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이론 정리 - 코온(Dorrit Cohn)의 의식을 그리는 서술방식
Ⅱ. 작품 『물결 The Waves 』
1. 작가소개
2. 책소개
3. 등장인물
4. 전체 줄거리
5. 분석- 코온(Dorrit Cohn)의 의식을 그리는 서술방식접목
Ⅲ.느낀점
※참고자료
(버지니아 울프의 여성적 글쓰기: 파도와 막간의 두겹 언어일부발췌)
Ⅱ. 작품 『물결 The Waves 』
1. 작가소개
2. 책소개
3. 등장인물
4. 전체 줄거리
5. 분석- 코온(Dorrit Cohn)의 의식을 그리는 서술방식접목
Ⅲ.느낀점
※참고자료
(버지니아 울프의 여성적 글쓰기: 파도와 막간의 두겹 언어일부발췌)
본문내용
-현 대 소 설 론-
『 투명한 마음 』
_코온(Dorrit Cohn)의 의식을 그리는 서술방식
목 차
Ⅰ. 이론 정리 - 코온(Dorrit Cohn)의 의식을 그리는 서술방식
Ⅱ. 작품 『물결 The Waves 』
1. 작가소개
2. 책소개
3. 등장인물
4. 전체 줄거리
5. 분석- 코온(Dorrit Cohn)의 의식을 그리는 서술방식접목
Ⅲ.느낀점
※참고자료
(버지니아 울프의 여성적 글쓰기: 파도와 막간의 두 겹 언어일부발췌)
Ⅰ.이론 정리
코온의 「투명한 마음」은 서술자가 등장인물의 심리를 어떻게 서술하는지를 집중적으로 연구한 책이다. 서술자가 권위적인 위치에서 등장인물의 마음을 설명할 수도 있고 등장인물에게 권위를 넘겨주어 그들이 스스로의 마음을 드러낼 수도 있다. 서구에서 소설의 발달과정은 이 권위적 서술상황에서 등장인물의 서술상황으로 옮아가는 과정이다.
1.3인칭소설에서 마음 드러내기
1)심리서술(Psycho-Narration)
인간의 가슴에는 창문이 없으므로 소설가는 심리를 그리기 위해 여러 가지 입장을 취한다.
①전지적 서술자: 모든 인물의 마음속을 들락거린다
②제한적 시점자: 한 인물의 입장만을 취한다.
③관찰자적 시점자: 카메라의 렌즈처럼 전혀 심리 속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그러나 어떤 입장을 취하든 소설가는 인간의 심리를 독자에게 유추시키려는 야망을 갖고 있다. 가슴을 들여다볼 수 없으므로 소설가는 여러 가지 우회적인 방식을 취하고 소설의 역사란 바로 이 방식의 변모를 일컫는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떤 방식이든 그것은 기존에 대한 반발에서 나오는 또 하나의 방식이다. 소설은 반역의 역사요 어떤 기법도 리얼리즘이라는 큰 전통의 일부이며 이 역사적 연속성이 코온 이론의 기본이다.
※소설의 역사에서 초기의 작가들은 개인의 감흥이나 심리를 잘 다루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18세기의 필딩이나 19세기의 색커리의 작품을 보면 개인의 감흥은 사회상황이나 한 시대의 전형인물로 흡수되어 개별성이 아닌 일반성으로 귀속 된다. 그 후 점점 사회가 복잡해져서 서술자가 일반론을 펼치기 어려워지고 대신 개인의 감흥이 중시되자 스탕달이나 도스토예프스키의 경우처럼 인물의 심리가 중시되기 시작한다.
2)인용된 독백(Quoted Monologue)
등장인물이 자신의 내적 심리를 직접 표출하는 게 인용된 독백이다. 인용독백은 1인칭이요 현재형을 취하여‘누가 말했다’는 표지 없이 그냥 알알이 쓰인다.
※코온은 의식의 흐름 기법을 재조명하는 데 다분히 프로이트에 대한 후기 구조주의적 재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라캉 이전의 프로이트가 이드에 대한 에고의 조정을 인정했던 데 비해 라캉 이후는 이 산뜻한 조정을 거부하기 때문이다. 무의식은 이미 의식의 영역에 침투되어 역동적으로 작용한다. 그러기에 코온은 의식이 곧 내적 언어라고 생각한 ‘의식의 흐름’이란 용어대신 의식과 무의식의 갈들을 인정하는‘인용된 독백’이란 용어를 택한 것이다.
