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춘향전의 이본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춘향전의 이본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본들의 계통과 특징
1) 남원고사계통 이본*
2) 경판본계통 이본*
3) 완판본계통의 이본*
4) 한문본계통의 이본*
(1) 한시본(漢詩本)
(2) 소설본
(3) 연희본(演戱本)
5) 창본계통의 이본
(1) 신재효 춘향가
(2) 신재효 이후의 춘향전의 판소리 창본

2. 이본들 사이의 선후관계
1) 남원고사본계열의 선후관계
3. 경판본계열의 선후관계
(1) <경판 30장본>과 <경판 29장본>
(2) <경판 30장본>과 <완성판 20장본>
(3) <경판 30장본>과 <경판 17장본>
(4) <경판 17장본>과 <경판 16장본>
3) 완판본계열의 선후관계

3. 최고본(最古本)

본문내용

도령 방자 산천경계), #7(이도령 방자 수작), #10(이도령 춘향과 수작), #20(주인상 사설), #69(허봉사의 해몽), #70(어사와 춘향 옥중 상봉), #71(춘향의 당부), #72(옥에서 귀로), #82(춘향 대령), #83(기생점고) 등이다.
둘째, <남원고사> = <동경대본> ≠ <동양문고본> = <도남문고본>인 경우는 #22(춘향의 탄금), #50(훈향의 유언), #58(노정기와 염문) 등이다.
셋째, <남원고사> = <도남문고본> ≠ <동경대본> =<동양문고본>인 경우는 #49(사또의 이름장), #50(춘향 태형), #53(남원한량들 수작), #63(춘향의 편지) 등이다.
넷째, 이본 사이에 다양한 변모가 일어난 경우는 #21(권주가), #24(바리가), #26(초야사설), #68(허봉사 불러 문복) 등이다.
이렇게 본다면 <동경대본>과 <동양문고본>의 관계가 가장 가깝고, <남원고사>와 <도남문고본>의 관계가 가장 먼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도남문고본>은 다른 이본에 비해 <남원고사>와 더 가깝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동양문고본>과 <고본>과의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최남선이 <고본>을 발행하면서 <동양문고본>의 한 이본을 모본으로 한 것은 행문을 비교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남원고사>, <동경대본>, <도남문고보>에 없는 #33(송림간 이별>의 “풋고쵸 져리 침 문어 젼복 겻드리고 환쇼주에 을 타서 상단이 들니고 셰대삿갓 슥이 쓰고 오리뎡으로 나가 리도령 기도릴 제 연 쵸챵 우름운다”라는 전별거조 대목이 동일한 점에서도 확인된다. 그러나 <동양문고본>을 그대로 전사한 것은 아니다. <고본>은 믿음이 없고 곧음이 어 지킬 것을 지키지 못하고 대항할 것에 대항하지 못하는 서글픈 시대상을 개탄하여 열녀의 거울인 춘향과 情朗의 本인 이도령의 지고한 사랑을 통해 교훈을 얻고자 발행한 것이다. 최남선은 소설독자에게 교훈을 주기 위해 두 가지 방향에서 <동양문고본>의 행문을 손질하였는 데, 하나는 중국적인 요소를 조선적인 것으로 바꾼 것이고, 다른 하나는 춘향의 열녀화에 장애가 되는 비속하거나 외설적인 내용들을 삭제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핀 남원고사계 춘향전의 계통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은 필사연대 및 간행 연대이다* 김석배, 앞의 논문, pp.153~154
김석배, 앞의 논문, p.154
.
2. 경판본계열의 선후관계 김석배, 앞의 논문, pp.163~169
