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사 17세기 실학주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실학주의의 의미
2. 실학주의의 발달배경
1) 17세기의 유럽
2) 실학주의의 발달
3. 실학주의 교육
1) 인문적 실학주의
2) 사회적 실학주의
3) 감각적 실학주의
4. 조선시대의 실학

Ⅲ. 결론과 연구문제

본문내용

, 비트리노
몽테뉴, 로크
코메니우스, 베이컨, 멀카스터, 라트케
4. 조선시대 실학의 교육
1) 출현배경 : 양명학의 유입, 훈고학파의 영향, 이이의 기사상,
사회개혁의 필요와 관심 대두, 서양문물의 유입
2) 성격 : 근대지향성과 민족지향성을 갖고, 객관적인 자연과 사회적인 실천윤리와
민족적 주체의식으로 나타남.
3) 학파: (1) 경세치용학파(중농주의적 제도개혁론 : 유형원, 이익),
(2) 이용후생학파(중상론과 새로운 기술도입론 : 박지원),
(3) 실사구시학파(고증학적인 학문연구 주장 : 김정희)
4) 교육사적 의의 :
(1) 교육의 기회균등
(2) 개인차를 인정하고 능력에 의한 교육
(3) 공교육의 필요성과 단계적인 학제
(4) 주체성이 있는 역사의식
(5) 교육과정 개혁
(6) 민족문화 운동
5) 사상가
(1) 유형원
* 교육목적 : 교육의 기회균등을 통한 덕행인과 능력인 양성
* 교육내용 : 향상과 방상은 초등교육기관으로 누구나 교육을 받고,
읍학이나 사학 이상은 관리양성의 목적에 있다.
그리고 신분에 관계없이 전액 국비로 교육 받을 것을 주장.
* 교육제도 : 공거제를 주장하고, 과거제도를 폐지 역설
- 서울 : 방상 → 四學 → 중학↘ 태학 → 관리
- 지방 : 향상 → 읍학 → 영학↗
* 교육사상 : 신분제 타파로 능력에 따른 교육의 기회균등 주장, 서원교육을 비판,
공교육 확립 주장 기술교육강조
* 저서 : 반계수록(사회개혁에 관한 사상과 토지개혁 및 사회부조리의 부당함을
지적하고, 국가제도상의 학제의 중요성을 서술함.)
(2) 이익
* 교육목적 : 능력위주의 민주적 인간상
* 교육방법 : 일신(日新), 득사(得師) 및 호문(好問) (질의 응답의 학습 방법)
* 교육사상 : 예절교육 강조, 과거의 시험과목으로 국사를 첨부 할 것을
강조하여 주체성있는 역사의식 강조
(3) 이덕무
* 사소절(士小節) : 소학을 한국의 아동능력에 맞게 저술한 것으로
사전, 부의, 동규의 세 부분으로 구성, 한국적 행동규을 언급한 국민독본,
사소절의 동규에서 아동의 능력에 따라 학습의 정 도와 진도를 정하여 교수한다.
(4) 정약용
* 교육목적 : 인간상은 修己爲天下人의 상 즉, 실용인이다.
* 교육방법 : 아학편에서 아동의 심리적 발달단계에 맞게 가르쳐야 함을 주장
* 교육사상 : 과거의 개선책 주장, 중화 사대주의사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국사교육을 중시
* 저서 : 아학편(천자문은 아동의 발달과정을 무시한 문자구성을 비판하면서
2천자로 되어있음.)
Ⅲ. 결론과 연구문제
우리에게 오늘날의 교육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사상은 18세기에 들어 등장하는 인물들, 루소나 칸트등에 이르러 현실적인 관계성을 가지게 되고 17세기와 그이전의 시기들은 오늘날 21세기의 우리의 교육과는 아직까지 거리를 느끼게 하는 이질성이 존재한다고 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역사적인 과정없이는 이후의 근대교육은 꽃피기 어려웠고 우리가 100년전에
도입되기 시작한 서구의 교육체제를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접하기도 어려웠을 것이다
시대가 중세라는 불연속점을 거쳐 다시 르네상스로 왔을 때 그리스의 교육사상이 부활한것처럼, 거시적인 안목에서 보면 오늘날의 세계시민으로서의 우리의 교육은 17세기때부터 사상적으로 정립되기 시작했다고 판단되는 것이다 베이컨이나 로크등으로 대표되는 인간의 새로운 이해방식이 생겨나기 시작하지 않았다면 어쩌면 오늘날의 자본주의를 떠받치고 있는 물질문명의 기반이 되는 과학원리가 이처럼 보편화 되지 않았을수도 있다는 말이다
오늘날의 교육은 그러한 전통속에서 지식위주의 교육이 지나치게 이루어지고 있는것도 사실이다 정확하게 같은 시기는 아니지만 우리의 실학사상등도 그런 맥락에서는 우리식의 근대교육의 시발이 될 수 있었으나 이후 우리는 근현대화과정에서 몇가지 좌절을 겪고 오늘날에 이르러 몇차례 시행착오를 겪기도 했다
한가지만 더 첨가하자면 17세기의 실학주의 교육사상은 개념보다는 사물을 중시하고 고전어 또는 문학보다는 자연 과학적인 사물적 자료를 중시하는 교육의 사상이며 교육 운동이었으며 이러한 풍조는 음악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이 시대를 중심으로 하는 실학주의 교육의 시대 전체를 통해서 인간 교육에 있어서의 음악 교육의 의의는 거의 강조되어 있지 않았다.
이것은 당시의 교육 목표가 주로 실리적인 면에만 흐르고 따라서, 교육의 효과가 바로 눈에 띠는 면에만 강조된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음악과 같은 내면적인 미적 심정의 도야를 목적으로 하는 교과가 소외당한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당시의 서구의 음악가로서는 비발디와 바하 헨델 등이었으며 우리의 경우에는 궁중음악인 아악의 하향추세에 정가(正歌)라고 하는 성악곡 가곡(歌曲) . 가사(歌詞) . 시조(時調)와, 풍류라고 하는 기악곡 영산회상의 유행 !
-가곡과 영산회상은 세월이 감에 따라 많은 변주곡을 낳아 점점 그 분량을 늘여서 커다란
모음곡이 되었다.
<연구문제>
1. 17세기 실학주의 교육사상과 우리의 실학사상은 직접적인 관련이 있나?
2. 17세기의 교육의 혜택은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계급까지 가능했을까?
3. 세가지 실학주의의 상호간의 관계는 어떠했고 구분이 어떤 의미를 가지나?
※참고
*유아용 교과서인 가감계도표시(Orbis sensualium Pictus)- 범지학의 완성
코메니우스의 의 중심 사상은 세계를 하나의 조화로운 전체로 보고, 그에 대한 통합적 지식을 역설한 이른바 범지학(범지학) 사상과, 지식의 습득은 구체적인 감각 세계에 대한 지각과 경험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교육 방법론으로 요약된다.
1659년에 처음 출간된 이 책은 출간과 동시에 일대 센세이션을 일으켰다고 한다. 목판화가 가득한 재미 있는 교과서인 셈인데, 당시의 서민층 아이들은 물론이고 라틴어 문법과 산수 계산을 익히느라 골치 아파하던 상류층 어린이들에게도 큰 환영을 받았던 것. 그가 그림책 형식의 교과서를 개발하게 된 까닭은, 추상적 사고보다는 감각적이고 구체적인 지식의 우월함에 대한 확신, 그리고 세계의 모든 사물, 모든 사항에 대한 통합적인 지식 체계를 어린이들에게 보여주어 가르쳐야 한다는 교육적 배려 때문이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9.16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