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예전에 주를 이루었던 음택풍수>
<풍수지리가 이루어져 온 과정>
<현대 풍수지리의 연구 동향>
<풍수지리에 대한 나의 생각>
<풍수지리가 이루어져 온 과정>
<현대 풍수지리의 연구 동향>
<풍수지리에 대한 나의 생각>
본문내용
다. 땅을 차단하는 것은 물길이다. 물길을 만나면 땅은 나누어진다. 산줄기는 물을 넘어 치달려 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땅 속을 흐르는 기운을 모아서 이용하는 것을 중요한 수단으로 하는 풍수에 있어서는 일단 ‘물을 만난다’는 땅의 조건이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닐 수 없다. ‘풍수’의 ‘수’는 바로 이렇게 ‘땅을 나누고 산줄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기운이 멈추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물’을 의미한다. 이것을 풍수에서는 ‘득수’, 즉 ‘물을 얻는다’는 말로 표현한다. 산줄기가 물을 만나 차단됨으로써 흐르는 기운이 더는 흐르지 않고 혈처를 통하여 명당에 모여드는 것으로 풍수의 모든 조건은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모여든 기운이 흩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명당에 모여든 기운은 땅 속에만 가두어져 있는 것이 아니다. ‘혈처’는 땅 속에 있는 것이지만, 명당은 땅 위의 형국 속에 있다. 따라서 ‘좌청룡, 우백호’ 등을 따지는 것이 아니겠는가? 형국은 결국 명당에 모여든 기운이 흩어지지 않게 하는 데에 초점이 있다. 그것을 풍수는 ‘장풍’, 즉 ‘바람을 가둔다’는 말로 표현한다. ‘풍수’라는 말은 ‘장풍득수’, ‘바람을 가두고 물을 얻는다’는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중 ‘장풍’, 즉 ‘바람을 가둔다’는 것보다 ‘득수’, 즉 ‘물을 얻는다’는 것이 더 중요하다. “풍수의 도리는 물을 얻는 것을 제일로 삼는다. 바람을 가둔다는 것은 그 다음이다” 라고 <장서>는 말한다. 일단 기운의 흐름을 멈추게 하여야 가두어 놓는 것이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풍수지리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잠시 알아 볼 필요가 있다.
<풍수지리가 이루어져 온 과정>
‘풍수’의 사상적 구조 속엣 ‘장풍득수’ 즉 ‘바람을 막고 물을 얻는다’는 것은 ‘땅의 기운을 멈추게 하고 흩어지지 않게 한다’는 기운론적 맥락 위에서 처음 그 의미가 갖추어진 것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아마도 그것은 처음에는 ‘바람과 물의 피해를 받지 않을 땅’을 찾는 의식과 연관되어 그 의미가 갖추어진 것이라고 보는 것이 옳을 터이다. 그런 점에서 촌산지순의 다음 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고대 중국에서는 그 생활상 바람과 물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되었다. 한랭한 북풍은 북중국 일대를 공포에 싸이게 했고, 비를 머금고 불어오는 남풍은 남중국의 하천을 범람시켰다. 북풍을 막아 유수를 경계짓는 일은 고대생활에서 중대한 사항이었다. 거처를 안정시키고
그렇다면 풍수지리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잠시 알아 볼 필요가 있다.
<풍수지리가 이루어져 온 과정>
‘풍수’의 사상적 구조 속엣 ‘장풍득수’ 즉 ‘바람을 막고 물을 얻는다’는 것은 ‘땅의 기운을 멈추게 하고 흩어지지 않게 한다’는 기운론적 맥락 위에서 처음 그 의미가 갖추어진 것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아마도 그것은 처음에는 ‘바람과 물의 피해를 받지 않을 땅’을 찾는 의식과 연관되어 그 의미가 갖추어진 것이라고 보는 것이 옳을 터이다. 그런 점에서 촌산지순의 다음 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고대 중국에서는 그 생활상 바람과 물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되었다. 한랭한 북풍은 북중국 일대를 공포에 싸이게 했고, 비를 머금고 불어오는 남풍은 남중국의 하천을 범람시켰다. 북풍을 막아 유수를 경계짓는 일은 고대생활에서 중대한 사항이었다. 거처를 안정시키고
추천자료
프랑스 아날학파에 대해서...
중국의 신화(특징과 분류)
생명 탄생과 진화 (Life Genesis and Evolution)
[사회과학] 음양오행론
유럽사회의 정신 문화
풍수적 관점에서 살기 좋은 땅이란?
(역사이야기)10장 역사인식을 위한 구분법
[불교][불교사상][한국 불교][남북국시대 불교][고려시대 불교]불교 및 불교사상과 한국불교...
신약의 세계
[생태][생물생태][동물생태]멧돼지의 생태, 붉은머리오목눈이의 생태, 사슴의 생태, 명태의 ...
살인의 추억 영화 분석
문화지리학 레포트
정치학 서평 ‘정의로운 정치’와 ‘정치란 무엇인가’를 읽고
지방세력과 종교 [신라하대 종교계 동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