3)서술된 독백(Narrated Monologue)
서술독백은 비록 3인칭 과거라는 상황은 유지하지만 언어와 사상이 완전히 등장인물의 것이어서 그의 정신영역에 속한다. 등장인물의 사상과 3인칭 서술이 한 고리에 엮인 이 기법은 조이스의 예가 보여주듯 서술자의 심리서술과 같이 쓰이면 두 기법 사이의 이음새를 거의 느끼지 못하게 연결된다.
미닫이가 갑자기 열렸다. 고해자가 나왔다. 다음은 그의 차례였다. 그는 무서움 속에 일어서서 정신없이 고해소로 들어갔다.
[마침내 일은 다가오고 말았구나.] 그는 어둠 속에 묵묵히 무릎을 꿇고 머리 위에 걸려 있는 하얀 십자가를 올려다보았다. [하느님은 그가 뉘우치고 있음을 아실테지. 그는 자신이 저지른 죄를 모두 다 말하리라. 그의 고백은 오래오래 계속되겠지. 그러면 성장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그가 어떤 죄인이었는지를 알게 되겠지. 알게 내버려둬. 그건 사실이니까. 그러나 그가 진정 죄를 뉘우치면 하느님은 그를 용서해주신다고 약속하였다. 그는 뉘우치고 있었다.] 그는 두 손을 마주잡아 하얀 십자가를 향해 들어올리고 눈을 감은 채 기도를 드렸다.
마치 길 잃은 짐승처럼 머리를 좌우로 흔들며, 온몸을 부들부들 떨면서 기도를 드렸다. 흐느끼는 입술로 기도를 드렸다.(젊은 예술가의 초상)
위 인용문에서 [ ]에 묶은 부분이 서술자와 등장인물이 한 몸이 되어 등장인물의 시점으로 서술자가 용해된 부분이다.
◆3인칭소설에서 마음 드러내기 핵심정리◆
①심리서술(Psycho-Narration)
ex)‘그는 자신이 늦지는 않았는지 걱정되었다’
-서술자가 간접적으로 등장인물의 심리를 묘사하는 경우
-서술자가 등장인물의 마음을 깊이 있게 묘사한다.
-가장 전통적인 묘사
②인용된 독백(Quoted Monologue)
ex)‘나는 지금 늦은 것인가?’
-등장인물 스스로가 속마음을 밝히면 인용된 독백
-등장인물이 스스로 마음을 드러내기에 그런
『 투명한 마음 』
_코온(Dorrit Cohn)의 의식을 그리는 서술방식
목 차
Ⅰ. 이론 정리 - 코온(Dorrit Cohn)의 의식을 그리는 서술방식
Ⅱ. 작품 『물결 The Waves 』
1. 작가소개
2. 책소개
3. 등장인물
4. 전체 줄거리
5. 분석- 코온(Dorrit Cohn)의 의식을 그리는 서술방식접목
Ⅲ.느낀점
※참고자료
(버지니아 울프의 여성적 글쓰기: 파도와 막간의 두 겹 언어일부발췌)
Ⅰ.이론 정리
코온의 「투명한 마음」은 서술자가 등장인물의 심리를 어떻게 서술하는지를 집중적으로 연구한 책이다. 서술자가 권위적인 위치에서 등장인물의 마음을 설명할 수도 있고 등장인물에게 권위를 넘겨주어 그들이 스스로의 마음을 드러낼 수도 있다. 서구에서 소설의 발달과정은 이 권위적 서술상황에서 등장인물의 서술상황으로 옮아가는 과정이다.
1.3인칭소설에서 마음 드러내기
1)심리서술(Psycho-Narration)
인간의 가슴에는 창문이 없으므로 소설가는 심리를 그리기 위해 여러 가지 입장을 취한다.
①전지적 서술자: 모든 인물의 마음속을 들락거린다
②제한적 시점자: 한 인물의 입장만을 취한다.
③관찰자적 시점자: 카메라의 렌즈처럼 전혀 심리 속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그러나 어떤 입장을 취하든 소설가는 인간의 심리를 독자에게 유추시키려는 야망을 갖고 있다. 가슴을 들여다볼 수 없으므로 소설가는 여러 가지 우회적인 방식을 취하고 소설의 역사란 바로 이 방식의 변모를 일컫는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떤 방식이든 그것은 기존에 대한 반발에서 나오는 또 하나의 방식이다. 소설은 반역의 역사요 어떤 기법도 리얼리즘이라는 큰 전통의 일부이며 이 역사적 연속성이 코온 이론의 기본이다.
