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동요.
2. 제망매가
3. 찬기파랑가
4. 처용가
2. 제망매가
3. 찬기파랑가
4. 처용가
본문내용
신라등 실존적이 소재가 설화문법에 따라 설화적 실존인물인 서동으로 재구성개편되었다는 해석이다. 이렇게 해석하면 서동요는 대립적인 관계에 있던 당시 백제와 신라의 상황에서 양국의 우호적인 동경하면서 소원담 또는 불교적인 사회통합을 발원한 발원담의 형태를 띈 것이라고 여겨질 수 있다. 또 서동요의 기술물을 큰 갈래로 나누어 읽으면 서동과 선화공주의 이야기와 미륵사 이야기 둘로 나눌 수 있는데 주인공이 신분의 장벽을 극복하고 사랑을 성취하는 것 또한 설화문법중의 하나로 이해 할 수 있으며, 이것은 러브스토리를 창사담으로 전도시킨 것으로 보여 진다. 더불어 서동요는 한국 전통가요에 자주보이는 ‘선험적 시문법’이 나타나 있는데 서동요의 기술물에는 서동요를 불러서 사랑을 성취하게 된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으나, 이미 서동요에는 사랑이 성취된 것으로 표현되는 것이 바로 ‘선험적 시문법’이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서동요의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큰 이유중에 하나는 서동요의 기술물이 가진 역사적 사실과 설화적 사실의 혼돈을 극복하지 못한데에 그 원인있음을 알아야 한다는 것, 그 관점에 따라 서동요를 연구하면 서동요는 선험적 시문법의 노래이며, 한국적 러브스토리 설화 문법의 한 전형이 역사적 소재를 통해서 역사적 실제화로 나타난 노래이며 백제와 신라, 양국의 평화와 우호적 관계를 복원하려는 백제인과 신라인의 의식이 잘 나타난 작품으로 볼 수 있겠다.
2. 제망매가
「제망매가」는 경덕왕 때 승려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10구체 형식의 향가로 <삼국유사> 권5 월명사 도솔가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은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비는 노래로, 정제된 형식과 높은 서정성에 의하여 신라가요 중 뛰어난 노래로 평가받아 왔다. 「제망매가」의 원문과 양주동, 김완진의 해독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제망매가의 현대어역을 홍신선의 글에서 옮기면 다음과 같다. “생사로는/이에 있으매 두렵고/ 나는 간다는 말도/ 못다 이르고 나느닛고/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한 가지에 나고/가는 곳 모르온저/아아 미타찰(彌陀刹)에서 만날 나/도(道)닦아 기다리련다.”
제망매가 (祭亡妹歌)
원문
양주동 해독
김완진 해독
生死路隱
此矣有阿米次 兮伊遣
吾隱去內如辭叱都
毛如云遣去內尼叱古
於內秋察早隱風未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
一等隱枝良出古
去奴隱處毛冬乎丁
阿也 彌陀刹良逢乎吾
道修良待是古如
生死路
예 이샤매 저히고
나 가다 말ㅅ도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서동요의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큰 이유중에 하나는 서동요의 기술물이 가진 역사적 사실과 설화적 사실의 혼돈을 극복하지 못한데에 그 원인있음을 알아야 한다는 것, 그 관점에 따라 서동요를 연구하면 서동요는 선험적 시문법의 노래이며, 한국적 러브스토리 설화 문법의 한 전형이 역사적 소재를 통해서 역사적 실제화로 나타난 노래이며 백제와 신라, 양국의 평화와 우호적 관계를 복원하려는 백제인과 신라인의 의식이 잘 나타난 작품으로 볼 수 있겠다.
2. 제망매가
「제망매가」는 경덕왕 때 승려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10구체 형식의 향가로 <삼국유사> 권5 월명사 도솔가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은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비는 노래로, 정제된 형식과 높은 서정성에 의하여 신라가요 중 뛰어난 노래로 평가받아 왔다. 「제망매가」의 원문과 양주동, 김완진의 해독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제망매가의 현대어역을 홍신선의 글에서 옮기면 다음과 같다. “생사로는/이에 있으매 두렵고/ 나는 간다는 말도/ 못다 이르고 나느닛고/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한 가지에 나고/가는 곳 모르온저/아아 미타찰(彌陀刹)에서 만날 나/도(道)닦아 기다리련다.”
제망매가 (祭亡妹歌)
원문
양주동 해독
김완진 해독
生死路隱
此矣有阿米次 兮伊遣
吾隱去內如辭叱都
毛如云遣去內尼叱古
於內秋察早隱風未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
一等隱枝良出古
去奴隱處毛冬乎丁
阿也 彌陀刹良逢乎吾
道修良待是古如
生死路
예 이샤매 저히고
나 가다 말ㅅ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