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교육내용의 선정
2. 1. 분석 기준
2. 2. 분석 및 비판
1) 타당성의 원리
2) 중요성의 원리
3. 교육내용의 조직
3. 1. 분석 기준
3. 2. 분석 및 비판
1) 계열성
2) 계속성
3) 통합성
4. 결 론 - 분석 결과
2. 교육내용의 선정
2. 1. 분석 기준
2. 2. 분석 및 비판
1) 타당성의 원리
2) 중요성의 원리
3. 교육내용의 조직
3. 1. 분석 기준
3. 2. 분석 및 비판
1) 계열성
2) 계속성
3) 통합성
4. 결 론 - 분석 결과
본문내용
말하기''듣기''읽기''쓰기''문학' 속에 ‘국어지식’의 활동이 함께 스며들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교육내용만으로는 ‘국어지식’영역과 타 영역이 서로 통합성의 원리를 잘 따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매우 힘들다. 단편적으로 ‘쓰기’ 영역에서는 문법에 맞게 글을 쓰는 것을 8학년에서 요구하고 있는 반면, ‘국어지식’ 영역에서는 문법에 대한 학습을 10학년에 조직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거나, 표준어에 관한 교육내용이 ‘말하기’영역과 ‘국어지식’영역에서 학년간 통합성을 잘 지키고 있다는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합성의 원리를 분석하기 힘든 것은 결과적으로, ‘국어지식’영역이 다른 영역과 통합성의 원리에 따라 교육내용을 조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영순, 한국어 문법교육론, 박이정, 1998, pp. 40-59 참고
1학년에서만 보더라도 ‘듣기’.‘말하기’,‘읽기’.‘쓰기’영역에서는 각각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가 인간의 삶에 필요함을 안다’라는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있고, ‘읽기’영역에서는 ‘글을 정확하게 소리내어 읽는다’, ‘쓰기’영역에서는 심지어 ‘재미있는 내용을 선정하여 글을 쓴다’ 라고 하여 학습자가 이미 국어사용 능력을 많은 부분 습득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있으나, ‘국어지식’영역에서는 ‘한글 낱자의 음가를 안다’, ‘우리말이 있음을 알고 우리말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지닌다’등으로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영역간 수준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1학년 뿐 만 아니라 전 학년에 걸쳐 나타나는 문제점이다.
4. 결 론 - 분석 결과
교육내용을 분석하면서 ‘국어지식’ 교육은 여전히 지식 중심의 목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국어지식’영역의 목표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지식성의 영역보다는 논리성과 실용성의 목표를 더욱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더불어 학습자의 국어지식 학습 능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계열성과 계속성의 원리에 맞게 교육내용을 조직하여야 할 것이다. 문법이 어렵고 학생들의 탐구활동에 치중하다 보니 교육내용의 수준 자체가 너무 낮게 설정되어 있는 부분들이 많은데, 요즘 학생들의 언어 발달은 매우 빠르며, 오히려 저학년 때부터 학생들의 탐구심을 길러주고, 사고력을 증진시키려면 문법도 다른 영역 정도로 수준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을 수정한다면, 통합성 원리에 따른 교육내용 조직의 측면도 더욱 효과적으로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현 교육과정은 ‘국어지식’만을 따로 두고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초기 교육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다른 영역과 관련지어 난이도 조절에 많은 부분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국어지식’ 영역의 분석을 통해서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은 끊임없이 학생들의 변화에 맞추어 수정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참고문헌
김대현, 김석우 공저,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2002
김광해, 21세기의 문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00
김광해, 국어 지식 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김광해 외, 국어지식탐구[국어교육을 위한 국어학개론], 박이정, 2002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1998
박영목 외, 국어과 교육론, 갑을출판사, 1988
박영순, 한국어 문법교육론, 박이정, 1998
이춘근, 문법 교육의 목적과 내용 체계 연구,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2001
최재희, 국어 교육문법론, 조선대학교출판부, 2001
하길종 ,언어습득과 발달, 국학자료원, 2001
