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동산 경영분석, 아로마산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허브동산 경영분석, 아로마산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제 주 도 의 산 업

2허 브 농 장 을 선 택 한 이 유

3허 브 동 산 의 연 혁

4아 로 마 산 업 S W O T 분 석

5허 브 동 산 S T P 분 석

6M A R K E T I N G M I X

7객 관 적 인 분 류

8경 영 전 망

9부 록

본문내용

등을 합하면 1조원 규모로 제주지역 총생산액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막대하다. 관광산업과 더불어 제주도의 소득창출의 기반을 이루고 있었던 감귤산업은 90년대에 들어 농산물 수입이 개방되면서 재배면적의 확대에 따른 상대적 과잉생산, 오렌지 및 농축액의 수입에 따른 수요의 격감, 기술개발을 통한 품질향상의 미흡, 선진적인 유통경로의 미구축으로 인해 큰 어려움에 처해 있다. 중국의 WTO가입과 더불어 향후 중국감귤의 수입은 감귤농가에 타격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도는 그동안 1997년에 감귤생산조정과 유통에 관한 조례, 2000년 12월에 감귤산업의 발전계획 등을 수립하고, 2005년 9월에는 중앙정부차원에서 감귤수급안정대책을 발표하는 등 감귤산업의 회생과 한라봉, 녹차, 호접란 등의 대용작물의 재배를 대안으로 활로를 찾고 있지만, 이들은 근본적인 농가소득의 증대대책으로는 미흡하다.
1차 산업 비중은 전국 평균 8.8%에서 8.1%로 감소하였으나, 제주도는 25.6%에서 24.4%로 감소하였다. 가까운 시일내 제주도의 1차 산업 비중의 현저한 감소가 예상되며, 산업구조 조정에 따른 노동력의 재교육이나 자원의 재배치가 필요하다.
표 1. 제주지역 경제활동 산업별 구분
(단위 : 천명. %)
구 분
취업자수
1차산업
2차산업
3차산업
2003년도
제 주
인 원
281
72
12
197
비 율
100
25.6
4.3
70.1
전 국
인 원
22,139
1,950
4,222
15,967
비 율
100
8.8
19.1
72.1
2004년도
제 주
인 원
278
68
12
198
비 율
100
2435
4.3
71.2
전 국
인 원
22,557
1,825
4,306
16,427
비 율
100
8.1
19.1
72.8
<출처 : 통계청 제주사무소. 2005 경제활동 인구연보. >
2. 제주 허브동산을 선택한 이유
남제주군 표선면에 있는 허브동산은 허브를 재배하여 파는 1차 산업, 허브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가공하여 판매하는 2차 산업, 허브동산 방문자에게 입장료를 받고 체험관광을 제공하는 3차 산업의 형태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다. 이런 경영사례는 감귤에만 의존하던 1차 산업의 대안으로 생각되어 그 경영성과와 전망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로 하였다.
3. 제주 허브동산의 연혁
○ 1999년 제주도 남제주군 표선면에 부지 선정
(사장님 : 조 재 권)
○ 2000년 부지 개발 및 완공
○ 2001년 펜션과 허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0.03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57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