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병과 건강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장병과 건강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화기의 구조와 기능
(1) 구강
(2) 위

2. 위염의 원인 및 식이요법
(1) 급성위염
(2) 만성위염

3. 소화성궤양의 원인 및 식이요법
(1) 발생원인
(2) 식이요법

본문내용

튀기는 조리과정에서 자극성분이 생기므로 제한한다.
<식품과 음식의 선택>
① 팥
팥은 저단백ㆍ고당질성 두류에 속하며 위장을 자극하는 사포닌 성분이 다량 들어 있다. 팥의 종피에는 섬유가 많으므로 위벽을 자극한다. 팥은 위산 분비를 촉진하므로 죽의 형태로도 소화성 궤양 환자에게는 주지 않는다. 팥죽과 팥속을 넣고 만든 과자류는 금한다.
② 떡종류
찹쌀의 전분질 자체는 멥쌀보다 소화가 잘 되나, 일단 떡이라는 형태가 되면 조직이 치밀한 덩어리이므로 이 덩어리를 풀고 중심부까지 위산이 들어가기 위해 위산 분비가 활발해진다. 그러므로 떡 종류와 떡국은 소화성 궤양 환자식에는 적당하지 않다.
③ 죽
죽은 수분이 많고 조직이 부드럽다. 죽 종류에는 흰죽, 팥죽, 잣죽, 콩죽, 채소죽, 어죽, 고기죽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성분과 조직에 있어서 위를 자극하지 않는 재료로 만든 죽이어야 한다.
오트밀은 죽의 형태이지만 섬유가 많아서 연질 무자극성식에는 적당한 음식이 못된다. 콩나물죽은 콩나물을 곱게 다져서 쑤더라도 고섬유 음식에 속하므로 콩나물국 국물만 이용해야 한다.
④ 면
중국식 국수는 쫄깃하고 조직이 치밀하므로 소화가 잘 안 되며, 중국 국수음식은 다량의 기름을 사용해서 조리한 것이 많으므로 적합하지 않다. 물국수, 냄비국수 등 시중 분식 센터의 국수음식에는 멸치국물이 이용된 것이 많다. 멸치의 추출물은 위벽을 자극한다.
라면은 많은 기름에 일단 튀겨낸 음식이므로 피하도록 한다.
수제비는 덩어리진 음식이므로 위산 분비를 촉진시킨다. 냉면은 소화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이탈리아 음식인 스파게티는 토마토게ひ과 이탈리아 치즈를 많이 사용한 것으로서 자극성이 강하고 피자도 자극성이 강한 음식이므로 피하도록 한다. 그러나 부드러운 칼국수는 줄 수 있다.
⑤ 빵
빵은 식으면 소화가 어렵게 되므로 반드시 토스트로 해서 먹어야 한다. 토스트가 아닌 식빵은 마치 찬밥을 먹는 일이나 마찬가지다. 빵을 지나치게 구우면 탄 부분에서 위벽을 자극하는 물질이 생기므로 알맞게 구워내야 한다. 잘 구운 토스트는 다공질의 빵의 조직과 함께 소화성을 높인다. 토스트에 버터 또는 마가린을 발라먹는 것은 소화성 궤양환자의 위산 분비를 약화시킨다. 그러나 잼, 젤리, 땅콩버터, 꿀 등을 바르는 것은 금한다.
⑥ 국 및 수프
육류 가운데 특히 쇠고기는 오래 삶으면 고기 속에서 추출물(엑기스 성분)이 우러나 위를 자극한다. 그러므로 진한 고깃국물이나 멸치국물은 적당치 않다. 강된장, 고추장 등으로 만든 국 및 찌개음식은 짜고 자극성이 너무 강하다. 된장국은 싱겁게 만들고 기름기를 걷어 낸 곰탕, 설렁탕의 국물은 줄 수 있다.
흰살고기의 생선으로 만든 생선국과 닭국도 좋은 음식이 된다. 서양요리의 채소스프는 만드는 재료에 있어서 토마토를 다량 이용하므로 금한다. 자극성이 강한 국과 스프는 모두 금한다.
⑦ 고구마 및 감자
고구마에는 당분과 섬유가 많아 위를 자극하므로 어떠한 조리법을 하여도 줄 수 없는 식품이다. 감자는 튀기는 조리법을 피하여 부드럽게 조리한다. 포테이토

키워드

위장병,   건강관리,   건강,   소화기,   ,   위염,   궤양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0.22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