그러나 현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교육내용만으로는 ‘국어지식’영역과 타 영역이 서로 통합성의 원리를 잘 따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매우 힘들다. 단편적으로 ‘쓰기’ 영역에서는 문법에 맞게 글을 쓰는 것을 8학년에서 요구하고 있는 반면, ‘국어지식’ 영역에서는 문법에 대한 학습을 10학년에 조직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거나, 표준어에 관한 교육내용이 ‘말하기’영역과 ‘국어지식’영역에서 학년간 통합성을 잘 지키고 있다는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합성의 원리를 분석하기 힘든 것은 결과적으로, ‘국어지식’영역이 다른 영역과 통합성의 원리에 따라 교육내용을 조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영순, 한국어 문법교육론, 박이정, 1998, pp. 40-59 참고
1학년에서만 보더라도 ‘듣기’.‘말하기’,‘읽기’.‘쓰기’영역에서는 각각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가 인간의 삶에 필요함을 안다’라는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있고, ‘읽기’영역에서는 ‘글을 정확하게 소리내어 읽는다’, ‘쓰기’영역에서는 심지어 ‘재미있는 내용을 선정하여 글을 쓴다’ 라고 하여 학습자가 이미 국어사용 능력을 많은 부분 습득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있으나, ‘국어지식’영역에서는 ‘한글 낱자의 음가를 안다’, ‘우리말이 있음을 알고 우리말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지닌다’등으로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영역간 수준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1학년 뿐 만 아니라 전 학년에 걸쳐 나타나는 문제점이다.
4. 결 론 - 분석 결과
교육내용을 분석하면서 ‘국어지식’ 교육은 여전히 지식 중심의 목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국어지식’영역의 목표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지식성의 영역보다는 논리성과 실용성의 목표를 더욱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더불어 학습자의 국어지식 학습 능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계열성과 계속성의 원리에 맞게 교육내용을 조직하여야 할 것이다. 문법이 어렵고 학생들의 탐구활동에 치중하다 보니 교육내용의 수준 자체가 너무 낮게 설정되어 있는 부분들이 많은데, 요즘 학생들의 언어 발달은 매우 빠르며, 오히려 저학년 때부터 학생들의 탐구심을 길러주고, 사고력을 증진시키려면 문법도 다른 영역 정도로 수준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을 수정한다면, 통합성 원리에 따른 교육내용 조직의 측면도 더욱 효과적으로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현 교육과정은 ‘국어지식’만을 따로 두고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초기 교육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다른 영역과 관련지어 난이도 조절에 많은 부분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국어지식’ 영역의 분석을 통해서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은 끊임없이 학생들의 변화에 맞추어 수정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참고문헌
김대현, 김석우 공저,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2002
김광해, 21세기의 문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00
김광해, 국어 지식 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김광해 외, 국어지식탐구[국어교육을 위한 국어학개론], 박이정, 2002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1998
박영목 외, 국어과 교육론, 갑을출판사, 1988
박영순, 한국어 문법교육론, 박이정, 1998
이춘근, 문법 교육의 목적과 내용 체계 연구,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2001
최재희, 국어 교육문법론, 조선대학교출판부, 2001
하길종 ,언어습득과 발달, 국학자료원, 2001
추천자료
-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중점, 모형,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 과학과 7차 교육과정
-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하여
-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도서관 역할 변화의 고찰
- 제 7차 교육과정의 특징
- 제 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영역별 특징과 직업교육 및 운영방법
- 사회과 7차 교육과정 분석과 경제 교과서 분석
- 교과중심의 제 7차교육과정의 주요개정
- 고등학교 7차 3종 수학교과서 분석 ( 단원 : 도형의 성질 중 이등변 삼각형을 중심으로)
- 초중등교등학교 1~7차 교육과정 비교 분석
- 초등 7차 실과교육의 특징과 개선점(보완점)
- 개정 7차 유치원 교육과정
- 중학교 7차 국어 교과서 분석 - 읽기영역
- 체육 개정 7차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