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줄거리로 본 삶의 여로
3. 허삼관 매혈기를 통해 본 중국의 시대적 상황
1) 국공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2) 대약진운동
3) 문화대혁명
4. 그래도 살아간다는 건..
2. 줄거리로 본 삶의 여로
3. 허삼관 매혈기를 통해 본 중국의 시대적 상황
1) 국공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2) 대약진운동
3) 문화대혁명
4. 그래도 살아간다는 건..
본문내용
를 업고 국수집으로 가는 상황이라든가, 일락과 이락이를 위해서 자신의 목숨을 걸고 매혈을 하면서 찾아가는 상황에서는 눈물이 났다. 그의 부성애에 감동한 것이다. 누가 이 소설을 읽고 구태의연하고 철지난 중국사람들의 이야기라 하겠는가. 이 소설속의 허삼관은 바로 우리 자신이자 우리 가족이자 아버지의 모습이다. 그의 휴머니즘에 나는 무한한 감동을 느끼는 것이다. 휴머니즘이란 거창한 것이아니다. 꼭 인간다움을 존중하는 대단히 넓은 범위의 사상적, 정신적 태도의 세계관이 아니어도 좋다. 그가 그의 가족을 위하는 태도, 그가 세상에 순응하는 태도에서 휴머니즘의 공감은 어디서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의 모습을 보면서 세상을 보는 시선 또한 음지가 아닌 양지의 모습을 갖출 수 있었다. 비록 인생이, 살아간다는 그 자체가 우리에게는 힘든 싸움이자 이겨내야만 하는 공공의 적일수 있겠지만, 허삼관을 보라. 그의 인생의 난관은 지금 우리들의 인생의 난관보다 몇배는 많았다. 그러나 그는 의연하게 대처하면서 그 난관을 넘어서지 않았는가? 이렇게 허삼관에게서 ‘나’의 인생을 투영해 보기도 한다. 그리고는 아직도 이렇게 ‘살아간다는 것’에 무한한 희망을 가질수 있는 것이다.
추천자료
[국문과 졸업논문] 여성영웅소설의 면모와 특징 (여성 영웅소설)
고소설(古小說)
고전소설의 유형분류
[인문과학] 전기소설「최치원」전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여성영웅소설
[1930년대][한의학][과학담론][현대시][소설]1930년대의 한의학, 1930년대의 과학담론, 1930...
[한중일, 한중일지방교류, 한중일외교관계, 경제합작, 유통산업, 소설관, 가면극, 미적 개념]...
[고전소설] 장편가문소설 <천수석>
소설, 영화, 만화간의 시점비교분석(매체간이동, 화자와시점, 소설의영화제작, 각색, 대중매...
서유기 [명대 문학 주류, 세정 소설, 신마 소설]
[한국현대소설론] 개화기 문학 - 시대개관(개화기, 한국 근대소설의 기점에 관한 견해, 개화...
영웅소설과 판타지소설의 비교 -<유충렬전>과 <드래곤라자>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소설론] 고전소설 배격론의 실체 - 18세기 문인들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