순이 일어났다. 이러한 상황은 상층부의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사회혼란, 빈번한 외환으로 국력이 날로 쇠퇴하면서 정주이학은 점차 사대부를 포용하는 힘을 잃어갔고 왕양명(王陽明)의 心學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일어나게 된 것이다. 심학은 외면에 있는 질곡(자유를 가질 수 없게 속박하는 일)을 내재적인 자각으로 해결하고자 한 것 이어서 내재적인 자각에 대해 강조했다. 그래서 심학의 영향을 받은 진보적인 문예가와 희곡가들은 주체의식과 개성해방을 작품 속에 표현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창작이나 이론에서 모두 ‘본색’이라는 말을 강조했는데 이것은 이 시기 문예이론 가운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것이 의미하고 있는 듯이 상당히 포괄적이라고 하더라도 그 중심 내용은 모두 주체의식과 개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주체의식의 강조는 최종적으로는 공맹사상을 주체로 하는 봉건사상과 대립되는 면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4) 명 말기 -봉건 의식으로의 회귀
☞ 비록 명대의 시민 계층이 등장했고 자본주의가 싹트기 시작했지만 그 기반은 무척 허약했다. 맹아 상태의 자본주의 세력만으로는 명 말의 정치를 움직일 수 없었고, 청나라 군대가 남하하여 명 왕조를 위협하는 등 사회가 혼란해졌다. 사대부들은 이것이 모두 심학자들이 전통을 배반하고 군친을 돌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리하여 “옛 학문을 부흥시키는 것이 훨씬 유용하다.” 는 사조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형식적 변화의 흐름
잡극의 강조와 형식은 처음에는 별 변화가 없었으나 나중에는 남부 양식의 영향을 받아 매우 크게 변화했다.
1) 명 초기
잡극의 4/5 가량이 원대에 행해졌던 규칙들, 즉 각 절마다 하나의 궁조만을 사용한다거나 남자 주연배우(末) 또는 여자 주연배우(旦)중 어느 한쪽만이 노래 부르도록 제한하는 것 등의 규칙들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잡극의 변화는 절의 수를 4절에서 5절로 늘린다거나 남부의 전기로부터 전해진 창법을 사용하는 정도로 국한되었다.
※주요작가: 왕실작가인 주권(朱權), 주유돈(朱有燉)이 대표적이다.
2) 명 중엽
옛 형식을 지키는 잡극의 비율이 상당히 감소했으며, 그 이후로는 계속해서 급격히 줄어들었다. 남부의 곡과 궁조가 점점 더 많이 북부의 것을 대신하게 되었다. 같은 절 안에서 다른 궁조들이 곡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초기 희곡에서 규정한 순서도 무시되었다. 초기 잡극에서 사용한 본래의 북곡은 자체의 질적 저하와 남부 곤곡과의 직적적인 경쟁으로 말미암아 모두 사라질 정도로 드물게 되었다.
※주요작가: 왕구사(王九思)ㆍ강해(康海)[중산랑(中山狼)지음]가 대표적이다.
3) 명 말기
단극(短劇)의 출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마침내 1절짜리 잡극 유행하게 되었는데, 남부 작품의 길이와는 반대로 짧았다. 원대 잡극과의 유사성은 거의 없었고, 있어도 사소한 것에 불과했으며 이제까지의 형식을 탈피하고 어떤 고사 가운데서 가장 정채로운 부분만을 짧은 형식으로 표현하는 문인들의 즉흥적인 단극이 성행하였다. 그 기원은 원대 왕생(王生)의 『위기틈국(圍棋闖局)』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주요작가: 서위(徐渭)가 대표. 작품으로 사성원『四聲猿』이 있음
※단극과 원 잡극의 차이점
①구성: 잡극-매편이 4절로 구성되며 설자를 앞이나 중간에 둠
단극-절의 제한이 없으며 설자는 앞에만 둠
②내용: 잡극-매편이 하나의 이야기
단극-제한이 없음
③창법: 잡극-한 사람이 독창
단극-제한이 없음
④악곡: 잡극-북곡만 사용
단극-대부분 남ㆍ북곡을 혼용
※ 청대
청대에서도 완전히 소멸되지는 않았으나, 그것은 공연될 가망이 없는 극의 일종으로서 완전히 하나의 문학 활동이 되어버렸고, 대부분의 작품들이 여전히 1절이나 2절에 불과한 짧은 형식 이었다. 또한 그 내용은 점점 더 유교화되어서 대부분 여인의 정숙함과 미덕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애정고사는 실질적으로 배제되었다. 결국 유학자들은 초기 번성 시기의 희곡형태를 이어받았으나 계승과정에서 결국 그것을 파괴하고 만 것이다.
3. 쇠퇴기의 작품소개
1) 명 초기
-주권, 주유돈 등의 왕실작가의 활동
-양재의 <곽광귀간藿光鬼諫>: 통치자에게 충성을 표시하며 자기 자신을 천거한 작품
-양재의 <예양탄탄豫讓呑炭>: 벼슬에 대한 뜻을 얻지 못한 사대부의 역행 심리가 신선도화(神仙道化)나 화조풍월(花鳥風月)로 나타난 작품도 나옴.
2) 명 중기
-강해, 왕구사의 <중산랑(中山狼)>
강해와 왕구사는 모두 북부 출신으로서 조정의 당파 싸움으로 인해 파직당하고 괴짜 은둔자가 되었으며, 서로 친구로 지냈다. 파직을 당한 쓰라린 심정을 표현하기 위하여 각자 중산의 늑대를 주제로 한 잡극을 지었는데, 그 내용은 한 인간이 함정에 빠진 늑대를 구해준 뒤 도리어 늑대에게 잡아 먹힐 뻔 하다가 결국 중산 신령의 중재를 통하여 스스로를 구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늑대의 흉폭하고 의리 없는 성격을 나타내고, 함정에 빠진 늑대를 구해준 인간의 겸애(兼愛)를 근본으로 하는 묵가적(墨家的) 도를 비판하였다.
3) 명 말기
-이옥(李玉)의 <청충보(淸忠譜)>,<만민안(萬民安)>,<천충륙(千忠戮)>,<기린각(麒麟閣)>:
명말의 시대적 폐단, 서민의 고통, 청나라 군대의 남침에 대한 통한과 동정, 충효 절의에 대한 농후한 봉건예교 정신이 표출되어 있다.
Ⅲ. 결론
잡극은 문학양식으로서 뛰어났다. 잡극이 지니고 있던 최대의 예술적인 기교는 노래와 시예에 있었다. 비록 잡극의 발생에 미친 지식층의 기여가 크다 할 지라도 잡극은 민가와 대중예술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통속극으로서 시작되어 대중들의 삶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그러나 잡극은 유학자들에게 넘어가면서 결과적으로 쇠퇴했으며, 결국 엉뚱한 상아탑의 심취자들 외에는 어느 누구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책상에서만 읽는 희곡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참고문헌
宋元戱曲史, 學古房 권용호 역 2001
중국고전이야기,소나무 송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8.11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0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