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과 국가를 넘어 동북공정을 바라보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족과 국가를 넘어 동북공정을 바라보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민족과 국가, 그리고 역사의 서술

Ⅲ. ‘국사’와 ‘역사주권’을 넘어서

Ⅳ. 나오며

본문내용

’ 논쟁만 되풀이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그보다는 민족과 국가라는 견고한 패러다임을 넘어 동아시아라는 큰 틀에서 역사를 조망하는 것이 동아시아의 화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역사의 관점을 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 참고문헌
ㆍ김한규, 「‘단일민족’의 역사와 ‘다민족’의 역사」, 『기억과 역사의 투쟁-2002년 당대비평 특별호』, 삼인, 2002.
ㆍ이남주, 「중국 동북공정의 논리와 대응방향」, 『황해문화』45, 새얼문화재단, 2004.
ㆍ윤휘탁, 「현대중국의 변강ㆍ민족인식과 ‘동북공정’」, 『역사비평』65, 역사비평사, 2003.
ㆍ이희옥, 「동북공정 추진현황과 추진기관 실태」, 『중국의 ‘동북공정’, 그 실체와 허구성』, 고구려연구재단 제 1차 국내학술회의 자료집, 2004.
ㆍ안병우,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과 동북공정」, 『국제정치연구』7,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04.
ㆍ윤휘탁, 「중국학계의 영토ㆍ민족ㆍ국가 인식-統一的 多民族國家論과 그 한계-」, 『중국의 ‘동북공정’논리와 그 한계』, 만주학회ㆍ국사편찬위원회, 2004.
ㆍ주경철, 「역사를 보는 눈」, 『세상을 보는 눈 Ⅰ』, 이슈투데이, 2001.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10.05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1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