※소설의 역사에서 초기의 작가들은 개인의 감흥이나 심리를 잘 다루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18세기의 필딩이나 19세기의 색커리의 작품을 보면 개인의 감흥은 사회상황이나 한 시대의 전형인물로 흡수되어 개별성이 아닌 일반성으로 귀속 된다. 그 후 점점 사회가 복잡해져서 서술자가 일반론을 펼치기 어려워지고 대신 개인의 감흥이 중시되자 스탕달이나 도스토예프스키의 경우처럼 인물의 심리가 중시되기 시작한다.
2)인용된 독백(Quoted Monologue)
등장인물이 자신의 내적 심리를 직접 표출하는 게 인용된 독백이다. 인용독백은 1인칭이요 현재형을 취하여‘누가 말했다’는 표지 없이 그냥 알알이 쓰인다.
※코온은 의식의 흐름 기법을 재조명하는 데 다분히 프로이트에 대한 후기 구조주의적 재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라캉 이전의 프로이트가 이드에 대한 에고의 조정을 인정했던 데 비해 라캉 이후는 이 산뜻한 조정을 거부하기 때문이다. 무의식은 이미 의식의 영역에 침투되어 역동적으로 작용한다. 그러기에 코온은 의식이 곧 내적 언어라고 생각한 ‘의식의 흐름’이란 용어대신 의식과 무의식의 갈들을 인정하는‘인용된 독백’이란 용어를 택한 것이다.
3)서술된 독백(Narrated Monologue)
서술독백은 비록 3인칭 과거라는 상황은 유지하지만 언어와 사상이 완전히 등장인물의 것이어서 그의 정신영역에 속한다. 등장인물의 사상과 3인칭 서술이 한 고리에 엮인 이 기법은 조이스의 예가 보여주듯 서술자의 심리서술과 같이 쓰이면 두 기법 사이의 이음새를 거의 느끼지 못하게 연결된다.
미닫이가 갑자기 열렸다. 고해자가 나왔다. 다음은 그의 차례였다. 그는 무서움 속에 일어서서 정신없이 고해소로 들어갔다.
[마침내 일은 다가오고 말았구나.] 그는 어둠 속에 묵묵히 무릎을 꿇고 머리 위에 걸려 있는 하얀 십자가를 올려다보았다. [하느님은 그가 뉘우치고 있음을 아실테지. 그는 자신이 저지른 죄를 모두 다 말하리라. 그의 고백은 오래오래 계속되겠지. 그러면 성장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그가 어떤 죄인이었는지를 알게 되겠지. 알게 내버려둬. 그건 사실이니까. 그러나 그가 진정 죄를 뉘우치면 하느님은 그를 용서해주신다고 약속하였다. 그는 뉘우치고 있었다.] 그는 두 손을 마주잡아 하얀 십자가를 향해 들어올리고 눈을 감은 채 기도를 드렸다.
마치 길 잃은 짐승처럼 머리를 좌우로 흔들며, 온몸을 부들부들 떨면서 기도를 드렸다. 흐느끼는 입술로 기도를 드렸다.(젊은 예술가의 초상)
위 인용문에서 [ ]에 묶은 부분이 서술자와 등장인물이 한 몸이 되어 등장인물의 시점으로 서술자가 용해된 부분이다.
◆3인칭소설에서 마음 드러내기 핵심정리◆
①심리서술(Psycho-Narration)
ex)‘그는 자신이 늦지는 않았는지 걱정되었다’
-서술자가 간접적으로 등장인물의 심리를 묘사하는 경우
-서술자가 등장인물의 마음을 깊이 있게 묘사한다.
-가장 전통적인 묘사
②인용된 독백(Quoted Monologue)
ex)‘나는 지금 늦은 것인가?’
-등장인물 스스로가 속마음을 밝히면 인용된 독백
-등장인물이 스스로 마음을 드러내기에 그런
추천자료
컴퓨터의 이용과 수학적 지식의 변환
그림검사를 통해서 알아본 심리상태
전후문학과 휴머니즘 전후소설과 전후시의 특징
그룹홈에 대하여
미술 교육의 변천 과정
결혼은미친짓이다, 영화 속 성과 사랑, 성과 가족 분석하기
딥스-자아를 찾는 아이를 읽고
만화30편감상문
전통문양학습(한국전통문양교육)의 필요성, 전통문양학습(한국전통문양교육)의 지도자료와 지...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는 자신의 비전을 메슬로우의 5단계 욕구이론에 기반하여
[아동미술] 로웬펠드(Lowenfeld)의 아동 미술 표현 발달 단계의 특징
보람있는 대학생활의 활용방안
(가족치료) 가족조각기법(가족조각기법의 이론적 배경, 절차, 사례)
송대 여류 시인 이청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