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백 (Outback House)의 광고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웃백 (Outback House)의 광고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연구목적과 연구문제
A.연구 목적
B.연구문제 및 가설

2.SURVEY 방법
A.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예상 참여 인원
B. 샘플링 방법
C. 자료수집방법
D. 자료분석방법

3. SURVEY 결과 분석
A. 빈도분석결과
B.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결과
C. 교차분석결과

4. 시사점

5. 연구의 한계

<첨부>설문지

본문내용

낌에서 Q13-3문항 그리고 로고에 대한 느낌 Q9-5에 대한 타당도의 값이 마이너스가 나왔기 때문에 추후 교차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아웃백에 대한 이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Correlation Matrix
이미지1
이미지2
이미지3
이미지4
이미지5
이미지1
1.0000
이미지2
.3354
1.0000
이미지3
.4302
.2561
1.0000
이미지4
.3573
.2451
.2992
1.0000
이미지5
.0062
.2271
.2996
.1368
1.0000
Reliability Coefficients
5 items
Alpha
.6298
로고느낌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로느낌1
로느낌2
로느낌3
로느낌4
로느낌1
1.0000
로느낌2
.5416
1.0000
로느낌3
.1544
.2554
1.0000
로느낌4
.0312
.2411
.5984
1.0000
Correlation Matrix
Reliability Coefficients
4 items
Alpha
.6329
색채 느낌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색느낌1
색느낌2
색느낌4
색느낌5
색느낌1
1.0000
색느낌2
.4892
1.0000
색느낌4
.6056
.2567
1.0000
색느낌5
.4461
.2497
.5096
1.0000
Correlation Matrix
Reliability Coefficients
4 items
Alpha
.7534
CM송의 느낌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CM느낌1
CM느낌2
CM느낌3
CM느낌4
CM느낌5
CM느낌1
1.0000
CM느낌2
.3531
1.0000
CM느낌3
.1049
.8016
1.0000
CM느낌4
.1988
.2941
.4061
1.0000
CM느낌5
.1326
.4581
.5222
.5652
1.0000
Correlation Matrix
Reliability Coefficients
5 items
Alpha
.7684
광고전체느낌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전느낌1
전느낌2
전느낌3
전느낌4
전느낌5
전느낌6
전느낌7
전느낌1
1.0000
전느낌2
.4913
1.0000
전느낌3
.2875
.3047
1.0000
전느낌4
.3394
.0611
.2831
1.0000
전느낌5
.3999
.2321
.3540
.4574
1.0000
전느낌6
.5329
.5438
.3647
.4535
.5181
1.0000
전느낌7
.4599
.3335
.3538
.5356
.4834
.7644
1.0000
Correlation Matrix
Reliability Coefficients
7 items
Alpha
.8288
간판느낌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간느낌1
간느낌2
간느낌3
간느낌4
간느낌5
간느낌1
1.0000
간느낌2
.2288
1.0000
간느낌3
.4381
.6092
1.0000
간느낌4
.3802
.3518
.5743
1.0000
간느낌5
.1222
.4899
.5649
.4100
1.0000
Correlation Matrix
Reliability Coefficients
5 items
Alpha
.7848
C. 교차분석결과
TV
● 아웃백 광고는 소비자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아웃백 광고에 대한 호감도와 방문의향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소비자들은 아웃백 광고에 대해 전반적으로 좋은 느낌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것이 추후 방문의향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 아웃백 광고 전체 느낌과 방문의향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소비자들은 아웃백광고가 특이하며, 동적이고, 즐겁고, 친근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미지가 방문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인다.
- 아웃백 이미지와 로고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
아웃백 로고를 보고 느낀 친근한 감정이 아웃백과 어울린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로고를 본 후 귀여움의 정도, 방문의향, 신뢰감은 로고와 상관관계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 아웃백 광고의 구성요소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
- 아웃백 이미지와 광고 색채와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광고에 나타난 색채를 밝고, 따뜻하고, 가볍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이러한 느낌이 아웃백의 이미지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광고의 비주얼과 CM송과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소비자들은 CM송에 대해서 따라 부르기 쉽고, 흥겹고, 이해가 쉬우며, 신선하며, 친근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이는 광고의 비주얼과 잘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웃백 광고의 전체적인 호감도와 느낌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아웃백의 전체적인 느낌은 대체로 특이하며, 동적이고, 자연스러우며, 즐겁고, 친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느낌이 광고에 대한 호감도를 높여준 것으로 보인다.
4. 시사점
간판
아웃백 간판에 대한 소비자의 이미지는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소비자의 반 이상이 다른 경쟁사들의 간판과 “비슷하다”(48%)는 의견으로 아웃백의 간판에서 필요한 이미지인 “독특함”이 간판에서는 부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간판 디자인이 다른 경쟁사들과 “다르다”(40%)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상당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우리는 지금의 간판 디자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아웃백 만의 독특한 소재를 찾아 간판에 이용하자는 제안을 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기존의 아웃백 간판의 색(하얀색+빨간색)은 살리되 아웃백의 연상도구가 될 수 있는 캥거루 캐릭터를 디자인에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
TV
전반적으로 아웃백의 TV광고는 잘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광고에 대한 호감도 역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방문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광고카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는 현저히 떨어지는 반면 카피를 인지한 사람들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단조로운 비쥬얼은 카피인지 작용에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였다. 따라서 오디오 측면에서는 CM송과 카피의 나레이션 노출뿐이므로 CM송의 강한 인지와 호감 작용이 카피의 인지를 약화시켰다는 결론을 내렸다. 차후 광고 집행 시, 현재의 카피를 그대로 사용하되 보다 카피의 인지율을 높이는 방법을 찾기로 하였다. 예를 들어 카피 노출시 비주

키워드

아웃백,   마케팅,   광고,   경영,   전략,   조사론,   외식
  • 가격2,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6.10.13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0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