<경판 35장본>과 <경판 30장본>을 모본으로 간행한 <경판 29장본>, <안성판 20장본>, <경판 17장본>, <경판 16장본>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이본의 앞 부분을 비교해 보면 경판본 춘향전의 계통관계를 어느 정도 알 수 있으므로 각 이본의 서두를 비교하리고 한다.
㉠ 경 판 35장본 : 화셜 아국 슉종죠 시절의 젼나도 남원부 니등
㉡ 경 판 30장본 : 화셜 아죠 인됴도 의 젼나도 남원부 니등제
㉢ 안성판 20장본 : 화셜 인됴도 의 젼나도 남원부 니등이
㉣ 경 판 17장본 : 화셜 아죠 인됴됴 의 젼나도 남원부 니등이
㉠ 니도령이 년광이 십뉵셰라 용모는 진유오 풍는
㉡ 니도령의 년광이 십뉵이오 얼골은 관옥이오 풍난
㉢ 아달 우어시니 명은 령이라 년광이 십뉵의 관옥 긔과
㉣ 아달을 두어스니 명은 령이라 년광이 십뉵의 관옥의 긔샹과
㉠ 두목지라 문쟝은 니이로 필법은 왕희지라 방의
㉡ 두목지오 문장은 니이라 방의
㉢ 두목지 풍와 니의 문을 겸여스니 칭 아니리 업더라 방의
㉣ 두목지 충와 니의 문쟝을 겸여스니 칭찬 아니리 업더라 방의
㉠ 아셔 학업을 힘쓰더니 맛 방츈가졀이라
㉡ 잇셔 학업을 힘쓰더니 이 방춘화뉴 호시졀이라
㉢ 잇셔 신셩지여의 문을 힘쓰더니 잇는 방춘화류 호시졀이라
㉣ 잇셔 신성지여에 학문을 쓰더니 니 방춘화류 호시졀이라
경판본 서두의 행문 비교를 통해 <경판 29장본>, <안성판 20장본>, <경판 17장본>, <경판 16장본>은 <경판 30장본>을 모본으로 한 이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는 영향을 주고 받은 두 이본을 비교하여 <경판 30장본>을 모본으로 간행된 이본들의 계통 관계를 분명하게 밝혀보기로 한다.
(1) <경판 30장본>과 <경판 29장본>
<경판 29장본>은 <경판 30장본>을 복각한 이본이다. 행문을 비교해 보면 복각하는 과정에서 <경판 30장본>의 오자(誤字)를 몇 군데 바로 잡았고, <경판 30장본>의 춘향이 의복단장을 하고 추천하러 나오는 장면인 2~3면을 빼버려 장수를 한 장 줄인 것 이외에는 각면 각행의 행문이 일치한다. 행문의 차이는 <경판 30장본>의 마지막 행인 “후람으로 츙절지을 효측게 노라”를 “후람으로 츙절지을 쵸의게 노니 바록 장부라도 님군 셤기 난 반다시 두 마음을 두지 말지니라”라는 남성독자를 향한 방각업자의 짤막한 발언이 덧붙여진 정도이다.
(2) <경판 30장본>과 <완성판 20장본>
<경판 30장본>은 한 면에 14행, 한 행에 24자를 새겨 한 면에 총 330여 자를 새긴 데 비해, <안성판 20장본>은 650여 자를 새기는 방법으로 행문을 거의 축약하지 않고도 장수를 1/3정도 줄였다.
(3) <경판 30장본>과 <경판 17장본>
<경판 17장본>도 <경판 30장본>을 모본으로 간행한 이본이다. <경판 17장본>은 처음부터 #47(春香 捉來 分付)까지의 행문은 <경판 30장본>과 거의 일치한다. 두 이본 사이의 차이는 #19(춘향의 방중사설)의 담배사설이 첨가된 정도이다. 그러나 #47(춘향 헌신)부터 <경판 30장본>의 행문을 대폭 축약하여 장수를 열세 장 줄었다. <경판 17장본>의 모본이 <안성판 20장본>이 아니라 <경판 30방본>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경 판 30장본 : 집장 분부여 우 이파 소의 츈향의 간장이
㉡ 안성판 20장본 : 우 이파 는 소의 춘향의 일총 간
㉢ 경 판 17장본 : 집장 분부여 의 허락도록 치라니
㉠ 봄눈 스듯 할 제 군노 등이 쥬장 곤장 도리 다 바리고 형장을 눈 우희
㉡ 봄눈 스듯 제 집령 형을 눈 위의
㉢ 군노 등이 쥬장 곤장 도리 다 버리고 형을 눈 우의
㉠ 드러 검장소 발맛쵸아 번 후리치니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8.2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