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기업 스타벅스의 해외진출 사례 전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국적 기업 스타벅스의 해외진출 사례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스타벅스 =============== 1
[2] 기업분석 =============== 4
[3] 스타벅스 커피 코리아 ==== 6

Ⅱ. 본 론

[1] 환경분석 ============== 7
[2] SWOT분석 ============ 14
[3] STP ================== 18
[4] 4P's +1P ============= 21
[5] 주 마케팅전략 ========= 23
[6]부가적 마케팅========== 27
[7]성공요인분석 ========== 29
[8]감성리더십 ============ 32
[9]인사관리 ============== 33

Ⅲ. 결 론

스타벅스에 대한 평가 ====== 35

참고문헌 ================ 37

본문내용

블랙과 레드의 선명한 인테리어와 함께 이탈리아식 정통 에스프레소 커피의 고급화를 추구한다.
- 세가프레도는 이탈리아의 커피 전문 브랜드로 페스트리나 케익 뿐만 아니라 샌드위치와 와인, 맥주도 판매한다. 아메리칸 스타일의 커피전문점과 달리 세가프레도만의 독특한 컵을 사용하며, 정통 커피 제조법을 보여주기도 한다.
*카푸치노 익스프레스
- 국내브랜드로 토니로마스와 스파게띠아, 매포갈릭의 (주)썬앳푸드를 모체로 한 테이크 아웃 형 에스프레소 전문점이다.
- 백년 전통의 라바차 에스프레소 원두만을 사용한다. ‘라바차’는 이탈리아의 유명한 커피 제조 회사로 유럽 사람이라면 라바차의 커피 한잔 정도는 마셔봤을 정도로 전통있는 브랜드
- 이탈리아의 선진 로스팅 기술로 최고의 맛을 전하는 것이 카푸치노 익스프레스의 전략
*사카
- 300 여개의 가맹점이 있고 Starbucks가 대학생이나 젊은 직장인 층에 치중해 있는 반면 소비자 연령층의 넓은 경쟁우위요소를 가지고 있다.
*자바
미국 자바사는 롯데리아와의 합작을 통해 커피시장에 진입하였다. 자바사의 경우, 컴퓨터에
의한 정확한 온도, 시간관리를 하는 대류방식의 배전으로 겉과 안을 고르게 배전하여 균일한 맛을 내는 회사 자체의 pure roast system으로 품질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이 밖에 글로리아진스, 카페루카 등 많은 업체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 대부분의 이러한 업체들이 barista와의 관계성, 품질관리, 편안한 이미지 구축 등에서 Starbucks와 비슷한 전략을 취하고 있다. 한국 시장은 매우 매력적이고 성장가능성이 있는 시장이지만,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와 점포수를 확장하는 전략이 시급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2] SWOT 분석
Strength
- Brand power
- 젊고 자유로운 분위기
- 종업원 중심의 기업문화
- 우수한 인사관리
- 최상의 커피 품질
- 다양한 제품과 아이템
- 프랜차이즈가 아닌 직영체재
- 본사의 든든한 지원
Weakness
- 높은 제품가격
- 혼잡한 점포
- 번거러움
- 음식의 메뉴와 질의 불만
- 과도한 미국풍
- 무리한 사업 확장
- 많은 경쟁자
- 일회용품 사용
Opportunity
- Specialty Coffee 시장 확대
- 인스턴트 커피시장 축소
- 소비자의 의식 전환
- 해외 경험자 증가
- Take out 커피 수요 증가
- 국내 원두 커피시장의 수요 증가
Threat
- 반미감정 확산 (Anti-USA)
- 경쟁사 등장(저가의 Take out 매장)
- 불안정한 원두가격
- 낮은 진입장벽
- 세계 커피시장 성장세 둔화
- 커피문화에 대한 차이
1. 강점 (Strength)
-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
- 다양한 상품과 아이템
- 일관된 매장 이미지와 커피의 맛
- 차별화된 유통망
- 소비자의 높은 신뢰와 만족도
- 본사의 든든한 지원
- Take - Out 커피 전문점 시장의 선도기업
- 분위기: 주 고객의 연령이 20-30대로 다른 커피숍보다 낮아서 젊고 자유로운 분위기가 연출된다. 그리고 혼자서 독서나 공부를 하는 경우에도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 종업원 중심의 기업문화-직원 복지는 가장 확실한 미래투자
스타벅스의 회사 문화는 노사분쟁 없는 화목한 일터의 분위기이다. 이를 위해 스타벅스는 전직원을 대상으로 스톡옵션제를 도입하고 파트타임 직원들의 처우를 일반 정규직과 다름이 없이 대우하며(스타벅스는 파트타임 노동자야 말로 고객과의 최접점에 위치한 직원이라 생각하고 높이 평가한다) 각종 employee benefit을 통해 회사에의 귀속감을 높이고 있다.
잘 교육받고, 친절한 바리스타는 고객과의 관계성을 잘 유지하여 단골 고객을 확보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 높은 Brand 이미지(Brand power)
스타벅스는 커피만 파는 곳이 아니다. 문화공간을 파는 곳이다
스타벅스 매장은 인근 회사원들에게 휴식처 구실을 한다.
바로 이런 브랜드 이미지가 바로 고객을 끌어들이는 원천인 것이다. 스타벅스가 지금도 신문이나 TV에 광고를 하지 않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세계적인 커피전문 브랜드라는 인지도가 있기 때문에 경쟁이 심한 한국 커피 시장에서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또한 Starbucks가 추구하는 고급화된 이미지도 다른 커피 전문점과 차별화 될 수 있는 점이고, 또한 미국본사에서 직접 모든 재료와 기술 등을 들여오므로 품질면에서 역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 커피의 Quality
스타벅스는 세계적으로 최고의 아라비카산 원두만을 구입해 최고의 맛과 향을 자랑한다. high quality coffee를 차별화 요소로 내세우며 성공을 거둔 기업이다. 세계 최고 품질의 원두를 구매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게 완벽하게 로스팅 한다. 또한 3번 정수 된 물 이용 등 최고급의 커피를 제공한다. 전세계 어느 나라를 가도 스타벅스 커피의 맛은 균일하다.
- 사원교육 System
스타벅스 교육이란?
스타벅스 교육은 세계 어디서나 스타벅스의 공통된 교육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론 및 실기를 병행한 교육을 트레이닝 센터에서 80시간 수료 후 점포에서 일할 수 있는 자격 조건이 주어집니다. 스타벅스에는 정규 직 사원 외에 P/T ,A/R사원이 있는데 모두 교육 수료 후 각자의 점포에서 일하며 신입 사원인 경우 수습기간은 3개월로 이때는 점포의 점장이 단계별 교육 매뉴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P/T,A/R도 입사 후 1개월동안 교육 메뉴얼을 가지고 점포의 교육 담당자가 교육을 실시하고 테스트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는 성공여부를 상품의 품질은 물론 파트너의 질에 달려 있다고 판단하여 파트너 교육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2) 약점 (Weakness)
- 경쟁사들의 저가 프리미엄 커피 출시
- 가격: 비록 커피숍보다는 가격에서 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테이크 아웃 커피의 가격과 비교해서 스타벅스의 커피의 가격은 고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테이크 아웃으로 이용하는 고객들의 경우 자리 값까지도 지불해야 하는 불합리성이 존재한다.
- 음식의 메뉴와 질: 음료와 같이 판매되는 케

키워드

스타벅스,   starbucks,   해외,   진출,   다국적,   기업,   사례,   전략
  • 가격3,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06.09.06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