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무관심의 접근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치적무관심의 접근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주제선정과 이유, 발표방향

본론
1. 정치적 무관심의 정의
2. 정치적 무관심의 유형
1) 무정치적 무관심
2) 탈 정치적 무관심
3) 반정치적 무관심
3. 정치적무관심의 원인
4. 정치적 무관심의 사례제시
5. 투표율저하가 사회문제가 되는 이유
6. 각 사회이론의 원인과 대책
1) 갈등주의 원인과 대책
2) 구조기능론의 원인과 대책
3)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원인과 대책
7. 갈등론 선택이유 및 다른 이론의 비판
1) 갈등론을 선택한 이유
2) 다른 이론의 비판

결론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말하고자 했던 사회주의 혁명, 그 속에서 먼저 전제되어야 할 의식화 작업은 너무나 소중하고 큰 비중을 차지한다. 과격한 사회주의 혁명이 의식화 된 소수에 의해서 이끌려 일어났다고 해도, 그것이 성공하였다 해도 민중의 의식적 지원과 동참이 없다면 쉽게 무너지고 말 것이다. 우리가 생각했던 의식화는 그동안의 지배구조에 대한 자주적인 작용이라 하겠다.
그 의식화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자 한다.
수백, 수천만개의 컵이 방의 바닥에 놓여있다.
컵 속에는 스펀지가 있고 그 위에는 소금이 있다고 하자. 컵은 다수자들의 소수자들에 대한 착취 도구이며 방은 우리의 사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컵 속의 스펀지는 우리이며 스펀지 위에 소금은 온당 소금물에 젖어있어야 하는, 스펀지 속에 있어야 할 소금이 녹아 배출되어 응고된 것이다. 이는 다수자들이 소수자들의 땀과 눈물을 빼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 소금으로 만든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 컵에 우리는 어떠한 계기로 인한 의식화 작업이 이루어지는 맑은 물을 넣는다고 한다.
의식화 작업은 우리가 선택한 ‘사회문화 현상의 이해’와 같은 수업을 통해서, 아니면 이미 의식화 되어있는 이들로 부터의 의식화 등의 형태로 가능할 것이다.
소수자들에 대해 의식화를 할 수 있는 물이 부어짐에 따라서 스펀지는 천천히 젖고, 결국 그 위에 있던 소금들은 다시 녹아서 스펀지 안으로 흡수되게 된다. 그 컵 안에서 소금이 존재한다는 것은 변화가 없다. 소금의 위치는 결코 스펀지 안에나, 스펀지 위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에게 존재하여야 하는 것이다.
한 개인, 즉 스펀지 하나가 의식화의 물로 젖어들고 계속해서 물을 부어 간다면 결국 그 컵의 물은 차서 넘칠 것이다.
꾸준히 계속해서 물을 붓는다고 생각하자. 넓은 공간에 물을 채운다는 것은 시간적으로 너무나 오래 걸리고 그 차이가 눈에 띄지 않을 정도일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작업이 계속 되다면 결국 의식화의 물은 그 공간에 차서 다른 컵들 또한 그 물에 잠기게 될 것이다.
의식화의 단계는 처음과 소수들에게만 주어지지만 그 이후의 의식화 속도는 나머지 컵들에 있어서 빠른 속도로 진행되게 된다. 결국 모든 컵이 물에 잠기고 방안 가득 물이 찰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사회주의 혁명은 그렇게 일어나는 것이다.
결국 다수자들이 얻고자 했던 소수자들의 땀과 눈물의 결정체인 소금을 그들만이 자신들의 공간 즉 컵 속에서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소수자들의 의식은 그 안에서 벗어나 그것을 감싸게 되고 소금은 사회 전체에 적절히 분배되는 것이다.
그 속에서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예비 교사인 우리들에게, 우리가 먼저 의식화 되고 우리가 학생들에게 끼칠 영향에 대해서 미리 생각하고 변화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다.
멀게만 느껴지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느끼는 사회주의 혁명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다수자들의 억압과 착취 구조를 붕괴시키는 것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한다.
갈등론을 선택하여 정치에 대한 무관심, 그 속에서 투표율 저조를 끄집어내어 문제시하여 함께 고민하고 생각해 보고자하는 바람으로 우리는 발표를 준비했다. 갈등론에 대해서 해박한 지식을 갖추지는 못하였지만 자본주의 속에서 우리를 억누르고 착취의 대상으로만 보려는 다수집단의 횡포는 어느 정도 인식할 수 있었다.
다소 주제와 상반된 발표를 진행할 수도 있지만 그와 떼려 해도 뗄 수 없는 관계이기에 부족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갈등론에 의해 자본주의 폐단과 폐단을 드러낼 수밖에 없도록 조정하는 다수집단의 헤게모니 장악, 그 속에 맹목적으로 그들이 떠 주는 썩은 물을 마시며 콩나물시루 속의 콩나물처럼 살아가는 모습이 우리들의 모습이 아닌가? 고민하게 되었다.
정치참여나 정치에 대한 무관심의 병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선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다수집단의 조종과 그들의 장치, 그들이 내어놓는 복지가 누구를 위한 것인가? 하는 문제점들을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하며, 우리의 현실 속에서도 존재하는 문제들을 한 번 되짚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람이었다.
발표 이후 좀 더 함께 고민하고 토론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었음에 안타까웠다.
단순히 발표를 하고 듣고, 질문과 응답만으로 끝이 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의식이 변화되고, 사회 문제에 대한 적극적 참여와 적절한 가치체계 확립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대학인으로서, 예비 교사로서 부족함이 없는, 사회를 바라보는 넓은 시각과 그 문제의 본질과 근원을 찾을 수 있는 폭넓은 지식, 기존에 우리에게 주어진 다수자들의 교육이라는 틀을 깨고 진실을 바라볼 수 있으며 잘못된 것들을 과감히 지적하고 고치기 위해서 투쟁할 수 있는 나와 우리가 되길 바란다.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끼치지 못했더라도, 조원들의 의견 공유와 서로간의 시각의 차가 좁혀짐으로 함께 한 목소리를 낼 수 있었음에 만족하며 어려운 면도 많았지만 한 학기 동안 교수님과 함께 한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가며 보람되고, 학내 문제에 있어서 우리에게 적극성을 부여하는 힘이 되었다 평가하며 끝을 내고자 한다.
함께 해 주신 교수님과 발표에 있어서 질문을 해 준 학우들, 함께 열띤 토론을 하며 갈등의 골을 좁히려 많은 시간 함께 한 조원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끝-
<참고문헌 및 사이트>
·http://100.naver.com/100.php?id=137068
·http://www2u.x-y.net/cgi-bin/technote/read.cgi?board=lob004&y_number=58&nnew=1
·일반사회교사용지도서,p248
·http://prince.natoo.net/online/is15.htm
·윤성이.2004.“인터넷과 17대 총선,”『17대총선분석:대통령탄핵과 향후정국의 전망』2004 한국정치학회 총선분석 특별학술회의.
·이현우.2004.“정당투표제의 도입과 정치적 효과,”『17대 총선분석:대통령탄핵과 향후정국의 전망』2004 한국정치학회 총선분석 특별학술회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03.제 16대 대통령선거 투표율 분석.
·2004.6.21 캐나다 중앙일보
·2005.02.22 국민일보
·2004.8.12 시민운동 연합신문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9.06
  • 저작시기200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